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01-14 09:21

Experts Consider China's Proposed Development Bank

The United States has expressed concerns about China’s plan to create a new development bank for Asia. U.S. officials say they have questions about how the new bank’s system of governance. But some experts say opposition to the new organization may not be a good idea.

China and 20 other countries launched the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last month. But some nation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wonder whether the bank meets international models for governance and openness. U.S. State Department official Jen Psaki says openness would be important for such an organization.

“Our view is that it would need to be done in a transparent manner with a high level of - high standards, and that’s something that we’ve conveyed to countries in the region, that we’ve conveyed as well to the Chinese."

She added that the United States is concerned about the unclear nature of the bank. Many critics see it as possible competitor to existing institutions like the Asian Development Bank.

Some observers say the U.S. opposition to the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is a mistake. Richard Cronin directs the Southeast Asia Program at the Henry L. Stimson Center, in Washington, DC.

“Safeguards and accountability issues are certainly valid issues, but the other thing is it’s the reality. It’s happening. So the U.S. can express concerns but, you know, it’s not very good international politics to take a stance against the bank. I mean, it's going to happen."

The United States is not the only nation to have reservations about the new development bank. Australian Prime Minister Tony Abbott recently said his government would like to join. But first, he said, it needs the bank to have the kind of transparency found in organizations such as the World Bank. South Korea has said more consideration is needed on the new bank's governance.

Richard Cronin also says geopolitical considerations are the biggest reason why the United States and some of its allies have not joined the bank. The U.S. and its traditional allies have heavily influenced the international banking system for many years. They have funded and worked through institutions such as the World Bank and the Asia Development Bank. For a long time, China and other developing economies have said they have little influence at Western-led development banks.

Some observers say the United States should consider joining the new bank instead of ignoring it. Kenneth Lieberthal works at the Brookings Institution in Washington. He formerly served as a special advisor to the president during the administration of Bill Clinton.

“I think we actually ought to get engaged with this, becoming a part of it, and try to, through that engagement, both show the Chinese that we are prepared to accept a greater role for them in areas where they are contributing to public goods and we want to work with them to have the standards be standards that are necessary to sustain the way the international system now functions.”

Mr. Lieberthal believes that if the United States does not get involved, it risks appearing unwilling to steps to improve the area.
infrastructure 사회 기반 시설 / openness 솔직함, 마음이 열려 있음 / transparent 투명한, 명백한 / convey 전달하다, 실어나르다 / accountability 책임, 의무 / stance 입장, 태도 / transparency 슬라이드, 투명도 / geopolitical 지정학의
전문가들이 중국이 제안한 개발은행을 고려하다
미국은 아시아(Asia)에 새로운 개발은행을 설립하고자 하는 중국의 계획에 염려를 표했다. 미국 관계자들은 이 새 은행의 관리 방식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어떤 전문가들은 이 새 기업에 반대하는 것이 좋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

중국과 다른 20개 국가는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을 출범했다. 하지만 미국을 포함한 몇몇 국가들은 이 은행이 관리와 개방에 있어 국제 기준에 맞는지 궁금해하고 있다. 미 국무부 공식 위원인 젠 사키(Jen Psaki) 씨는 이러한 조직에 있어 개방성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저희의 관점은 이것이 높은 기준의 높은 수준이 동반된 투명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희는 이 지역에 있는 국가들에 이를 전달했으며, 마찬가지로 중국에도 전달했습니다.”

그녀는 미국이 은행의 불투명한 본질에 대해 염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많은 비평이 이를 아시아 개발 은행(Asian Development Bank)처럼 이미 존재하는 기간에 대한 잠재적 경쟁자로 보고 있다.

몇몇 관잘자들은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에 대한 미국의 반대가 실수라고 말한다. 리처드 크로닌(Richard Cronin ) 씨는 워싱턴 D.C(Washington, DC)에 소재한 헨리 스타임슨 센터(Henry L. Stimson Center)에서 동남아시아 프로그램(Southeast Asia Program)을 담당하고 있다.

“보호장치와 책무성에 관한 문제들은 분명히 유효한 문제들입니다. 하지만 또 다른 것은 이것이 현실이라는 점입니다. 이것은 실행되고 있는 일입니다. 따라서 미국은 염려하는 바를 표현할 수는 있지만, 은행에 반대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은 그다지 좋지 않은 국제적 정치입니다. 제 말은, 이것이 실현될 것이라는 겁니다.”

이 새 개발은행에 대해 의혹을 품는 나라는 미국뿐만이 아니다. 토니 애벗(Tony Abbott) 호주(Australia) 총리는 최근 그의 정부가 이에 동참하길 원한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먼저, 이 은행은 국제부흥개발은행(World Bank)과 같은 조직처럼 투명성이 있어야 한다고 그가 말했다. 한국은 이 새로운 은행의 경영에 있어 좀 더 많은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리처드 크로닌 씨는 또한 지정학적 고려 사항들이 미국 및 동맹국들이 은행에 동참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라고 말한다. 미국과 이의 전통적 동맹국들은 수년간 국제 은행 시스템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다. 이들은 국제부흥개발은행과 아시아개발은행과 같은 기관에 자금을 대고 이들을 통해 일을 해왔다. 오랜 시간 동안, 중국과 다른 개발도상국들은 그들이 서부가 주도하는 개발은행에 적은 영향을 주었다고 말해왔다.

몇몇 관찰자들은 미국이 이 은행을 무시하는 대신 이에 동참하는 것을 고려해야만 한다고 말한다. 케니스 리버틀(Kenneth Lieberthal) 씨는 워싱턴(Washington)에 있는 브루킹스 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에서 일한다. 이전에 그는 빌 클린턴(Bill Clinton) 정부 기간 동안 대통령의 특별 고문으로 일했다.

“사실 저희는 이에 동참하고, 이것의 일부분이 되며, 이런 관련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것을 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중국인들에게 우리가 그들이 공공재에 이바지하는 부분에 있어 그들을 위해 더 큰 역할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과 현지 국제적 시스템이 돌아가는 방식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기준들, 이런 기준들을 그들이 갖출 수 있도록 그들과 협력하길 원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리버틀 씨는 만약 미국이 이에 동참하지 않는다면, 미국이 이 지역을 개선하기 위한 대책을 꺼리는 것으로 보이는 위험을 무릅쓰는 것이라고 믿는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491 North Korea Warns of Punishmen… sim 01-22 2966
490 Central African Republic Losin… sim 01-21 2575
489 Filipino Fishermen Turn to Fib… sim 01-20 2840
488 Expand Your Skills for Writing… sim 01-19 2783
487 South Korean Students Stressed… sim 01-16 3058
486 China Opens Shanghai Stock Mar… sim 01-15 2897
485 Experts Consider China's … sim 01-14 2783
484 Low Prices Cause Kenyan Farmer… sim 01-12 2910
483 Child Death Rates Narrow Betwe… sim 01-09 2847
482 Rescued Animals Need More Spac… sim 01-08 3077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