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ama Attends to ‘Long Term’ Projects in Final Two Years
President Barack Obama is entering the final two years of his presidency. The American economy is stronger now than at any time since he took office in 2009.
Mr. Obama says that, with the economy stronger, he is able to work on what he calls ‘long term’ projects in national and foreign affairs. The president spoke with National Public Radio on Monday. He also said he would not dismiss the possibility of improved relations with Iran.
Mr. Obama says his executive actions in recent weeks on immigration and Cuba were the result of years of work. He says he had expected 2014 to be a breakthrough year – one of important developments. And after six years in office and an improving economy, he finally had the chance to deal with some difficult issues.
“But, at the end of 2014, I could look back and say we are as well-positioned today as we have been in quite some time economically, that American leadership is more needed around the world than ever before and that is liberating in the sense that a lot of the work that we’ve done is now beginning to bear fruit. And, it gives me an opportunity then to start focusing on some of the other hard challenges that I didn’t always have the time or capacity to get to earlier in my presidency.”
Mr. Obama says he now wants to attend to ‘long term projects’ -- such as making sure an improving economy helps all Americans. He also spoke about international issues.
“…even as we’re managing ISIL (Islamic State of Iraq and the Levant) and trying to roll them back and ultimately defeat them, even as we’ve been executing the drawdown in Afghanistan in a responsible way, the moves like the Cuba diplomatic initiative are ones that I want to make sure I continue to pursue partly because, frankly, it’s easier for a president to do at the end of his term than a new president coming in.”
The president was asked if he can imagine opening an embassy in Tehran as he re-establishes ties with Cuba. Mr. Obama said the two countries are different. He said that, after 50 years of the same policy, it was time for a change with a small country that does not seem to be a major threat to the United States. He called Iran a large, developed country with a history of state-supported terrorism. He added that Iran is hostile to Israel and seeks to develop a nuclear weapon.
Mr. Obama says improved relations with Iran will hinge on a verifiable nuclear agreement. Over time, he says, U.S. and international sanctions could be removed, and Iran could be treated like other countries. Mr. Obama added that would serve as the basis for improving relations.
The United States has not had diplomatic relations with Iran since 1980. Ties were cut after Iranian activists seized the U.S. embassy and took its employees hostage. The United States and five other nations have been negotiating for a peaceful, civilian Iranian nuclear program. Iran has long denied its program has a military purpose.
The negotiators reached an interim deal in November 2013, although the two sides have failed to reach a comprehensive agreement.
Mr. Obama also praised two countries for making progress in human rights, good governance and the rule of law. He pointed to Myanmar, also known as Burma, and Tunisia where democratic transformations appear to be taking place. He described them as areas where the United States can be ‘opportunistic’ and do everything it can to help.
Mr. Obama says that, with the economy stronger, he is able to work on what he calls ‘long term’ projects in national and foreign affairs. The president spoke with National Public Radio on Monday. He also said he would not dismiss the possibility of improved relations with Iran.
Mr. Obama says his executive actions in recent weeks on immigration and Cuba were the result of years of work. He says he had expected 2014 to be a breakthrough year – one of important developments. And after six years in office and an improving economy, he finally had the chance to deal with some difficult issues.
“But, at the end of 2014, I could look back and say we are as well-positioned today as we have been in quite some time economically, that American leadership is more needed around the world than ever before and that is liberating in the sense that a lot of the work that we’ve done is now beginning to bear fruit. And, it gives me an opportunity then to start focusing on some of the other hard challenges that I didn’t always have the time or capacity to get to earlier in my presidency.”
Mr. Obama says he now wants to attend to ‘long term projects’ -- such as making sure an improving economy helps all Americans. He also spoke about international issues.
“…even as we’re managing ISIL (Islamic State of Iraq and the Levant) and trying to roll them back and ultimately defeat them, even as we’ve been executing the drawdown in Afghanistan in a responsible way, the moves like the Cuba diplomatic initiative are ones that I want to make sure I continue to pursue partly because, frankly, it’s easier for a president to do at the end of his term than a new president coming in.”
The president was asked if he can imagine opening an embassy in Tehran as he re-establishes ties with Cuba. Mr. Obama said the two countries are different. He said that, after 50 years of the same policy, it was time for a change with a small country that does not seem to be a major threat to the United States. He called Iran a large, developed country with a history of state-supported terrorism. He added that Iran is hostile to Israel and seeks to develop a nuclear weapon.
Mr. Obama says improved relations with Iran will hinge on a verifiable nuclear agreement. Over time, he says, U.S. and international sanctions could be removed, and Iran could be treated like other countries. Mr. Obama added that would serve as the basis for improving relations.
