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03-11 09:20

Asian Tsunami 10th Anniversary

December 26 marks the 10th anniversary of a powerful and deadly earthquake in the eastern Indian Ocean. It was the most powerful quake to hit the area in 40 years. The quake was so forceful it caused the Earth’s axis to move a few centimeters.

Scientists measured the quake as a magnitude nine. It caused an ocean wave, or tsunami, so big it destroyed entire coastal communities.

The deadly tsunami killed about 220,000 people- one-third of them children. The disaster left nearly 5 million people homeless. The disaster affected at least 12 countries. Indonesia was hardest hit by the tsunami, with more than 160,000 dead. Thousands more were killed in Thailand and Sri Lanka. The tsunami waves traveled as far as Africa.

Ten years later, VOA Correspondent Steve Herman reports from Banda Aceh, Indonesia.

All across beaches in Aceh, Indonesia, there are monuments, cemeteries and mass graves. One of these monuments marks the nearest point on land to where the massive undersea earthquake struck.

A woman named Salmi Hardiyanti lost 23 relatives. Like tens of thousands of other victims, their bodies were never found.

“I try to visit every mass grave in Banda Aceh to pray for them.”

Samsul Bahri’s wife was at their home just 20 meters from the beach when the waves hit. She and others near the beach were among the first to die.

An aid group rebuilt his house in the same location.

“I can’t afford to live anywhere else. So I had to come back here even though I’m afraid.”

Three kilometers from the coast is a monument that shows the force of the tsunami that destroyed a village. This monument is a huge 2,700-ton ship -- 69 meters long and 19 meters wide. This ship was making electricity offshore. The second tsunami wave moved the boat five kilometers from its position. It came to rest on top of two homes.

At a high school located in the area, only 60 of the 400 students survived the tsunami. A young man named Surya now goes to school there.

He was seven at the time of the disaster and lost 12 family members. International aid workers found him with a broken leg and other injuries.

He remembers trying to survive the deadly waves of the tsunami.

“Wherever we go, wherever we sit, wherever we run, death will eventually come. By the grace of Allah, we live and we die."

Many of the areas hit by the tsunami were underdeveloped. They struggled to recover from the disaster. But the international aid community responded quickly. Aid groups collected over $13 billion to aid in recovery and rebuilding efforts.

Scientists say destructive tsunamis have struck Indonesia before and will again. They warn that people living on the coast should always be prepared.
earthquake 지진 / quake 지진, 마구 흔들리다 / forceful 강력한, 단호한 / magnitude 규모, 중요도 / monument 기념물 / mass grave 공동묘지 / destructive 파괴적인
10주년을 맞이한 아시아 쓰나미
12월 26일은 동부 인도양(Indian Ocean)에서 강력하고 치명적인 지진이 발생한 지 10년이 되는 날이다. 이는 이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 중 40년 만에 가장 강력한 지진이었다. 이 지진의 강도가 너무 강력해서 지구의 자전축이 몇 센티미터가량 움직이기도 했다.

과학자들은 이 지진을 9.0 규모로 측정했다. 이는 엄청난 크기의 파도, 즉 쓰나미(tsunami)를 일으켰고, 이는 해안 지역 전체를 파괴했다.

이 치명적인 쓰나미로 약 22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중 3분의 1은 아이들이었다. 이 자연재해는 500만 명 가까이 되는 사람들의 집을 앗아갔으며, 적어도 12개 국가에 영향을 끼쳤다. 인도네시아(Indonesia)는 16만 명이 넘는 사상자를 내면서 쓰나미로 인한 가장 큰 피해를 보았다. 태국(Thailand)과 스리랑카(Sri Lanka)에서 수천 명의 사람들이 추가로 목숨을 잃었다. 이 쓰나미는 멀리 아프리카 지역까지 닿았다.

이로부터 10년 후, 보이스 오브 아메리카(VOA) 특파원 스티브 허먼(Steve Herman) 씨가 인도네시아 반다아체(Banda Aceh)에서 보도한다.

인도네시아 아체에 있는 해변 전역에는 기념물, 묘지, 그리고 공동묘지가 있다. 이 기념물 중 하나는 엄청난 규모의 해저지진이 발생한 곳과 가장 가까운 땅의 지점을 표시하고 있다.

살미 하디얀티(Salmi Hardiyanti)라는 이름의 한 여성은 23명의 친척을 잃었다. 다른 수천, 수만 명의 피해자들처럼 이들의 시신은 발견되지 않았다.

“저는 반다아체에 있는 모든 공동묘지를 찾아가 그들을 위해 기도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삼술 바리(Samsul Bahri) 씨의 아내는 쓰나미가 강타했을 당시 해변에서 단 20m 떨어진 곳에 있는 그들의 집에 있었다. 그녀와 해변 가까이에 있던 사람들이 제일 먼저 목숨을 잃었다.

한 봉사 단체가 같은 곳에 그의 집을 다시 지어주었다.

“저는 다른 곳에 살 수 있는 능력이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두렵지만, 이곳으로 다시 와야만 했습니다.”

해안가에서 3km 떨어진 곳에는 한 마을을 파괴한 쓰나미의 강도를 보여주는 기념물이 서 있다. 이 기념물은 엄청나게 큰 2,700톤 무게의 배로, 길이는 69m며 넓이는 19m이다. 이 배는 연안에서 전기를 만들고 있었다. 두 번째 쓰나미가 이 배를 원래 위치에서 5km 떨어진 곳으로 옮겨 놓았다. 이 배는 두 집 위에 서 있다.

이 지역에 있는 한 고등학교에서는 400명의 학생 중 60명만이 쓰나미에서 살아남았다. 수리아(Surya)라는 이름의 한 어린 남학생이 현재 그곳에 있는 학교에 다닌다.

이 자연재해가 일어났을 당시 그는 7살이었고, 12명의 가족을 잃었다. 국제 봉사 단원들이 다리가 부러지고 그 외의 부상을 입은 그를 발견했다.

그는 이 쓰나미의 강력한 파도에서 살아남으려고 애쓴 것을 기억한다.

“우리가 어디를 가든지, 어디에 앉든지, 어디로 뛰어가든지, 결국 죽음은 와요. 알라신(Allah)의 자비로 저희는 살고 죽습니다.”

쓰나미가 강타한 지역 중 많은 곳은 후진국이었다. 이들은 이 자연재해에서 회복하기 위해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국제 지원 단체들은 빠르게 대처했다. 지원 단체들은 회복과 재건을 돕기 위해 130억 달러의 기금을 모았다.

과학자들은 파괴적인 쓰나미가 과거에 인도네시아를 강타했고, 미래에도 그럴 것이라고 말한다. 이들은 해안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고 경고한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531 China’s President Calls for Ma… sim 03-20 2638
530 Kenyan Tourism Suffers from Te… sim 03-19 2799
529 Education Activist Praises Gai… sim 03-18 2809
528 Conservationists Try to Save R… sim 03-17 2929
527 Obama Attends to ‘Long Term’ P… sim 03-16 2669
526 China May Lower Number of Crim… sim 03-13 2825
525 S. Korea Raises Security after… sim 03-12 2583
524 Asian Tsunami 10th Anniversary… sim 03-11 2800
523 Islamic State Changed Syria an… sim 03-10 2911
522 US Politics Could Affect Iran … sim 03-09 2745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