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ector's Story Raised Questions on Report of Abuse in North Korea
Recent comments of a man who fled North Korea are raising questions about the U.N. report on human rights abuses in the country. The man gave information to U.N. investigators. He has now admitted that parts of what he told them about his life in North Korean prison camps were untrue.
U.N. officials say even though the man’s story is not completely true, it does not mea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should be disputed.
The man's story demonstrates the difficulty of confirming information in one of the world’s most secretive countries.
Shin Dong-hyuk was one of many people who gave evidence to the U.N. Commission of Inquiry into North Korea. His statements helped document a system of political prisons in North Korea and abuses that include murder, enslavement and torture.
But his recent admission that parts of his story are untrue has led North Korea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Commission’s report. North Korea’s state-operated news agency said “the admission of his lies goes to prove that everything told by those who claim to be ‘defectors from the North’ cannot be trusted.”
The Commission’s chairman has said the man’s misleading statements do not damage the report’s believability. The chairman noted the report includes evidence from hundreds of witnesses.
Ahn Chan-il also defends the report. He fled North Korea. He is now president of the World Institute of North Korea Studies.
He says human rights violations are continuing in North Korea. He says the violations are 10 or even 100 times worse than what Shin Dong-hyuk and other defectors have reported.
Shin Dong-hyuk says the important details of his torture in North Korean camps are true. He says he was hung over a fire and did witness the execution of his mother and brother. But he admits he misled investigators about some dates and other details. He failed to say that he had escaped two times to China, where he was caught and returned to North Korea. He also falsely said he was tortured for escaping at the age of 13. He was 20 when the torture happened.
Choi Yong-sang works at the Network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 in North Korea. He says it can be difficult at times to convince defectors to give complete and truthful reports about their experiences. Some may withhold details to protect family members in the North. Others may repress painful memories. And, he says, some may overstate their stories, especially if they are being paid to talk to the media.
He says the media often reports on defectors who tell more sensational and interesting stories. He says such stories are directly connected to money.
North Korea greatly restricts visitor travel and communication in the country. Outside groups have to depend on those who escaped to confirm reports of abuse.
Rights groups say even though Shin Dong-hyuk’s story has proven not to be completely true, there is still evidence to support the U.N. Commission’s decision to urge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to consider the issue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U.N. officials say even though the man’s story is not completely true, it does not mea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should be disputed.
The man's story demonstrates the difficulty of confirming information in one of the world’s most secretive countries.
Shin Dong-hyuk was one of many people who gave evidence to the U.N. Commission of Inquiry into North Korea. His statements helped document a system of political prisons in North Korea and abuses that include murder, enslavement and torture.
But his recent admission that parts of his story are untrue has led North Korea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Commission’s report. North Korea’s state-operated news agency said “the admission of his lies goes to prove that everything told by those who claim to be ‘defectors from the North’ cannot be trusted.”
The Commission’s chairman has said the man’s misleading statements do not damage the report’s believability. The chairman noted the report includes evidence from hundreds of witnesses.
Ahn Chan-il also defends the report. He fled North Korea. He is now president of the World Institute of North Korea Studies.
He says human rights violations are continuing in North Korea. He says the violations are 10 or even 100 times worse than what Shin Dong-hyuk and other defectors have reported.
Shin Dong-hyuk says the important details of his torture in North Korean camps are true. He says he was hung over a fire and did witness the execution of his mother and brother. But he admits he misled investigators about some dates and other details. He failed to say that he had escaped two times to China, where he was caught and returned to North Korea. He also falsely said he was tortured for escaping at the age of 13. He was 20 when the torture happened.
Choi Yong-sang works at the Network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 in North Korea. He says it can be difficult at times to convince defectors to give complete and truthful reports about their experiences. Some may withhold details to protect family members in the North. Others may repress painful memories. And, he says, some may overstate their stories, especially if they are being paid to talk to the media.
He says the media often reports on defectors who tell more sensational and interesting stories. He says such stories are directly connected to money.
North Korea greatly restricts visitor travel and communication in the country. Outside groups have to depend on those who escaped to confirm reports of abuse.
Rights groups say even though Shin Dong-hyuk’s story has proven not to be completely true, there is still evidence to support the U.N. Commission’s decision to urge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to consider the issue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abuse 남용, 폭력 / prison camp 포로수용소 / dispute 논쟁하다 / demonstrate 보여주다, 입증하다 / admission 시인, 가입 / witness 목격자 / violation 위반 / sensational 놀라운, 엄청난

북한 내의 폭력 실상의 진실 여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 탈북자의 이야기
최근 북한을 탈출한 한 남성의 이야기는 북한 내 인권에 대한 유엔의 보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 남성은 유엔의 조사관들에게 정보를 전달했었다. 현재 그는 북한 포로수용소에서의 삶에 대해 자신이 한 이야기 중 일부는 사실이 아니었다고 시인했다.
유엔 관계자들은 비록 그의 말이 전부 진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긴 했지만, 조사 결과가 논란거리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이야기한다.
이 남성의 이야기는 가장 비밀스러운 국가 중 한 곳인 북한에 대한 정보 확인의 어려움을 잘 나타내준다.
신동혁(Shin Dong-hyuk) 씨는 유엔 북한 조사위원회(the U.N. Commission of Inquiry into North Korea) 측에 정보를 제공한 여러 사람 중 한 명이다. 그의 증언은 살인, 노예화, 그리고 고문을 포함한 북한의 정치 포로수용소에 대한 상세한 정보 기록에 도움이 되었다.
하지만 자신의 이야기 중 일부가 사실이 아니었다는 그의 발언으로 인해 북한은 위원회의 보고서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게 되었다. 북한의 국영 방송은 “그의 거짓 시인으로 자신이 탈북자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전부를 신뢰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입증한다”고 밝혔다.
