Singapore Film Ban Raises Free Speech Issue
The documentary film, “To Singapore, with Love” tells about political dissidents from Singapore. The official website says the film explores the stories of nine people who left Singapore between the 1960s and the 1980s. It says they fled to escape persecution by the government -- first, from Singapore’s British colonial rulers and, later, by the Singapore government.
The 70-minute-long film has been shown at public events in Britain, India and Malaysia, among other countries. But one place the movie cannot be seen is Singapore itself.
That is because the government there banned public screenings of the film. The ban raises questions about free speech not only for Singapore, but also for a famous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Yale University was planning to show the film at its partner school in Singapore. Yale and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opened a partner institution in 2013. Yale officials planned to show the documentary at the Yale-NUS College campus until the government banned the film.
Critics say the partnership with the National University has damaged the American university’s image for academic freedom.
Jim Sleeper teaches political science at Yale University. He wrote an article for the Huffington Post website in reaction to the ban. He noted that Singapore’s prime minister and his party have a long record of blocking “freedoms of expression they want to block and to permit whatever they decide to permit in this rich little city-state.”
Singapore’s Media Development Authority has defended its decision to ban the film. Officials said the contents of the film “undermine national security because legitimate actions of the security agencies” are shown “in a distorted way.”
The film’s director, Tan Pin Pin, has asked the Media Development Authority to lift the ban. Ms. Pin Pin told VOA in an e-mail that she has not agreed to any private screenings of the film in Singapore, “because the film is under appeal.”
She also sent a link to a local blog writer’s story, explaining the decision not to hold private screenings. In the blog story, the writer said that such screenings would reduce public pressure on the Media Development Authority to lift the ban on the film. If people could watch it at their school or with friends, “they’ll be less invested in making sure it’s available to the public,” the author wrote.
Singapore has one of the highest gross domestic product levels per person in the world. Because of this economic success, some Singaporeans say they accept government restrictions as a trade-off to economic stability.
Shane Teng is a data analyst in Singapore. He told VOA that sometimes, Singaporeans are more interested in making money than concerning themselves with civil rights issues such as government censorship. “There’s a saying in Singapore. ‘We are all busy making money. For people concerned with civil rights, they must have a lot of free time.’”
Mr. Teng says he is interested in watching “To Singapore, with Love” – but also does not want to create unwanted attention by the government.
Yale-NUS refused VOA’s request for an interview, but said in a statement it will not show the film until Ms. Pin Pin agrees to a screening.
The 70-minute-long film has been shown at public events in Britain, India and Malaysia, among other countries. But one place the movie cannot be seen is Singapore itself.
That is because the government there banned public screenings of the film. The ban raises questions about free speech not only for Singapore, but also for a famous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Yale University was planning to show the film at its partner school in Singapore. Yale and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opened a partner institution in 2013. Yale officials planned to show the documentary at the Yale-NUS College campus until the government banned the film.
Critics say the partnership with the National University has damaged the American university’s image for academic freedom.
Jim Sleeper teaches political science at Yale University. He wrote an article for the Huffington Post website in reaction to the ban. He noted that Singapore’s prime minister and his party have a long record of blocking “freedoms of expression they want to block and to permit whatever they decide to permit in this rich little city-state.”
Singapore’s Media Development Authority has defended its decision to ban the film. Officials said the contents of the film “undermine national security because legitimate actions of the security agencies” are shown “in a distorted way.”
The film’s director, Tan Pin Pin, has asked the Media Development Authority to lift the ban. Ms. Pin Pin told VOA in an e-mail that she has not agreed to any private screenings of the film in Singapore, “because the film is under appeal.”
She also sent a link to a local blog writer’s story, explaining the decision not to hold private screenings. In the blog story, the writer said that such screenings would reduce public pressure on the Media Development Authority to lift the ban on the film. If people could watch it at their school or with friends, “they’ll be less invested in making sure it’s available to the public,” the author wrote.
Singapore has one of the highest gross domestic product levels per person in the world. Because of this economic success, some Singaporeans say they accept government restrictions as a trade-off to economic stability.
Shane Teng is a data analyst in Singapore. He told VOA that sometimes, Singaporeans are more interested in making money than concerning themselves with civil rights issues such as government censorship. “There’s a saying in Singapore. ‘We are all busy making money. For people concerned with civil rights, they must have a lot of free time.’”
