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e Assertive Japan Before Abe's US Visit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is making plans for a state visit to the United States. Mr. Abe will travel to Washington next month for talks with President Barack Obama. The two leaders are expected to discuss a number of issues, including the security alliance between their countries.
Shinzo Abe was re-elected as prime minister of Japan in 2012. Since then, Mr. Abe has shown a willingness to create a more aggressive security policy for his country. He wants Japan to be a more active partner in its security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He also wants more Japanese involvement in efforts to settle conflicts in Asia and the Pacific.
One reason for a more active policy has been Japan’s recent decision to reconsider part of its constitution, known as Article 9. The article bars the country from going to war or having a military.
Tetsuo Kotani works for the Jap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He says the country took a big step when it reinterpreted Article 9, looking at the measure in a different way.
“Last year, the Japanese government made a cabinet decision to reinterpret Article 9 so that Japan can exercise so-called collective self-defense, which means Japan can provide protection for other countries’ militaries when you are conducting combined operations. So in that sense, we already reinterpreted Article 9, and we are reviewing our security legislation to reflect this cabinet decision.”
Observers believe that Mr. Abe has been pushing for the change for a number of reasons. Some say one is Mr. Abe’s personality. Scott Harold is with the RAND Corporation research group.
“In part, it’s because Abe fundamentally believes that it’s his mission as prime minister, and he’s been given a second chance to do it after resigning in disgrace in 2007, he’s been given a second bite at the apple. And this time around he’s determined to make sure that Japan reaches a number of important national security goals that will help ensure its survival as a nation.”
At the same time, Japan’s relations with its neighbors are involved. Shihoko Goto is an expert on Northeast Asia for the Woodrow Wilson Center in Washington. She says the biggest regional influence is China.
“China’s growing military presence -- its military budget alone is going up by double digits -- and also the territorial disputes. China has these with a number of Asian countries. But in the East China Sea, it’s with Japan over what Japan called the Senkaku Islands. There’s also the North Korea threat that continues to this day.”
Shihoko Goto adds that Mr. Abe’s move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Article 9 also had to do with the United States. She says President Obama has talked about America’s need to rebalance to Asia. But she notes the U.S. government has limits on how much it can spend. She says the Obama administration is also concerned about the Middle East and the situation in Russia.
Observers believe the Japanese decision was at least partly based on Japan’s need to become more involved in defense cooperation with the U.S.
“Any opening in security legislation is welcome.” Those are the words of Lieutenant Colonel Jeffrey Pool, a U.S. Defense Department spokesman.
The Islamic State militant group executed two Japanese citizens earlier this year. With that and Mr. Abe’s visit next month, observers believe the security alliance will be an important part of the discussions.
Shinzo Abe was re-elected as prime minister of Japan in 2012. Since then, Mr. Abe has shown a willingness to create a more aggressive security policy for his country. He wants Japan to be a more active partner in its security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He also wants more Japanese involvement in efforts to settle conflicts in Asia and the Pacific.
One reason for a more active policy has been Japan’s recent decision to reconsider part of its constitution, known as Article 9. The article bars the country from going to war or having a military.
Tetsuo Kotani works for the Jap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He says the country took a big step when it reinterpreted Article 9, looking at the measure in a different way.
“Last year, the Japanese government made a cabinet decision to reinterpret Article 9 so that Japan can exercise so-called collective self-defense, which means Japan can provide protection for other countries’ militaries when you are conducting combined operations. So in that sense, we already reinterpreted Article 9, and we are reviewing our security legislation to reflect this cabinet decision.”
Observers believe that Mr. Abe has been pushing for the change for a number of reasons. Some say one is Mr. Abe’s personality. Scott Harold is with the RAND Corporation research group.
“In part, it’s because Abe fundamentally believes that it’s his mission as prime minister, and he’s been given a second chance to do it after resigning in disgrace in 2007, he’s been given a second bite at the apple. And this time around he’s determined to make sure that Japan reaches a number of important national security goals that will help ensure its survival as a nation.”
At the same time, Japan’s relations with its neighbors are involved. Shihoko Goto is an expert on Northeast Asia for the Woodrow Wilson Center in Washington. She says the biggest regional influence is China.
“China’s growing military presence -- its military budget alone is going up by double digits -- and also the territorial disputes. China has these with a number of Asian countries. But in the East China Sea, it’s with Japan over what Japan called the Senkaku Islands. There’s also the North Korea threat that continues to this day.”
