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th Korea Wants Japan to Apologize to WWII Sex Slaves
Every week, protesters gather in front of the Japanese embassy in the South Korean capital. They want Japan to apologize for forcing thousands of Korean women to have sex with Japanese soldiers during World War II. And they want Japan to make payments to the women for the physical and emotional harm they suffered.
This year marks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the war. But the protestors have not forgotten what the Korean women were forced to do.
In South Korea, there are only a few surviving women who were forced into sex slavery during World War II. But young people are joining the weekly demonstration near Japan’s embassy in Seoul. Sixteen-year-old Kwon Oh-ryung was in the crowd at one recent protest.
“Japanese doing such a, such a, you know such a crime to us, so we couldn’t stand it. We couldn’t bear it.”
It is estimated that more than 200,000 women from across Asia were forced to have sex with occupying Japanese soldiers during the war.
Yoon Mi-hyang has organized the demonstrations. Ms. Yoon is with a group called The Korean Council for The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She says she and others have been protesting for almost 25 years.
She says the reason we stand here is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has not accepted its crime and has not offered an official apology and legal compensation which victims have been asking for.
South Koreans have become even more emotional about the issue since Shinzo Abe became Japan’s prime minister. He is less apologetic for Japan’s actions during the war than other prime ministers have been. Last year, Mr. Abe visited a memorial that listed the names of war criminals. The visit angered people in neighboring countries.
Mr. Abe also angered South Korea and other Asian countries by questioning earlier apologies Japan made for sexual slavery. Some of his conservative allies have suggested that not all of the women were forced into the sex trade.
Mr. Abe has said he may want to amend a statement made in 1995 by then-Prime Minister Tomiichi Murayama. Mr. Murayama apologized for the damage and suffering Japan caused during World War II. Mr. Abe may announce the changes in August on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the war.
“As it is now 70 years since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e) Abe cabinet will be reflecting on what we did wrong in the last war and also on our progress as a peace-loving nation.”
At a recent protest in Seoul, a chair was left empty for one of the former sex slaves who had just died. Yoon Mi-hyang says this new generation of protesters will not let Korea’s sense of anger go away after the survivors die.
“The purpose of our activity is not to repeat such a tragic event like the comfort women issue; it is also what the victims want.”
The protesters say they will not forget or forgive until Japan apologizes and makes payments.
This year marks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the war. But the protestors have not forgotten what the Korean women were forced to do.
In South Korea, there are only a few surviving women who were forced into sex slavery during World War II. But young people are joining the weekly demonstration near Japan’s embassy in Seoul. Sixteen-year-old Kwon Oh-ryung was in the crowd at one recent protest.
“Japanese doing such a, such a, you know such a crime to us, so we couldn’t stand it. We couldn’t bear it.”
It is estimated that more than 200,000 women from across Asia were forced to have sex with occupying Japanese soldiers during the war.
Yoon Mi-hyang has organized the demonstrations. Ms. Yoon is with a group called The Korean Council for The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She says she and others have been protesting for almost 25 years.
She says the reason we stand here is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has not accepted its crime and has not offered an official apology and legal compensation which victims have been asking for.
South Koreans have become even more emotional about the issue since Shinzo Abe became Japan’s prime minister. He is less apologetic for Japan’s actions during the war than other prime ministers have been. Last year, Mr. Abe visited a memorial that listed the names of war criminals. The visit angered people in neighboring countries.
Mr. Abe also angered South Korea and other Asian countries by questioning earlier apologies Japan made for sexual slavery. Some of his conservative allies have suggested that not all of the women were forced into the sex trade.
Mr. Abe has said he may want to amend a statement made in 1995 by then-Prime Minister Tomiichi Murayama. Mr. Murayama apologized for the damage and suffering Japan caused during World War II. Mr. Abe may announce the changes in August on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the war.
“As it is now 70 years since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e) Abe cabinet will be reflecting on what we did wrong in the last war and also on our progress as a peace-loving nation.”
At a recent protest in Seoul, a chair was left empty for one of the former sex slaves who had just died. Yoon Mi-hyang says this new generation of protesters will not let Korea’s sense of anger go away after the survivors die.
“The purpose of our activity is not to repeat such a tragic event like the comfort women issue; it is also what the victims want.”
The protesters say they will not forget or forgive until Japan apologizes and makes payments.

protestor 시위자 / embassy 대사관 / emotional 감정적인 / demonstration 시위 / occupying 점령중인 / compensation 보상, 위자료 / memorial 기념비 / conservative 보수적인 / tragic 비극적인 / comfort women 위안부

2차 세계 대전 당시 위안부에 대한 일본의 사과를 요구하는 한국
매주 서울에 있는 일본 대사관 앞에 시위자들이 모여든다. 이들은 2차 세계 대전 당시 수천 명의 한국 여성에게 일본 군인과 성관계를 강요한 것에 대해 일본이 사과하길 원한다. 그리고 이들은 이 여성들이 받은 신체적 그리고 정신적 피해에 대한 보상으로 일본 측이 위자료를 지급하길 원한다.
올해는 전쟁이 끝난 지 70주년이 되는 해이다. 하지만 시위자들은 과거 한국 여성이 강요당했던 일들을 잊지 않았다.
2차 세계 대전 당시 성매매를 강요당했던 여성 중 생존해 있는 사람은 몇 남아있지 않다. 하지만 젊은이들이 서울의 일본 대사관 근처에서 매주 열리는 시위에 참여하고 있다. 16살인 권오령(Kwon Oh-rhyung) 양은 최근 있었던 한 시위에 참여했다.