Mr. Teng says he is interested in watching “To Singapore, with Love” – but also does not want to create unwanted attention by the government.
Yale-NUS refused VOA’s request for an interview, but said in a statement it will not show the film until Ms. Pin Pin agrees to a screening.

dissident 반체제 인사 / persecution 박해, 학대 / institution 기관, 단체 / ban 금하다, 금지하다 / undermine 약화시키다 / legitimate 정당한, 타당한 / distort 비틀다 / gross domestic product 국내 총생산(GDP)

싱가포르 영화 상영 금지가 언론의 자유 문제를 불러일으키다
다큐멘터리 영화인 “싱가포르에게, 사랑을 담아(To Singapore, with Love)”는 싱가포르 출신의 정치 반대자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공식 웹사이트(website)는 이 영화가 1960년대와 1980년대 사이에 싱가포르를 떠난 9명의 이야기를 묘사한다고 말한다. 이는 그들이 정부의 박해를 피하기 위해 떠났다고 말한다. 처음에는 싱가포르의 영국 식민지 지배자들로부터, 그 후에는 싱가포르 정부로부터였다.
상영 시간 70분 길이의 이 영화는 영국(Britain), 인도(India), 말레이시아(Malaysia) 그리고 다른 나라의 공식 행사에서 상영되었다. 하지만 이 영화가 상영되지 못하는 단 한 곳은 바로 싱가포르다.
이는 정부에서 이 영화의 공공장소 상영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이 금지령은 싱가포르에 대한 언론의 자유 여부를 묻는 것뿐 아니라, 미국에 있는 한 명문대를 대상으로도 이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예일대학(Yale University )은 싱가포르에 있는 자매학교에서 이 영화를 상영할 예정이었다. 예일과 싱가포르 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는 2013년 협력 학교를 개설했다. 예일 관계자들은 정부가 이 영화를 금지하기 전에 예일-NUS 대학교 캠퍼스(Yale-NUS College campus)에서 이를 상영할 계획이었다.
비평가들은 국립대학교와의 협력이 학문의 자유에 있어 미국 대학교 쇄신에 손해를 입혔다고 말한다.
짐 슬리퍼(Jim Sleeper) 씨는 예일 대학에서 정치학을 가르친다. 그는 허핑턴포스트(Huffington Post) 웹사이트에서 이 금지령에 대한 반응에 관한 기사를 집필했다. 그는 싱가포르의 수상과 그의 정당이 “이 작은 부의 도시에서 그들이 허용하기로 한 것은 무엇이든 허락하고, 금지하길 원하는 표현의 자유”를 차단하는 오랜 역사를 갖고 있음을 지목했다.
싱가포르의 미디어 개발청(Media Development Authority)은 이 영화를 금지하는 결론을 옹호했다. 관계자들은 이 영화의 내용이 “보안 기관의 정당한 조치를 왜곡된 방식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이는 “국가 안보를 해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영화의 감독인 탄핀핀(Tan Pin Pin) 씨는 이 금지령이 해지되도록 미디어 개발청에 요청했다. 핀핀씨는 이메일을 통해 보이스 오브 아메리카(VOA)에 “이 영화가 현재 항소 중이기 때문에” 그녀는 어떤 사적인 시사회에서도 이 영화를 상영하는 것에 대해 동의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녀는 또한 현지 블로그 작가가 사적인 시사회를 열지 않기로 한 결정을 설명하는 글이 실린 웹사이트 링크를 보냈다. 이 블로그 글에서 작가는 이러한 사적인 시사회가 이 영화 금지령을 해제하도록 미디어 개발청에 요구하는 대중의 압박을 감소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만약 사람들이 학교에서나 친구들과 이 영화를 볼 수 있다면 “그들은 이 영화가 대중들에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덜 투자할 것”이라고 작가가 집필했다.
싱가포르의 1인당 국내 총생산은 세계에서 가장 높다. 이런 경제적 성공 때문에, 몇몇 싱가포르 사람들은 경제적 안정에 대한 대가로 정부의 제한을 받아들인다고 말한다.
셰인 텡(Shane Teng) 씨는 싱가포르에서 데이터 분석가로 일한다. 그는 때론 싱가포르 사람들은 정부의 검열과 같은 그들의 시민 권리에 대해 염려하기보다 돈을 버는 것에 더 투자한다고 VOA 측에 말했다. “싱가포르에서 사람들은 이런 말을 합니다. ‘우리 모두 돈을 버느라 바쁘다. 시민의 권리에 대해 걱정하는 사람들은 한가한 시간이 많은 것이다.’”