Shihoko Goto adds that Mr. Abe’s move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Article 9 also had to do with the United States. She says President Obama has talked about America’s need to rebalance to Asia. But she notes the U.S. government has limits on how much it can spend. She says the Obama administration is also concerned about the Middle East and the situation in Russia.
Observers believe the Japanese decision was at least partly based on Japan’s need to become more involved in defense cooperation with the U.S.
“Any opening in security legislation is welcome.” Those are the words of Lieutenant Colonel Jeffrey Pool, a U.S. Defense Department spokesman.
The Islamic State militant group executed two Japanese citizens earlier this year. With that and Mr. Abe’s visit next month, observers believe the security alliance will be an important part of the discussions.

assertive 적극적인 / security alliance 안보동맹 / aggressive 공격적인 / policy 정책 / conflict 분쟁 / constitution 헌법 / cabinet decision 각의 결정 / fundamentally 근본적으로 / ensure 보장하다 / regional influence 지역 세력 / reinterpret 재해석하다, 새롭게 해석하다 / execute 처형하다, 사형하다

아베 총리의 미 순방 전 일본의 적극적인 자세
일본의 신조 아베(Shinzo Abe) 총리는 미국을 공식 방문할 계획이다. 아베 총리는 다음 달 버락 오바마(Barack Obama) 대통령과의 회담을 위해 워싱턴을 방문할 것이다. 이 두 정상은 양국의 보안 동맹을 포함한 여러 사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신조 아베 총리는 2012년 일본 총리로 재선출되었다. 이때부터 아베 총리는 자국을 위한 더욱 공격적인 안보 정책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보였다. 그는 미국과의 안보 관계에 있어서 일본이 더욱 적극적인 동맹국이 되길 원한다. 또한, 아시아(Asia)와 태평양(the Pacific) 지역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 일본이 더욱 많이 개입하길 원한다.
더욱 활발한 정책을 원하는 이유 중 하나는 평화헌법 9조로 알려진 일본 헌법을 재고하려는 최근의 결정 때문이다. 이 조항은 일본이 전쟁하거나 군사를 보유하는 것을 금지한다.
테츠오 코타니(Tetsuo Kotani) 씨는 일본 국제 정세 연구소(the Jap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소속이다. 그는 일본이 헌법 9조를 개정하고 정책을 다른 관점으로 바라봄으로써 큰 움직임을 보인 것이라고 한다.
“지난해 일본 정부는 일본이 집단적 자위권을 발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헌법 9조를 개정하는 각의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는 일본이 연합작전 진행 시 동맹국 군사를 방위 할 수 있는 권리를 나타냅니다. 그러한 면에서 우리는 이미 헌법 9조를 재해석했다고 볼 수 있으며 이 같은 각의 결정을 반영하기 위한 안보 제정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관찰자들은 아베 총리가 이 같은 변화를 밀어붙이는 데에는 여러 이유가 존재한다고 믿는다. 어떤 이들은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아베 총리의 성격 때문이라고 한다. 스콧 해럴드(Scott Harold) 씨는 랜드 연구소(the RAND Corporation) 소속이다.
“부분적으로 아베 총리는 이것이 총리로서 자신의 의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2007년 불명예스럽게 사임한 후 이 같은 변화를 만들 기회를 다시 얻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이번에 그는 무슨 일이 있어도 일본이 국가로서 생존을 보장해줄 국가 안보 관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동시에 일본과 이웃 국가 간의 관계도 관련되었다. 시호코 고토(Shihoko Goto) 씨는 워싱턴(Washington)에 있는 우드로 윌슨 국제학술센터(the Woodrow Wilson Center) 소속 동북아시아 전문가이다. 그녀는 가장 큰 지역 세력은 바로 중국(China)이라고 한다.
“군사 예산이 두 자릿수로 증가하고 있는 중국의 군사력은 점점 강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영토 분쟁도 문제입니다. 중국은 현재 아시아 내 여러 국가와 영토분쟁을 겪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중국해에서는 센카쿠 제도(the Senkaku Islands)를 두고 일본과 분쟁 중입니다. 그리고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북한(North Korea)과의 문제도 있습니다.”
