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th Korean Students Stressed Over College Entrance Exam
More than half a million South Korean students in their final year of high school recently took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Many people consider success on this test the first step toward a good life. But South Korean students say they feel stressed from the pressure.
Seventeen-year-old student Lee Jee-woo is not ready yet to take the test. But he has a strong opinion about it. He says, “This test can determine the rest of your life."
South Korean high school students spend years studying for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People say good scores guarantee entrance to a top university and the possibility of a high-paying job. Some say good test results even improve chances for a good marriage in the future.
The test is multiple choice, meaning that the student may choose among several possible answers to a question. Some observers say this system does not help the students learn to think for themselves. They also say South Korea is not the only country to use these tests.
Jasper Kim is a professor at Seoul’s Ewha Women’s University.
“I think you’ll see similar things in China and to a lesser degree in Japan. It became the end all, be all, the standardized test, what you got on it. What it created was a system of teaching to the test. So everyone was geared, in terms of, getting to the right answer … and not knowing why that is the right answer.”
Vietnam also is known for its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Professor Kim says this system of learning by memorization produces a lot of stressed students. A recent government study found that South Korean children are the least happy compared to children in 29 other developed countries. Many South Koreans blame educational pressure for this unhappiness.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has promised to reform her country’s educational system. She urges the system to increase creative thinking and reduce student tension.
But Jasper Kim does not feel sure that reforms by the top government alone will solve the problem. He says, “The bureaucrats, they can say all they want. But it really starts at home.”
Still, getting South Korean parents to ease the pressure on their children might not be so easy. Shin Jeong-yeon says she would like not to put so much pressure on her daughter. But, she says there is a lot of competition, so it is impossible for parents not to do so. For now, all Ms. Shin and other parents can do is hope that the pressure brings good results.
Seventeen-year-old student Lee Jee-woo is not ready yet to take the test. But he has a strong opinion about it. He says, “This test can determine the rest of your life."
South Korean high school students spend years studying for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People say good scores guarantee entrance to a top university and the possibility of a high-paying job. Some say good test results even improve chances for a good marriage in the future.
The test is multiple choice, meaning that the student may choose among several possible answers to a question. Some observers say this system does not help the students learn to think for themselves. They also say South Korea is not the only country to use these tests.
Jasper Kim is a professor at Seoul’s Ewha Women’s University.
“I think you’ll see similar things in China and to a lesser degree in Japan. It became the end all, be all, the standardized test, what you got on it. What it created was a system of teaching to the test. So everyone was geared, in terms of, getting to the right answer … and not knowing why that is the right answer.”
Vietnam also is known for its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Professor Kim says this system of learning by memorization produces a lot of stressed students. A recent government study found that South Korean children are the least happy compared to children in 29 other developed countries. Many South Koreans blame educational pressure for this unhappiness.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has promised to reform her country’s educational system. She urges the system to increase creative thinking and reduce student tension.
But Jasper Kim does not feel sure that reforms by the top government alone will solve the problem. He says, “The bureaucrats, they can say all they want. But it really starts at home.”
Still, getting South Korean parents to ease the pressure on their children might not be so easy. Shin Jeong-yeon says she would like not to put so much pressure on her daughter. But, she says there is a lot of competition, so it is impossible for parents not to do so. For now, all Ms. Shin and other parents can do is hope that the pressure brings good results.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대학입학시험 / determine 결정하다, 알아내다 / high-paying job 보수가 많은 직업 / standardized 표준화한, 획일적인 / blame ~을 탓하다, ~ 책임으로 보다 / tension 긴장 / bureaucrat 관료

대학 입학 능력 시험으로 인해 스트레스받는 한국 학생들
최근 50만 명이 넘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수능 시험을 치렀다. 많은 사람들이 이 시험에서 거두는 성공을 좋은 인생의 첫걸음으로 여긴다. 하지만 한국 학생들은 압박감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말한다.
17살 이지우 학생은 아직 시험을 치를 준비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이 시험에 대해 강한 의견을 갖고 있다. 그는 “이 시험은 사람의 남은 인생을 좌우할 수 있어요.”라고 말한다.
한국의 고등학생들은 대학 입학 능력 시험을 위해 수년간 공부한다. 사람들은 좋은 시험 성적이 일류 대학 입학과 연봉이 높은 일자리에 대한 가능성을 보장해 준다고 말한다. 어떤 이들은 심지어 좋은 시험 성적이 미래에 좋은 결혼을 하게 될 가능성을 높여준다고도 말한다.