텡 씨는 “싱가포르에게, 사랑을 담아”를 보는 것에 관심이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는 또한 정부로부터 원치 않은 주목을 받길 원하지 않는다.
예일-NUS 대학은 VOA와의 인터뷰 요청을 거절했다. 하지만 성명서에서 그들은 핀핀 씨가 상영회에 동의할 때까지 영화를 상영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상영 시간 70분 길이의 이 영화는 영국(Britain), 인도(India), 말레이시아(Malaysia) 그리고 다른 나라의 공식 행사에서 상영되었다. 하지만 이 영화가 상영되지 못하는 단 한 곳은 바로 싱가포르다.
이는 정부에서 이 영화의 공공장소 상영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이 금지령은 싱가포르에 대한 언론의 자유 여부를 묻는 것뿐 아니라, 미국에 있는 한 명문대를 대상으로도 이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예일대학(Yale University )은 싱가포르에 있는 자매학교에서 이 영화를 상영할 예정이었다. 예일과 싱가포르 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는 2013년 협력 학교를 개설했다. 예일 관계자들은 정부가 이 영화를 금지하기 전에 예일-NUS 대학교 캠퍼스(Yale-NUS College campus)에서 이를 상영할 계획이었다.
비평가들은 국립대학교와의 협력이 학문의 자유에 있어 미국 대학교 쇄신에 손해를 입혔다고 말한다.
짐 슬리퍼(Jim Sleeper) 씨는 예일 대학에서 정치학을 가르친다. 그는 허핑턴포스트(Huffington Post) 웹사이트에서 이 금지령에 대한 반응에 관한 기사를 집필했다. 그는 싱가포르의 수상과 그의 정당이 “이 작은 부의 도시에서 그들이 허용하기로 한 것은 무엇이든 허락하고, 금지하길 원하는 표현의 자유”를 차단하는 오랜 역사를 갖고 있음을 지목했다.
싱가포르의 미디어 개발청(Media Development Authority)은 이 영화를 금지하는 결론을 옹호했다. 관계자들은 이 영화의 내용이 “보안 기관의 정당한 조치를 왜곡된 방식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이는 “국가 안보를 해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영화의 감독인 탄핀핀(Tan Pin Pin) 씨는 이 금지령이 해지되도록 미디어 개발청에 요청했다. 핀핀씨는 이메일을 통해 보이스 오브 아메리카(VOA)에 “이 영화가 현재 항소 중이기 때문에” 그녀는 어떤 사적인 시사회에서도 이 영화를 상영하는 것에 대해 동의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녀는 또한 현지 블로그 작가가 사적인 시사회를 열지 않기로 한 결정을 설명하는 글이 실린 웹사이트 링크를 보냈다. 이 블로그 글에서 작가는 이러한 사적인 시사회가 이 영화 금지령을 해제하도록 미디어 개발청에 요구하는 대중의 압박을 감소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만약 사람들이 학교에서나 친구들과 이 영화를 볼 수 있다면 “그들은 이 영화가 대중들에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덜 투자할 것”이라고 작가가 집필했다.
싱가포르의 1인당 국내 총생산은 세계에서 가장 높다. 이런 경제적 성공 때문에, 몇몇 싱가포르 사람들은 경제적 안정에 대한 대가로 정부의 제한을 받아들인다고 말한다.
셰인 텡(Shane Teng) 씨는 싱가포르에서 데이터 분석가로 일한다. 그는 때론 싱가포르 사람들은 정부의 검열과 같은 그들의 시민 권리에 대해 염려하기보다 돈을 버는 것에 더 투자한다고 VOA 측에 말했다. “싱가포르에서 사람들은 이런 말을 합니다. ‘우리 모두 돈을 버느라 바쁘다. 시민의 권리에 대해 걱정하는 사람들은 한가한 시간이 많은 것이다.’”
텡 씨는 “싱가포르에게, 사랑을 담아”를 보는 것에 관심이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는 또한 정부로부터 원치 않은 주목을 받길 원하지 않는다.
예일-NUS 대학은 VOA와의 인터뷰 요청을 거절했다. 하지만 성명서에서 그들은 핀핀 씨가 상영회에 동의할 때까지 영화를 상영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