The United States has not had diplomatic relations with Iran since 1980. Ties were cut after Iranian activists seized the U.S. embassy and took its employees hostage. The United States and five other nations have been negotiating for a peaceful, civilian Iranian nuclear program. Iran has long denied its program has a military purpose.
The negotiators reached an interim deal in November 2013, although the two sides have failed to reach a comprehensive agreement.
Mr. Obama also praised two countries for making progress in human rights, good governance and the rule of law. He pointed to Myanmar, also known as Burma, and Tunisia where democratic transformations appear to be taking place. He described them as areas where the United States can be ‘opportunistic’ and do everything it can to help.

dismiss 묵살하다, 일축하다 / executive 행정의, 경영의 / breakthrough 돌파구 / even as ~하는 바로 그 순간에 / roll something back ~을 뒤로 밀어붙이다, ~을 물리치다 / drawdown 삭감, 축소 / initiative 계획, 진취성, 결단력 / ties with ~와의 관계 / hostile 적대적인 / verifiable 증명할 수 있는 / sanction 제재, 허가, 승인 / hostage 인질 / interim 중간의, 잠정적인 / good governance 양호통치 / opportunistic 기회주의적인

마지막 임기 2년 동안 장기간 프로젝트에 힘쓰려는 오바마 대통령
버락 오바마(Barack Obama) 대통령은 그의 임기 마지막 2년에 들어선다. 현 미국의 경제는 2009년 그가 취임했을 때보다 더 탄탄해졌다.
오바마 대통령은 튼튼한 경제를 기반으로 그가 국가와 외교 문제에 있어 ‘장기’ 프로젝트라고 부르는 일에 전념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한다. 대통령은 월요일 미국 공영 라디오 방송(National Public Radio)에서 언급했다. 또한, 그는 이란과의 개선된 관계의 가능성을 묵살하지 않을 거라고 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최근 몇 주간 이민에 관한 사안과 쿠바에 실행된 행정 조치가 수년간의 노력에 대한 결과였다고 말한다. 그는 2014년이 중요한 개발 중 하나인 획기적인 해가 될 것이라 예상했다고 언급한다. 그리고 6년간의 임기와 개선되는 경제로 그는 마침내 어려운 문제 몇 가지를 처리할 기회를 얻었다.
“2014년 말, 지난해를 되돌아보았을 때, 현재 우리는 경제가 어느 정도 괜찮았었던 시기만큼 괜찮은 위치에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세계 곳곳에서 예전보다 더 미국의 지도력을 필요로 하며, 이는 우리가 지금까지 해왔던 많은 일이 이제야 그 결실을 보기 시작했다는 관점에서 마음이 놓이는 일입니다. 또한, 이는 제 임기 초에 시간이나 능력이 부족해서 할 수 없었던 여러 다른 어려운 문제들에 집중할 기회를 줍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제 나아지고 있는 경제가 모든 미국인을 확실히 돕도록 하는 ‘장기간 프로젝트’에 전념하길 원한다. 그는 또한 국제 문제에 관해 이야기했다.
“우리가 이슬람 국가(ISIL)를 다루고 있고, 그들을 뒤로 물러나게 하여 결국에는 그들을 이기기 위해 노력하는 이 순간, 그리고 책임감 있는 방법으로 아프가니스탄(Afghanistan)에서 삭감을 실행하고 있는 이 시기에, 쿠바(Cuba) 외교 계획과 같은 움직임들은 제가 어느 정도는 계속해서 확실하게 추진하고 싶은 사안들입니다. 사실, 새로 취임하는 대통령이 하는 것보다 기존의 대통령이 자신의 임기 말에 이를 하는 것이 더 쉽기 때문입니다.”
대통령에게 그가 쿠바와의 관계를 회복하면서 테헤란(Tehran)에 대사관을 여는 것을 상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주어졌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 두 국가가 다르다고 답했다. 그는 같은 정책이 50년 동안 지속된 후, 지금은 미국에게 크게 위협적으로 여겨지지 않는 작은 국가와의 관계에 변화가 있어야 할 시기라고 얘기했다. 그는 이란(Iran)을 국가의 지원을 받는 테러리즘의 역사가 있는 큰, 선진국이라고 불렀다. 그는 이란이 이스라엘에 적대적이며 핵무기를 개발하길 원한다고 덧붙였다.
오바마 대통령은 핵 협정 입증 여부에 따라 이란과의 개선된 관계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시간이 지나면서 미국과 국제적 제재가 제거될 수 있으며, 이란은 다른 나라들과 같은 대우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오바마 대통령은 바로 이것이 개선되는 관계의 기초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은 1980년 이후로 이란과 외교 관계를 갖지 않았다. 이란 시위자들이 미국 대사관을 점령하고 직원들을 인질로 삼은 사건 이후 관계가 끊겼다. 미국과 다른 5개 국가는 평화를 위해 이란의 민간 핵 프로그램을 위해 교섭해왔다. 이란은 오랫동안 자국의 핵 프로그램이 군사 목적이 아니라고 부인해왔다.
