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 Defense Secretary Visits Asia to Seek 'Rebalance'
The United States Secretary of Defense is in Tokyo as part of a weeklong trip to the Asia-Pacific area. Ashton Carter aims to support allies Japan and Korea while restating the U.S. commitment to the so-called Asia-Pacific rebalance.
That policy seeks to place more political and military power to a fast-growing area. The U.S. and China are competing for influence among Asian nations. But Ashton Carter says that does not mean they are enemies.
- U.S. relations with Asian countries
“The U.S. and China are not allies, but we don’t have to be adversaries.”
Sheila Smith is the writer of the new book “Intimate Rivals: Japan’s Domestic Politics in a Rising China.” She says the Japanese and U.S. governments are seeking new guidelines on defense cooperation. She says Japan will want to center those guidelines on China’s increased power.
But she says the U.S. also has been watching China as it demonstrates its growing military power. She notes that the U.S. has 50,000 American troops on the ground in Japan.
Tensions between Japan and China have grown as the two argue over disputed islands in the East China Sea. Tensions over issues from World War II have also affected relations between the countries in recent years.
Defense officials say the new U.S.-Japan defense guidelines will include cooperation on space and cyber-security.
Writer Sheila Smith says the guidelines work well with the Japanese government’s proposed new understanding of the country’s constitution. That document has historically been understood as a rejection of the use of Japanese military action except in direct defense of the country.
“And that had been extended and been interpreted to say ‘we can’t even use force to help the United States as it’s helping us.’”
The new understanding would approve of “collective self-defense.” This would permit Japan to act in alliance with the U.S. in the Pacific.
But wider military possibilities for Japan could raise concern for another U.S. ally: South Korea.
Ms. Smith says she believes Secretary Carter will make clear that the U.S.-Japan alliance is about the defense of Japan and will not interfere with the Korean peninsula.
- Trans-Pacific Partnership
Mr. Carter gave a speech before he left for the Asia trip. He spoke to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Arizona about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a trade agreement with 11 other nations. Most of those nations are in Asia.
Secretary Carter called on Congress to pass a law that would permit President Obama to sign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He said the Asia-Pacific will help define America’s future. He noted that by 2050 the Asia Pacific area will hold half of the world’s people. He said in just 15 years more than half the global middle-class population will live there. And he said regional defense spending is on the rise.
Mr. Carter told the students that guaranteeing peace, economic health and progress in the Asia-Pacific area will be their generation’s central goal.
Secretary Carter said the trade agreement will help increase U.S. exports by a predicted $123 billion in the next ten years. He said it would be risky to not join the TPP. He said the U.S. could be denied access to the growing markets in the area.
That policy seeks to place more political and military power to a fast-growing area. The U.S. and China are competing for influence among Asian nations. But Ashton Carter says that does not mean they are enemies.
- U.S. relations with Asian countries
“The U.S. and China are not allies, but we don’t have to be adversaries.”
Sheila Smith is the writer of the new book “Intimate Rivals: Japan’s Domestic Politics in a Rising China.” She says the Japanese and U.S. governments are seeking new guidelines on defense cooperation. She says Japan will want to center those guidelines on China’s increased power.
But she says the U.S. also has been watching China as it demonstrates its growing military power. She notes that the U.S. has 50,000 American troops on the ground in Japan.
Tensions between Japan and China have grown as the two argue over disputed islands in the East China Sea. Tensions over issues from World War II have also affected relations between the countries in recent years.
Defense officials say the new U.S.-Japan defense guidelines will include cooperation on space and cyber-security.
Writer Sheila Smith says the guidelines work well with the Japanese government’s proposed new understanding of the country’s constitution. That document has historically been understood as a rejection of the use of Japanese military action except in direct defense of the country.
“And that had been extended and been interpreted to say ‘we can’t even use force to help the United States as it’s helping us.’”
The new understanding would approve of “collective self-defense.” This would permit Japan to act in alliance with the U.S. in the Pacific.
But wider military possibilities for Japan could raise concern for another U.S. ally: South Korea.
Ms. Smith says she believes Secretary Carter will make clear that the U.S.-Japan alliance is about the defense of Japan and will not interfere with the Korean peninsula.
- Trans-Pacific Partnership
Mr. Carter gave a speech before he left for the Asia trip. He spoke to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Arizona about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a trade agreement with 11 other nations. Most of those nations are in Asia.
Secretary Carter called on Congress to pass a law that would permit President Obama to sign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He said the Asia-Pacific will help define America’s future. He noted that by 2050 the Asia Pacific area will hold half of the world’s people. He said in just 15 years more than half the global middle-class population will live there. And he said regional defense spending is on the rise.
Mr. Carter told the students that guaranteeing peace, economic health and progress in the Asia-Pacific area will be their generation’s central goal.
Secretary Carter said the trade agreement will help increase U.S. exports by a predicted $123 billion in the next ten years. He said it would be risky to not join the TPP. He said the U.S. could be denied access to the growing markets in the area.

