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03-23 09:19

Pollution Turning India's Taj Mahal Yellow

For years, people living near the Taj Mahal have burned fuel and garbage. Slowly, tiny pieces of those fires are changing the marble on the Taj Mahal from bright white to brownish yellow. The pollution leaves particles that change the marble’s color.

The 17th-century monument is located in the busy, industrial city of Agra in northern India. Many have long blamed the city’s air pollution for discoloring the famed monument.

Researchers from two American universities and several Indian institutions led a year-long study to test the idea. They placed small pieces of clean marble on the Taj Mahal. They left them there for two months, and then studied the particles that landed on their surfaces.

Professor S.N. Tripathi at the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at Kanpur is one of the authors of the study. He said the particles come from many sources – especially from diesel trucks.

“We have [an] increasing fleet of diesel vehicles nowadays in cities, large vehicles, trucks; that’s number one, and that is a major emission source for black carbon and organic carbon.”

Mr. Tripathi said burning garbage and cow dung is another major source of discoloring organic carbon. Especially now, when it is cold, he said, people burn almost anything to keep warm.

- Efforts to reduce pollution
Over the last ten years officials have banned vehicles within 500 meters of the monument. They have also tried to support clean fuel and improve the power supply to lessen the effect of diesel machines.

But despite these measures, a 2010 study found that the non-stop growth of industry, population and traffic have only worsened air pollution in Agra.

- Targeted protection needed
Preservationists, or people trying to keep the monument safe, say the monument needs more targeted protection.

Ratish Nanda in New Delhi said some changes are to be expected in a monument that is over 360 years old. He believes that the single issue of discoloration should not cause an over-reaction.

But Mr. Nanda said the scientific community needs to be more involved in observing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monument. And, he said the Taj needs more money to protect it.

“The whole preservation mechanism of the Taj Mahal needs to change… Absolutely, the one thing that is absolutely essential is to put in a regime of conservation, that whatever cleaning is done, should be sensitive and have absolutely no long term impact.”

Since 1994, authorities have been giving the monument mud pack treatments to remove the discoloration. The treatment is just like the beauty treatment women have used on their faces and bodies for centuries. A mud pack treatment involves covering the Taj’s surface with clay, and then taking it off. The monument received the treatment for the fourth time last June, but experts warn the process could have unwanted side effects.

In 2013, nearly 6 million people visited the monument. It is considered one of the finest examples of Mughal art and architecture in India.
pollution 공해, 오염 / fuel 연료 / marble 대리석 / monument 기념물, 역사적인 건축물 / industrial 산업의 / discoloring 변색 / famed 유명한 / particle 입자 / institution 기관 / emission 배출 / black carbon 블랙 카본, 그을음 / organic carbon 유기 탄소 / measure 방침 / preservation 보존 / mechanism 기계 장치 / regime 제도, 체제
인도의 타지마할을 누렇게 만드는 공해
타지마할(the Taj Mahal) 인근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수년간 연료와 쓰레기를 태워왔다. 이 같은 불씨가 타지마할의 대리석을 밝은 흰색에서 황갈색으로 바꾸고 있다. 이 공해는 대리석의 색을 변화시키는 입자를 남기게 된다.

17세기에 지어진 기념물은 인도 북부지역의 아그라(Agra)라는 번잡한 산업도시에 있다. 많은 이들은 이 유명한 건축물의 변색이 시의 공해 때문이라고 생각해왔다.

두 개의 미국 대학과 인도 내 여러 기관 소속 연구진은 이 같은 생각을 확인해보기 위해 2년 동안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은 타지마할에 작고 깨끗한 대리석 조각들을 놓았다. 2개월간 같은 자리에 조각들을 둔 후 대리석 표면에 내려앉은 입자를 연구했다.

칸푸르(Kanpur)에 있는 인도공과대학(the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소속 S.N. 트리파티(S.N. Tripathi) 박사는 이번 연구의 입안자 중 한 명이다. 그는 입자가 여러 곳으로부터 오는데, 특히 디젤 트럭에서 많이 비롯된다고 이야기했다.

“요즘 도시에 대형 자가용, 트럭과 같은 디젤 자가용이 많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게 가장 큰 원인이며, 이것이 블랙 카본과 유기 탄소의 주된 발생 원인입니다.”

트리파티 씨는 쓰레기와 소 배설물을 태우는 것도 유기 탄소 변색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이야기했다. 특히 요즘 사람들은 추우면 따뜻하게 지내기 위해 뭐든 태우려 한다고 말했다.

- 오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

지난 10년간 관계자들은 타지마할 반경 500m 내에 자가용을 금지했다. 이들은 또한 디젤 엔진 기계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청정연료와 전력 공급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그러나 이 같은 조치에도 불구하고 2010년 진행된 한 연구에서 산업, 인구 그리고 교통량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아그라의 공해는 더 악화되었다고 한다.

- 보호를 목표로 하는 필요 방안

건축물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는 환경운동 보호가들은 보호를 목표로 하는 방안이 더 많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한다.

뉴델리(New Delhi)의 러티셔 난다(Ratish Nanda) 씨는 지어진 지 360년도 넘은 이 건축물에 몇 가지 변화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변색이라는 한 가지 문제가 과잉반응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난다 씨는 과학계가 건축물에 대한 손상을 막고 관찰하는 데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타지마할의 보존 방법은 변해야 합니다.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바로 보존 정책을 도입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청소는 무조건 세심해야 하며, 절대 장기적인 영향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1994년 이후로 당국은 변색을 없애기 위해 머드팩 요법을 이용해왔다. 이 처치법은 수백 년간 여성들이 얼굴과 몸에 이용해온 것과 같은 미용법이다. 머드팩 요법은 타지마할의 표면을 점토로 덮은 후 벗겨내는 과정을 말한다. 건축물은 지난 6월 네 번째 머드팩 요법을 받았는데, 전문가들은 이 조치가 원치 않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다고 한다.

2013년 거의 6백만 명이 이 건축물을 방문했다. 이는 인도에서 무갈 예술과 건축 양식이 가장 잘 표현된 예 중 하나로 손꼽힌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541 North Korea Offers Nuclear Tal… sim 04-06 2519
540 Taiwan Criticizes China's… sim 04-03 2866
539 US to Provide $2 Billion Loan … sim 04-02 2564
538 Christian Group Lists Worst Co… sim 03-31 2877
537 Internet-Connected Refrigerato… sim 03-30 2755
536 US Defends Cuba Policy After D… sim 03-27 2764
535 Science Fiction Becomes Realit… sim 03-26 3021
534 Oil Supply Swells Driving Pric… sim 03-25 2974
533 Nations Preparing to Deal with… sim 03-24 2800
532 Pollution Turning India's… sim 03-23 2857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