위원회의 위원장은 이 남성의 거짓 증언이 보고서의 신뢰성에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는다고 이야기했다. 위원장은 수백 명의 증인으로부터 얻은 증거가 포함되어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안찬일(Ahn Chan-il) 씨도 보고서를 옹호한다. 그는 현재 세계 북한 연구 협회(the World Institute of North Korea Studies)의 회장이다.
그는 북한의 인권 침해는 계속되고 있다고 말한다. 침해는 신동혁 씨나 다른 탈북자들이 보고한 것보다 열 배, 때로는 백 배 더 심하다고 그는 말한다.
신동혁 씨는 북한 수용소에서 고문당한 이야기의 세부적인 내용은 진실이었다고 이야기한다. 그는 불 위에 매달려있었고 어머니와 형제가 처형되는 모습을 지켜봤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기와 다른 세부사항에 대해 조사관들을 호도했다고 인정했다. 그는 자신이 중국으로 두 번 탈출했고 그곳에서 잡혀 북한으로 다시 반환되었다는 사실을 숨겼다. 그는 또한 13살 때 탈출했다는 죄로 고문당했다고 거짓 증언을 했다. 고문당했을 때 그는 13살이 아닌 20살이었다.
최영상(Choi Yong-Sang) 씨는 북한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한 네트워크(the Network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에서 일한다. 그는 탈북자들이 자신의 경험에 대한 온전히 정직한 보고를 하도록 설득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도 있다고 말한다. 어떤 이들은 북한에 남아있는 가족을 보호하기 위해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어떤 이들은 아픈 기억을 억누르려 한다. 또한, 그는 자신의 이야기를 과장하는 사람도 있다고 말한다. 특히 대가를 받고 언론에 이야기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그에 따르면 언론은 놀랍고 흥미로운 이야기를 더 많이 하는 탈북자들의 이야기를 소개한다고 한다. 이 같은 이야기는 돈과 직결되었다고 한다.
북한은 자국 내의 방문객 여행과 소통을 강력히 제재한다. 외부 단체들은 폭력에 대한 보도를 확인하기 위해 탈출한 이들의 이야기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인권단체들은 신동혁 씨의 이야기가 전부 사실이 아니라고 증명되었으나 북한의 인권 문제를 고려해달라고 국제 범죄 재판소에 촉구하는 데에 필요한 증거로는 충분하다고 이야기한다.
유엔 관계자들은 비록 그의 말이 전부 진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긴 했지만, 조사 결과가 논란거리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이야기한다.
이 남성의 이야기는 가장 비밀스러운 국가 중 한 곳인 북한에 대한 정보 확인의 어려움을 잘 나타내준다.
신동혁(Shin Dong-hyuk) 씨는 유엔 북한 조사위원회(the U.N. Commission of Inquiry into North Korea) 측에 정보를 제공한 여러 사람 중 한 명이다. 그의 증언은 살인, 노예화, 그리고 고문을 포함한 북한의 정치 포로수용소에 대한 상세한 정보 기록에 도움이 되었다.
하지만 자신의 이야기 중 일부가 사실이 아니었다는 그의 발언으로 인해 북한은 위원회의 보고서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게 되었다. 북한의 국영 방송은 “그의 거짓 시인으로 자신이 탈북자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전부를 신뢰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입증한다”고 밝혔다.
위원회의 위원장은 이 남성의 거짓 증언이 보고서의 신뢰성에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는다고 이야기했다. 위원장은 수백 명의 증인으로부터 얻은 증거가 포함되어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안찬일(Ahn Chan-il) 씨도 보고서를 옹호한다. 그는 현재 세계 북한 연구 협회(the World Institute of North Korea Studies)의 회장이다.
그는 북한의 인권 침해는 계속되고 있다고 말한다. 침해는 신동혁 씨나 다른 탈북자들이 보고한 것보다 열 배, 때로는 백 배 더 심하다고 그는 말한다.
신동혁 씨는 북한 수용소에서 고문당한 이야기의 세부적인 내용은 진실이었다고 이야기한다. 그는 불 위에 매달려있었고 어머니와 형제가 처형되는 모습을 지켜봤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기와 다른 세부사항에 대해 조사관들을 호도했다고 인정했다. 그는 자신이 중국으로 두 번 탈출했고 그곳에서 잡혀 북한으로 다시 반환되었다는 사실을 숨겼다. 그는 또한 13살 때 탈출했다는 죄로 고문당했다고 거짓 증언을 했다. 고문당했을 때 그는 13살이 아닌 20살이었다.
최영상(Choi Yong-Sang) 씨는 북한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한 네트워크(the Network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에서 일한다. 그는 탈북자들이 자신의 경험에 대한 온전히 정직한 보고를 하도록 설득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도 있다고 말한다. 어떤 이들은 북한에 남아있는 가족을 보호하기 위해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어떤 이들은 아픈 기억을 억누르려 한다. 또한, 그는 자신의 이야기를 과장하는 사람도 있다고 말한다. 특히 대가를 받고 언론에 이야기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그에 따르면 언론은 놀랍고 흥미로운 이야기를 더 많이 하는 탈북자들의 이야기를 소개한다고 한다. 이 같은 이야기는 돈과 직결되었다고 한다.
북한은 자국 내의 방문객 여행과 소통을 강력히 제재한다. 외부 단체들은 폭력에 대한 보도를 확인하기 위해 탈출한 이들의 이야기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인권단체들은 신동혁 씨의 이야기가 전부 사실이 아니라고 증명되었으나 북한의 인권 문제를 고려해달라고 국제 범죄 재판소에 촉구하는 데에 필요한 증거로는 충분하다고 이야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