협상가들은 2013년 11월 잠정적인 합의에 다다랐지만, 양측은 포괄적인 협상을 맺는 것에 실패했다.
또한, 오바마 대통령은 인권, 양호통치, 그리고 법규에 있어 진전을 이룬 두 국가에 찬사를 보냈다. 그는 민주적 개혁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지역으로 버마(Burma)로 알려진 미얀마(Myanmar)와 튀니지(Tunisia)를 지목했다. 그는 이 두 국가를 미국이 ‘기회주의적’으로 도움을 주기 위해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튼튼한 경제를 기반으로 그가 국가와 외교 문제에 있어 ‘장기’ 프로젝트라고 부르는 일에 전념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한다. 대통령은 월요일 미국 공영 라디오 방송(National Public Radio)에서 언급했다. 또한, 그는 이란과의 개선된 관계의 가능성을 묵살하지 않을 거라고 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최근 몇 주간 이민에 관한 사안과 쿠바에 실행된 행정 조치가 수년간의 노력에 대한 결과였다고 말한다. 그는 2014년이 중요한 개발 중 하나인 획기적인 해가 될 것이라 예상했다고 언급한다. 그리고 6년간의 임기와 개선되는 경제로 그는 마침내 어려운 문제 몇 가지를 처리할 기회를 얻었다.
“2014년 말, 지난해를 되돌아보았을 때, 현재 우리는 경제가 어느 정도 괜찮았었던 시기만큼 괜찮은 위치에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세계 곳곳에서 예전보다 더 미국의 지도력을 필요로 하며, 이는 우리가 지금까지 해왔던 많은 일이 이제야 그 결실을 보기 시작했다는 관점에서 마음이 놓이는 일입니다. 또한, 이는 제 임기 초에 시간이나 능력이 부족해서 할 수 없었던 여러 다른 어려운 문제들에 집중할 기회를 줍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제 나아지고 있는 경제가 모든 미국인을 확실히 돕도록 하는 ‘장기간 프로젝트’에 전념하길 원한다. 그는 또한 국제 문제에 관해 이야기했다.
“우리가 이슬람 국가(ISIL)를 다루고 있고, 그들을 뒤로 물러나게 하여 결국에는 그들을 이기기 위해 노력하는 이 순간, 그리고 책임감 있는 방법으로 아프가니스탄(Afghanistan)에서 삭감을 실행하고 있는 이 시기에, 쿠바(Cuba) 외교 계획과 같은 움직임들은 제가 어느 정도는 계속해서 확실하게 추진하고 싶은 사안들입니다. 사실, 새로 취임하는 대통령이 하는 것보다 기존의 대통령이 자신의 임기 말에 이를 하는 것이 더 쉽기 때문입니다.”
대통령에게 그가 쿠바와의 관계를 회복하면서 테헤란(Tehran)에 대사관을 여는 것을 상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주어졌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 두 국가가 다르다고 답했다. 그는 같은 정책이 50년 동안 지속된 후, 지금은 미국에게 크게 위협적으로 여겨지지 않는 작은 국가와의 관계에 변화가 있어야 할 시기라고 얘기했다. 그는 이란(Iran)을 국가의 지원을 받는 테러리즘의 역사가 있는 큰, 선진국이라고 불렀다. 그는 이란이 이스라엘에 적대적이며 핵무기를 개발하길 원한다고 덧붙였다.
오바마 대통령은 핵 협정 입증 여부에 따라 이란과의 개선된 관계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시간이 지나면서 미국과 국제적 제재가 제거될 수 있으며, 이란은 다른 나라들과 같은 대우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오바마 대통령은 바로 이것이 개선되는 관계의 기초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은 1980년 이후로 이란과 외교 관계를 갖지 않았다. 이란 시위자들이 미국 대사관을 점령하고 직원들을 인질로 삼은 사건 이후 관계가 끊겼다. 미국과 다른 5개 국가는 평화를 위해 이란의 민간 핵 프로그램을 위해 교섭해왔다. 이란은 오랫동안 자국의 핵 프로그램이 군사 목적이 아니라고 부인해왔다.
협상가들은 2013년 11월 잠정적인 합의에 다다랐지만, 양측은 포괄적인 협상을 맺는 것에 실패했다.
또한, 오바마 대통령은 인권, 양호통치, 그리고 법규에 있어 진전을 이룬 두 국가에 찬사를 보냈다. 그는 민주적 개혁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지역으로 버마(Burma)로 알려진 미얀마(Myanmar)와 튀니지(Tunisia)를 지목했다. 그는 이 두 국가를 미국이 ‘기회주의적’으로 도움을 주기 위해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