“일본인들이 우리에게 정말 너무나 끔찍한 범죄를 저질렀잖아요. 그래서 저희는 가만히 있을 수 없었어요. 견딜 수가 없었어요.”
아시아(Asia) 전역에서 온 20만 명 이상의 여성이 전쟁 중에 일본 점령군들과 성관계를 강요당했다.
윤미향(Yoon Mi-hyang) 씨는 시위를 준비했다. 윤 씨는 한국 일본군 강제위안부 문제 대책 협의회(The Korean Council for The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라는 단체 소속이다. 그녀는 자신을 포함한 다른 여러 사람이 거의 25년 동안 시위를 진행해왔다고 이야기한다.
그녀는 자신들이 그곳에서 시위하는 이유는 일본 정부가 자국의 범죄를 인정하지 않았으며, 지금까지 피해자들이 요청해왔던 법적 보상 및 공식 사과를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한다.
한국인들은 신조 아베(Shinzo Abe) 씨가 일본 총리가 된 이후부터 이 문제에 대해 더욱 감정적이 되었다. 그는 과거 다른 총리들에 비해 전쟁 중 일본의 행동에 대해 덜 미안해한다. 지난해 아베 총리는 전범들의 이름이 기록된 한 기념비를 방문했다. 이 방문으로 인해 많은 주변국이 분노했다.
아베 총리는 과거 일본의 성 노예에 대한 사과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한국과 여러 아시아 국가들을 분노하게 했다. 그의 보수파 지지자 중 몇몇은 모든 여성이 성매매를 강요당했던 것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1995년 토미치 무라야마(Tomiichi Murayama) 총리가 한 발언을 개정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이 준 피해와 고통에 대해 사과했다. 아베 총리는 이번 8월, 전쟁 종료 70주년 기념일에 이 결정에 대해 발표할 수도 있다.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지 이제 70년이 지났습니다. 아베 정권은 과거 전쟁에서 우리가 무엇을 잘못했는지에 대해, 그리고 평화를 사랑하는 국가로서 우리의 진전을 되돌아볼 것입니다.”
최근 서울에서 있었던 한 시위에서 얼마 전 세상을 떠난 위안부 할머니 중 한 명을 위한 빈 의자가 놓였었다. 윤미향 씨는 이번 차세대 시위자들은 생존자들이 세상을 떠난 후에도 한국인들의 분노가 사라지지 않게 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저희의 활동 목적은 위안부 문제와 같은 비극적인 사건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는 피해자들이 원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시위자들은 일본이 사과하고 위자료를 지급하기 전까지 이 일을 잊지도, 일본을 용서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올해는 전쟁이 끝난 지 70주년이 되는 해이다. 하지만 시위자들은 과거 한국 여성이 강요당했던 일들을 잊지 않았다.
2차 세계 대전 당시 성매매를 강요당했던 여성 중 생존해 있는 사람은 몇 남아있지 않다. 하지만 젊은이들이 서울의 일본 대사관 근처에서 매주 열리는 시위에 참여하고 있다. 16살인 권오령(Kwon Oh-rhyung) 양은 최근 있었던 한 시위에 참여했다.
“일본인들이 우리에게 정말 너무나 끔찍한 범죄를 저질렀잖아요. 그래서 저희는 가만히 있을 수 없었어요. 견딜 수가 없었어요.”
아시아(Asia) 전역에서 온 20만 명 이상의 여성이 전쟁 중에 일본 점령군들과 성관계를 강요당했다.
윤미향(Yoon Mi-hyang) 씨는 시위를 준비했다. 윤 씨는 한국 일본군 강제위안부 문제 대책 협의회(The Korean Council for The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라는 단체 소속이다. 그녀는 자신을 포함한 다른 여러 사람이 거의 25년 동안 시위를 진행해왔다고 이야기한다.
그녀는 자신들이 그곳에서 시위하는 이유는 일본 정부가 자국의 범죄를 인정하지 않았으며, 지금까지 피해자들이 요청해왔던 법적 보상 및 공식 사과를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한다.
한국인들은 신조 아베(Shinzo Abe) 씨가 일본 총리가 된 이후부터 이 문제에 대해 더욱 감정적이 되었다. 그는 과거 다른 총리들에 비해 전쟁 중 일본의 행동에 대해 덜 미안해한다. 지난해 아베 총리는 전범들의 이름이 기록된 한 기념비를 방문했다. 이 방문으로 인해 많은 주변국이 분노했다.
아베 총리는 과거 일본의 성 노예에 대한 사과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한국과 여러 아시아 국가들을 분노하게 했다. 그의 보수파 지지자 중 몇몇은 모든 여성이 성매매를 강요당했던 것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1995년 토미치 무라야마(Tomiichi Murayama) 총리가 한 발언을 개정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이 준 피해와 고통에 대해 사과했다. 아베 총리는 이번 8월, 전쟁 종료 70주년 기념일에 이 결정에 대해 발표할 수도 있다.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지 이제 70년이 지났습니다. 아베 정권은 과거 전쟁에서 우리가 무엇을 잘못했는지에 대해, 그리고 평화를 사랑하는 국가로서 우리의 진전을 되돌아볼 것입니다.”
최근 서울에서 있었던 한 시위에서 얼마 전 세상을 떠난 위안부 할머니 중 한 명을 위한 빈 의자가 놓였었다. 윤미향 씨는 이번 차세대 시위자들은 생존자들이 세상을 떠난 후에도 한국인들의 분노가 사라지지 않게 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저희의 활동 목적은 위안부 문제와 같은 비극적인 사건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는 피해자들이 원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시위자들은 일본이 사과하고 위자료를 지급하기 전까지 이 일을 잊지도, 일본을 용서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