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01-12 09:22

Low Prices Cause Kenyan Farmers to Change Tea Crop

Tea farmers in Kenya are suffering because of low prices for their crop this year. So they have exchanged their tea bushes for a healthy new “purple tea” that they hope will sell for a higher price. But there may not be a demand for the new kind of tea.

Agricultural workers in green tea fields near Mt. Kenya are gathering the tea leaves. It is beautiful to see. The rows of tea bushes are straight. All appears to be well. But the farmers who planted the bushes are worried. Nelson Kibara is one of them. He has been growing tea in the Kerugoya area for 40 years.

He says the prices this year have been so low that he has made almost no profit. He says he must grow different kinds of tea if he is to survive.

Mr. Kibara and hundreds of other farmers have been removing some of their tea bushes and planting a new kind of tea developed by the Tea Research Foundation of Kenya. Its leaves are purple and brown. When the tea is boiled, the drink has a purple color. Medical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health benefits of the new tea. They say it is healthier than black tea and could be sold for a price that is three to four times higher than the price of black tea.

But Mr. Kibara says he has not received a higher price for his purple tea crop.

He says the market for the tea is unstable and he is often forced to sell his purple tea for the same price as green tea leaves. He says there are not enough buyers willing to pay more for the purple tea than black tea.

The Kenya Tea Development Agency represents small farmers. It says farmers have planted purple tea before a market has been created for it. Vincent Mwingirwa works at the agency.

“What has happened is that purple tea has been developed for the farm. Unfortunately, there was not concurrent research on the market for purple tea. So we are now in a scenario where some of our farmers have planted purple tea, but they don’t know where to take it.”

Stephen Mutembei works at the Tea Research Foundation. He says farmers quickly changed from growing black tea to growing purple tea. But he also blames tea leave processors for not making changes more quickly.

“There are mixed feelings, I can say that. The processing techniques have been slow. They have not come up with the specialty factories, which can now be used to process the purple tea as a now a special product. The farmers are not very happy about that.”

But Mr. Mutembei says purple tea is an important crop for the country and its tea farmers. He says Kenya needs to find new products like purple tea to help its tea industry become more stable. Tea is the country’s top crop. Mr. Mutembei says the country’s economy is too closely linked to the changing price of black tea. He says tea buyers and drinkers must be persuaded that they should pay more for purple tea than black tea.

“Because farmers, they have planted already, you cannot tell them to uproot. At this level we should not just say ‘we don’t have a market’ forever. We should be doing something to find a, a good market.”

Mr. Kibara says he will continue growing purple tea plants for now. But if the market does not improve, he will plant cabbages next year.
crop 작물 / demand 수요 / profit 수익 / survive 살아남다 / represent 대표하다 / concurrent 동시에 / processor 가공업자 / industry 산업, 업계 / persuade 설득하다
낮은 가격 때문에 차 작물을 변경하는 케냐 농부들
올해 낮은 작물 가격 때문에 케냐(Kenya)의 차 재배인들이 힘들어하고 있다. 그래서 이들은 차 나무를 건강한 새로운 “보라색 차”로 바꿨다. 이들은 이 보라색 차가 더 높은 가격에 팔리길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 새로운 차에 대한 수요가 없을 수도 있다.

케냐 산(Mt. Kenya) 인근의 녹차 밭에서 일하는 농업노동자들은 찻잎을 모으고 있다. 이는 보기 참 아름다운 광경이다. 차 나무는 곧은 열에 맞추어져 있다. 모든 것이 좋아 보인다. 하지만 나무를 심은 농부들은 걱정하고 있다. 넬슨 키바라(Nelson Kibara) 씨는 이러한 농부 중 한 명이다. 그는 40년간 케루고야(Kerugoya) 지역에서 차를 재배해왔다.

그는 올해 차 가격이 너무 낮아서 수입이 거의 없었다고 한다. 그는 살아남기 위해 다른 차를 재배해야 한다고 말한다.

키바라 씨를 포함한 수백 명의 다른 농부들은 차 나무 일부를 제거하고 케냐 차 사업 연구재단(Tea Research Foundation of Kenya)에서 개발한 새로운 종류의 차를 심고 있다. 이 찻잎은 보라색과 갈색이 섞여 있다. 차를 끓이면 보라색을 띠게 된다. 의료 연구진은 새로운 종류의 차에 대한 건강 효능을 연구했다. 이들은 홍차보다 더 건강에 좋으며 홍차 가격보다 세배에서 네 배 높은 가격에 팔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키바라 씨는 보라색 차 작물에 대해 높은 금액을 받지 못했다고 이야기한다.

그는 차 시장은 불안정하며 보라 차를 녹차와 같은 가격에 팔 수밖에 없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그는 홍차보다 보라 차를 위해 돈을 더 지급하려는 사람이 충분하지 않다고 이야기한다.

케냐 차 사업 연구재단은 영세 농민을 대표한다. 이들에 따르면 농부들은 시장이 형성되기 전부터 보라색 차를 재배하기 시작했다고 이야기한다. 빈센트 뮝기르와(Vincent Mwingirwa) 씨는 재단에서 일하고 있다.

“보라색 차는 농장을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보라색 차를 위한 시장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았어요. 그래서 현재 몇몇 농부들은 보라색 차 재배를 시작했지만, 이들은 차를 어디에 내다 팔아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 되었어요.”

스테판 무템베이(Stephen Mutembei) 씨는 차 사업 연구재단에서 일한다. 그는 농부들이 홍차에서 보라색 차로 재배 품목을 빠르게 바꾸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차 가공업자들이 더 빠른 변화를 만들지 않은 점도 탓한다.

“현재 복잡한 감정이 맴돌고 있다고 저는 말할 수 있습니다. 가공 기술의 개발이 매우 더뎠습니다. 이들은 특수 품목으로 보라 차가 가공될 수 있는 데에 사용될 특수 공장을 아직 만들지 않았어요. 농부들은 이 점에 불만을 품고 있습니다.”

그러나 무템베이 씨는 보라색 차가 국가를 위한, 그리고 차 재배 인들을 위한 중요한 작물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는 차 산업을 더욱 안정적으로 이끌기 위해 케냐는 보라색 차와 같은 새로운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이야기한다. 차는 케냐의 주요 작물이다. 무템베이 씨는 국가의 경제가 홍차의 가격 변동에 너무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는 차 구매자와 차 소비자들은 홍차보다 보라색 차가 더 비싸다는 사실을 설득시켜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왜냐하면, 농부들은 이미 작물을 심었기 때문에 그걸 다시 뽑아내라고 할 수는 없어요. 이 상황에서 저희는 단순히 ‘시장이 없어요.’라는 말만 계속할 수 없습니다. 좋은 시장을 만들기 위해 무언가를 해야 합니다.”

키바라 씨는 일단 보라색 차를 계속해서 재배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시장이 나아지지 않으면 내년에는 양배추를 심을 예정이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491 North Korea Warns of Punishmen… sim 01-22 2966
490 Central African Republic Losin… sim 01-21 2575
489 Filipino Fishermen Turn to Fib… sim 01-20 2840
488 Expand Your Skills for Writing… sim 01-19 2783
487 South Korean Students Stressed… sim 01-16 3057
486 China Opens Shanghai Stock Mar… sim 01-15 2897
485 Experts Consider China's … sim 01-14 2782
484 Low Prices Cause Kenyan Farmer… sim 01-12 2910
483 Child Death Rates Narrow Betwe… sim 01-09 2847
482 Rescued Animals Need More Spac… sim 01-08 3077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