시호코 고토 씨는 헌법 9조의 의미를 개정하려는 아베 총리의 움직임은 미국과도 관련이 있다고 한다. 그녀에 따르면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이 아시아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녀는 미 정부의 예산이 제한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녀는 오바마 행정부는 중동(the Middle East)과 러시아(Russia)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태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다고 말한다.
관찰자들은 일본의 결정은 일부 미국과의 방위 협력에 더 참여해야 할 필요성 때문이었다고 믿고 있다.
“안보 법안에 대한 기회는 어떤 것이든 환영입니다.” 이는 미 국방부(Defense Department) 대변인인 제프리 풀(Jeffrey Pool) 중령의 이야기다.
이슬람 국가(the Islamic State) 반군단체는 올해 초 일본인 두 명을 처형했다. 이 사건과 다음 달 아베 총리의 미국 방문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안보동맹이 대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관찰자들은 예상하고 있다.
신조 아베 총리는 2012년 일본 총리로 재선출되었다. 이때부터 아베 총리는 자국을 위한 더욱 공격적인 안보 정책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보였다. 그는 미국과의 안보 관계에 있어서 일본이 더욱 적극적인 동맹국이 되길 원한다. 또한, 아시아(Asia)와 태평양(the Pacific) 지역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 일본이 더욱 많이 개입하길 원한다.
더욱 활발한 정책을 원하는 이유 중 하나는 평화헌법 9조로 알려진 일본 헌법을 재고하려는 최근의 결정 때문이다. 이 조항은 일본이 전쟁하거나 군사를 보유하는 것을 금지한다.
테츠오 코타니(Tetsuo Kotani) 씨는 일본 국제 정세 연구소(the Jap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소속이다. 그는 일본이 헌법 9조를 개정하고 정책을 다른 관점으로 바라봄으로써 큰 움직임을 보인 것이라고 한다.
“지난해 일본 정부는 일본이 집단적 자위권을 발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헌법 9조를 개정하는 각의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는 일본이 연합작전 진행 시 동맹국 군사를 방위 할 수 있는 권리를 나타냅니다. 그러한 면에서 우리는 이미 헌법 9조를 재해석했다고 볼 수 있으며 이 같은 각의 결정을 반영하기 위한 안보 제정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관찰자들은 아베 총리가 이 같은 변화를 밀어붙이는 데에는 여러 이유가 존재한다고 믿는다. 어떤 이들은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아베 총리의 성격 때문이라고 한다. 스콧 해럴드(Scott Harold) 씨는 랜드 연구소(the RAND Corporation) 소속이다.
“부분적으로 아베 총리는 이것이 총리로서 자신의 의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2007년 불명예스럽게 사임한 후 이 같은 변화를 만들 기회를 다시 얻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이번에 그는 무슨 일이 있어도 일본이 국가로서 생존을 보장해줄 국가 안보 관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동시에 일본과 이웃 국가 간의 관계도 관련되었다. 시호코 고토(Shihoko Goto) 씨는 워싱턴(Washington)에 있는 우드로 윌슨 국제학술센터(the Woodrow Wilson Center) 소속 동북아시아 전문가이다. 그녀는 가장 큰 지역 세력은 바로 중국(China)이라고 한다.
“군사 예산이 두 자릿수로 증가하고 있는 중국의 군사력은 점점 강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영토 분쟁도 문제입니다. 중국은 현재 아시아 내 여러 국가와 영토분쟁을 겪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중국해에서는 센카쿠 제도(the Senkaku Islands)를 두고 일본과 분쟁 중입니다. 그리고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북한(North Korea)과의 문제도 있습니다.”
시호코 고토 씨는 헌법 9조의 의미를 개정하려는 아베 총리의 움직임은 미국과도 관련이 있다고 한다. 그녀에 따르면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이 아시아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녀는 미 정부의 예산이 제한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녀는 오바마 행정부는 중동(the Middle East)과 러시아(Russia)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태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다고 말한다.
관찰자들은 일본의 결정은 일부 미국과의 방위 협력에 더 참여해야 할 필요성 때문이었다고 믿고 있다.
“안보 법안에 대한 기회는 어떤 것이든 환영입니다.” 이는 미 국방부(Defense Department) 대변인인 제프리 풀(Jeffrey Pool) 중령의 이야기다.
이슬람 국가(the Islamic State) 반군단체는 올해 초 일본인 두 명을 처형했다. 이 사건과 다음 달 아베 총리의 미국 방문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안보동맹이 대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관찰자들은 예상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