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02-16 09:09

Tibetans Emphasize Cultural Identity Though ‘Lhakar’

Tibetan communities worldwide are taking part in a protest movement called “Lhakar.” The Tibetan word means “White Wednesday.” It is considered a traditional day for Tibetans to express devotion to their spiritual leader and pray for long life.

However, in recent years the spiritual observance of the day has grown into a worldwide movement. It places importance on the Tibetan culture and identity. And exile leaders warn that Chinese policies are threatening to destroy that identity and culture.

It’s Wednesday at a school in India. This is the day students at the Tibetan Village Children School in Dharamsala pray and participate in an important tradition.

Instead of their usual school clothing, girls come wearing an ethnic tunic ? a long shirt. Boys wear a traditional shirt. This third generation of Tibetans growing up in exile is working to stay rooted to the homeland they have never seen.

Wearing the “chuba” connects 10-year-old Tsering Paldon to the homeland she knows only through stories.

“I feel when I wear this dress, I feel I am in Tibet.”

This is the spirit of “Lhakar,” a weekly ritual - a ceremony - that started inside Tibet following the mass protests in 2008. Now, many Tibetans worldwide have accepted the Wednesday tradition of dressing, eating or buying “Tibetan,” in what is considered a silent defiance of Chinese rule.

Jyotsna Sarah George of Students for a Free Tibet says “Lhakar” contains an educational part that strengthens Tibetan’s ethnic identity. She says it also can be a possibly powerful political force.

“This was like a decollectivization of protest, where it became about individual expression of your identity as a Tibetan, of your assertion as a Tibetan, that I am now taking charge of the way my culture is going to be viewed, and the way my culture is going to be a means of resistance to assimilation to the Chinese culture.”

Just as important, Lobsang Tseten of the International Tibet Network says the practice helps connect younger people with their fellow Tibetans living inside China, and those scattered across the world.

“For every freedom struggle to sustain you need the younger generations, you need to keep their roots, and I think this is one example that we saw how younger generations praying and celebrating Lhakar.”

In Dharamsala, the campaign appears to be working among students like Tsering Paldon and Tenzin Rabgyae.

“Yes, I want to visit Tibet.”

“Yes, I want to go.”

Thousands of Tibetans fled to India after Chinese troops marched into Tibet in 1950 and announced what China called Tibet's "peaceful liberation."

Although Chinese policies are remaking Tibetans’ historic homeland, diluting their culture, the Lhakar movement tries to keep the dream of a return alive among these children.
emphasize 강조하다 / identity 정체성 / protest 시위, 항의 / devotion 헌신 / spiritual 영적인 / observance 의식, 준수 / exile 망명, 추방 / ethnic 민족의 / homeland 고향 / defiance 반항, 저항 / politics 정치 / decollectivization 탈집단화 / assertion 주장 / assimilation 흡수, 동화
‘라카르’를 통해 문화적 정체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티베트인들
세계 곳곳에 있는 티베트 공동체들은 “라카르(Lhakar)”라 불리는 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이 티베트 단어는 “하얀색 수요일”을 뜻한다. 이는 티베트인들이 정신적 지도자를 향한 헌신을 표하고 장수를 위해 기도하는 전통의 날로 여겨진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이날의 정신적 의식은 세계적인 운동으로 확산되었다. 이날은 티베트 문화와 정체성을 중요시한다. 또한, 추방된 지도자들은 중국의 정책이 이 같은 정체성과 문화를 망칠 염려가 있다고 경고한다.

인도(India)의 한 학교의 수요일 풍경이다. 이날은 다람살라(Dharamsala)에 위치한 티베트 마을 초등학교(Tibetan Village Children School)에 다니는 학생들이 기도도 하고 중요한 전통에 참여하는 날이다.

평소 입는 교복 대신 여학생들은 긴 셔츠인 전통 튜닉을 입고 등교한다. 남학생들은 전통 셔츠를 입는다. 이 아이들은 한 번도 본 적 없는 고향과 연결의 끈을 놓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망명 티베트인 3세대들이다.

10세인 세링 팔슨(Tsering Palson) 양은 “츄바”를 입음으로써 이야기로만 전해 들은 고향과의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이 드레스를 입으면 제가 마치 티베트에 있는 것처럼 느껴져요.”

이것이 바로 2008년 대규모 시위 이후 티베트에서 시작된 주간 의식인 “라카르” 정신이다. 현재 세계의 많은 티베트인은 “티베트” 것을 입고 먹고 구매하는 수요 전통을 받아들였으며 이는 중국의 지배에 대한 조용한 저항으로 여겨진다.

자유 티베트 학생 연합(Students for a Free Tibet)의 요츠나 새라 조지(Jyotsna Sarah George) 씨는 “라카르”가 티베트의 민족 정체성을 강화하는 교육적인 측면이 포함되어있다고 이야기한다. 그녀는 이것이 또한 강력한 정치적 힘이 될 수도 있다고 말한다.

“이는 마치 시위의 탈집단화와 같았습니다. 이는 티베티인으로서 정체성을 표현하는 것, 티베트인으로서의 권리, 내 문화가 어떤 방식으로 보여지는지는 내가 스스로 책임지는 것, 그리고 내 문화가 중국 문화로 흡수되지 못하도록 하는 수단이 될 것이라는 사실을 나타내는 하나의 방법이 되었습니다.”

국제 티베트 네트워크(the International Tibet Network)의 랍생 세텐(Lobsang Tseten) 씨는 또 한 가지 중요한 점은 바로 이 같은 관행이 젊은이들을 중국 내에 살고 있는 티베트인과 세계 곳곳에 퍼져있는 티베트인들과 서로 이어주는 역할을 해준다고 이야기한다.

“자유를 위해 지속적으로 투쟁하기 위해서는 젊은 세대가 필요합니다. 이들의 뿌리를 보존해줘야 합니다. 이러한 한 가지 예가 바로 젊은 세대가 기도하고 라카르를 기념하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람살라에서 이 운동은 세링 팔든 군과 텐진 랍기예(Tenzin Rabgyae) 양과 같은 학생들 사이에서 잘 지켜지고 있는 듯하다.

“네, 저는 티베트에 가보고 싶어요.”

“네, 저는 가고 싶습니다.”

1950년 중국군이 티베트를 침략하여 티베트의 “평화해방”을 선포했을 당시 수천 명의 티베트인이 인도로 도망쳤다.

중국 정책이 역사 깊은 티베트를 새롭게 바꾸고 문화를 희석하고 있기는 하지만, 라카르 운동은 어린이들이 티베트로 돌아가는 꿈에 대한 희망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511 Will Technology Benefit Very Y… sim 02-23 2782
510 Scientists Warn of Threat to C… sim 02-17 2786
509 Elephants, Hippos Attack Villa… sim 02-17 2818
508 Mobile Health Apps to Become F… sim 02-17 2850
507 Tibetans Emphasize Cultural Id… sim 02-16 2895
506 Some Asian Countries Gain from… sim 02-13 2896
505 In Cameroon, New Tool for Preg… sim 02-12 2929
504 Could North Korea Have Hacked … sim 02-11 2729
503 Observers Say Ukraine’s Proble… sim 02-10 2688
502 Egypt’s Increase in Visitors N… sim 02-09 2845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