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05-11 09:22

New practice among immigrants

The U.S. Census Bureau says more than half the adults in the Los Angeles area between 18 and 34 years old speak a language other than English at home. For the whole country, the number of bilingual adults is only 25 percent.

The number of bilingual speakers has gone up since the 1990s.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foreign-born millennials has gone down. In other words, more people in the U.S. are learning a second language at home or in school.

Many immigrant parents are passing their native languages to their American-born children, say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professor Raul Hinojosa.

Mr. Hinojosa says that in the past, the children and grandchildren of immigrants did not continue to speak the parents’ native language. But now the opposite is true.

In the last ten years, more immigrant parents say they want their children to keep speaking their native language. Mr. Hinojosa calls their choice the “path of pride.”

“Mandarin is going to be encouraged. Japanese is going to be encouraged. Vietnamese is going to be encouraged.”

Raul Hinojosa says the decision to keep a native language is clear in Los Angeles now. And, as the number of minorities in the U.S. continues to grow, he thinks bilingualism will spread to the rest of the country.
immigrant 이민자 / census 인구 조사 / bureau 부서, 사무실, 단체 / bilingual 이중 언어를 사용하는 / foreign-born 외국 태생의 / Mandarin 중국 표준어 / minority 소수집단, 소수 / bilingualism 2개 국어 상용
이민자들 사이의 새로운 관습
미국 통계국(U.S. Census Bureau)에 따르면, LA에 거주하는 18세에서 34세의 성인들 가운데 절반 이상이 집에서 영어 외에 한 가지 언어를 사용한다고 한다. 나라 전체를 통틀어, 2개 국어가 가능한 성인 수는 25%에 그친다.

2개 국어 사용자의 숫자는 1990년대 이래로 계속 증가해왔다. 동시에 외국 태생의 밀레니얼(Y세대 사람들) 숫자는 감소했다. 다시 말해서, 미국인들 가운데 집이나 학교에서 제2언어를 배우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민자 부모들 가운데 다수가 자신의 모국어를 미국에서 태어난 자녀들에게 가르치고 있다고 UCLA(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교수 라울 이노호사(Raul Hinojosa) 씨는 말한다.

이노호사 교수의 말에 따르면 과거에는 이민자들의 자녀와 손자들이 부모의 모국어를 계속 사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은 정반대다.

지난 10년 동안, 자녀가 자신들의 모국어를 계속 사용했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이민자 부모들이 늘었다. 이노호사 교수는 이들의 선택을 “자부심(긍지)을 보여주는 방법”이라고 일컫는다.

“만다린(표준 중국어)이 권장될 거예요. 일본어가 권장될 거고요. 베트남어가 권장되겠죠.”

현재 LA에서는 자신들의 모국어를 지키려는 새로운 관습이 형성되고 있음이 분명하다고 이노호사 교수는 말한다. 또한, 미국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의 숫자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2개 국어를 말하는 능력은 LA뿐만 아니라 그 외 전역으로 확산될 것으로 내다보았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571 Tensions Rise Again over Falkl… sim 05-15 2572
570 'Made in New York' I… sim 05-14 2866
569 Dead Sea Scrolls Still Have Le… sim 05-13 2945
568 NASA to Study Astronaut on Yea… sim 05-12 2819
567 New practice among immigrants… sim 05-11 2616
566 More Assertive Japan Before Ab… sim 05-08 2866
565 Scrap Metal Separation May Bec… sim 05-07 2977
564 Landmark to Close as Camp Davi… sim 05-06 3017
563 Hundreds in Hanoi Protest Tree… sim 05-06 2822
562 Hundreds in Hanoi Protest Tree… sim 05-04 2882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