이 시험은 객관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학생들이 여러 개의 답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질문에 답할 수 있다는 뜻이다. 몇몇 관찰자들은 이런 체계가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도록 배우는 것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또한, 그들은 이런 시험을 사용하는 나라가 한국뿐만이 아니라고 말한다.
재스퍼 김(Jasper Kim) 씨는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의 교수다.
“제가 보기에는 중국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일본에서 이런 비슷한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모든 것의 끝이 되었고, 전부가 되었으며, 획일적인 시험이 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시험에 맞추어 학생들을 가르치는 시스템이 생겨난 것이죠. 그래서 말하자면 모든 사람들이 정답을 찾는 것에만 길들어 있는 것입니다. 왜 그게 맞는 답인지도 모르고 말이죠.”
베트남(Vietnam) 또한 대학 입학시험으로 유명하다.
김 교수는 암기로 배우는 이 시스템이 학생들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주고 있다고 말한다. 최근에 진행된 정부 설문에 따르면 다른 29개 선진국 학생들보다 한국 학생들이 제일 행복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많은 한국인은 이러한 불행의 이유로 교육적 압박을 탓한다.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은 국가의 교육 시스템을 개혁할 것을 약속했다. 그녀는 이 교육 체계가 창의적인 사고를 증대하고 학생의 긴장을 완화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재스퍼 김 씨는 고위 정부에 의한 개혁만으로 이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확신하지 않는다. 그는 “관료들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진짜 문제는 가정에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한국 부모들이 자녀들이 받는 압박을 줄이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일일 수도 있다. 신정연 씨는 자신의 딸에게 너무 많은 압박을 주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녀는 경쟁이 너무 심해서 부모들이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지금으로써 신 씨와 다른 부모들이 할 수 있는 것은 이 압박이 좋은 결과를 가져오리라는 희망을 품는 것이다.
17살 이지우 학생은 아직 시험을 치를 준비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이 시험에 대해 강한 의견을 갖고 있다. 그는 “이 시험은 사람의 남은 인생을 좌우할 수 있어요.”라고 말한다.
한국의 고등학생들은 대학 입학 능력 시험을 위해 수년간 공부한다. 사람들은 좋은 시험 성적이 일류 대학 입학과 연봉이 높은 일자리에 대한 가능성을 보장해 준다고 말한다. 어떤 이들은 심지어 좋은 시험 성적이 미래에 좋은 결혼을 하게 될 가능성을 높여준다고도 말한다.
이 시험은 객관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학생들이 여러 개의 답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질문에 답할 수 있다는 뜻이다. 몇몇 관찰자들은 이런 체계가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도록 배우는 것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또한, 그들은 이런 시험을 사용하는 나라가 한국뿐만이 아니라고 말한다.
재스퍼 김(Jasper Kim) 씨는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의 교수다.
“제가 보기에는 중국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일본에서 이런 비슷한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모든 것의 끝이 되었고, 전부가 되었으며, 획일적인 시험이 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시험에 맞추어 학생들을 가르치는 시스템이 생겨난 것이죠. 그래서 말하자면 모든 사람들이 정답을 찾는 것에만 길들어 있는 것입니다. 왜 그게 맞는 답인지도 모르고 말이죠.”
베트남(Vietnam) 또한 대학 입학시험으로 유명하다.
김 교수는 암기로 배우는 이 시스템이 학생들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주고 있다고 말한다. 최근에 진행된 정부 설문에 따르면 다른 29개 선진국 학생들보다 한국 학생들이 제일 행복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많은 한국인은 이러한 불행의 이유로 교육적 압박을 탓한다.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은 국가의 교육 시스템을 개혁할 것을 약속했다. 그녀는 이 교육 체계가 창의적인 사고를 증대하고 학생의 긴장을 완화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재스퍼 김 씨는 고위 정부에 의한 개혁만으로 이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확신하지 않는다. 그는 “관료들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진짜 문제는 가정에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한국 부모들이 자녀들이 받는 압박을 줄이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일일 수도 있다. 신정연 씨는 자신의 딸에게 너무 많은 압박을 주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녀는 경쟁이 너무 심해서 부모들이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지금으로써 신 씨와 다른 부모들이 할 수 있는 것은 이 압박이 좋은 결과를 가져오리라는 희망을 품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