commitment 약속 / rebalance 재균형 / compete 경쟁하다 / influence 영향, 영향을 미치다 / adversary 적 / intimate 친밀한 / rival 경쟁자 / guideline 지침 / constitution 헌법 / rejection 거부 / interpret 해석하다, 설명하다 / collective 집단의 / interfere 개입하다 / progress 진보 / risky 위험한

“재균형 정책” 반영을 위한 미 국방장관의 아시아 순방
미 국방장관은 일주일 예정의 아시아 태평양(the Asia Pacific) 지역 순방을 위해 현재 도쿄(Tokyo)에 머무르고 있다. 애슈턴 카터(Ashton Carter) 장관은 일본(Japan), 한국(Korea)과 같은 동맹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미국의 아시아 태평양 재균형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할 계획이다.
이번 정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정치력과 군사력을 더욱 강화할 것이다. 미국과 중국(China)은 아시아 국가에 대한 영향력을 더 많이 확보하기 위해 겨루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미국과 중국이 서로 적대 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라고 카터 장관은 말한다.
미국과 아시아 국가와의 관계
“미국과 중국이 동맹국은 아니지만 적이 될 필요는 없습니다.”
쉴라 스미스(Sheila Smith) 씨는 새로 출간된 “친밀한 경쟁자: 떠오르는 중국과 일본의 국내 정치”의 저자이다. 그녀는 중국과 미 정부는 방위 협력에 대한 새로운 협력 지침을 찾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한다. 또한, 일본은 증대된 중국의 힘에 대처하기 위해 이 같은 새로운 지침에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미국도 중국의 군사력 강화를 지켜봐 왔다고 그녀는 이야기한다. 그녀는 현재 일본에는 50,000명의 미군이 주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일본과 중국의 갈등은 동중국해의 영토분쟁으로 더욱 고조되었다. 최근 양국 관계는 2차 세계 대전과 관련하여 풀리지 않은 여러 문제 때문에 더욱 악화되었다.
국방 관계자들은 새로운 미국-일본 국방 지침에 우주 및 사이버 안보 협력 조항도 포함될 것이라고 한다.
쉴라 스미스 작가는 새 지침은 일본 정부의 헌법 재인식과도 잘 맞는다고 이야기한다. 이 문서는 국가에 대한 직접적인 방어 이외에는 군사 행동을 발휘하지 않겠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미국이 우리를 돕고 있지만 그래도 우리는 무력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라는 의미로 해석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이 같은 헌법의 재인식은 “집단적 자위”를 승인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일본은 태평양 지역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과 동맹을 맺고 서로 협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본의 확대된 군사 행동은 미국의 또 다른 동맹국인 한국(South Korea)에는 반가운 소식이 아닐 것이다.
스미스 씨는 카터 장관은 미-일 동맹은 일본의 방위를 위한 것이며, 한반도 개입은 전혀 없을 것임을 분명히 밝힐 것으로 믿는다고 말한다.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
카터 장관은 아시아 순방에 나서기 직전 미국의 한 대학교에서 연설했다. 그는 애리조나 대학교(the University of Arizona) 학생들을 대상으로 11개국과 이룬 무역 협정인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he Trans-Pacific Partnership)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 11개국 중 대부분은 아시아 국가이다.
카터 장관은 의회에 오바마 대통령(President Obama)이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에 서명하도록 하는 법안을 통과시킬 것을 요청했다. 그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미국 미래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2050년이면 세계 인구의 절반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살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15년 후면 세계 중산층의 반 이상이 이곳에 살고 있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또한, 이 지역의 국방비 지출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카터 장관은 학생들에게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평화, 경제 번영 및 진보의 보장은 이들 세대의 주요 목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카터 장관은 이번 무역 협정이 10년 안에 미국의 수출 규모를 1조 2,300억 달러까지 증가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에 참여하지 않는 것은 위험한 선택일 것이라고 한다. 참여를 거부하면 미국은 점점 성장하고 있는 지역 시장에 접근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정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정치력과 군사력을 더욱 강화할 것이다. 미국과 중국(China)은 아시아 국가에 대한 영향력을 더 많이 확보하기 위해 겨루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미국과 중국이 서로 적대 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라고 카터 장관은 말한다.
미국과 아시아 국가와의 관계
“미국과 중국이 동맹국은 아니지만 적이 될 필요는 없습니다.”
쉴라 스미스(Sheila Smith) 씨는 새로 출간된 “친밀한 경쟁자: 떠오르는 중국과 일본의 국내 정치”의 저자이다. 그녀는 중국과 미 정부는 방위 협력에 대한 새로운 협력 지침을 찾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한다. 또한, 일본은 증대된 중국의 힘에 대처하기 위해 이 같은 새로운 지침에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미국도 중국의 군사력 강화를 지켜봐 왔다고 그녀는 이야기한다. 그녀는 현재 일본에는 50,000명의 미군이 주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일본과 중국의 갈등은 동중국해의 영토분쟁으로 더욱 고조되었다. 최근 양국 관계는 2차 세계 대전과 관련하여 풀리지 않은 여러 문제 때문에 더욱 악화되었다.
국방 관계자들은 새로운 미국-일본 국방 지침에 우주 및 사이버 안보 협력 조항도 포함될 것이라고 한다.
쉴라 스미스 작가는 새 지침은 일본 정부의 헌법 재인식과도 잘 맞는다고 이야기한다. 이 문서는 국가에 대한 직접적인 방어 이외에는 군사 행동을 발휘하지 않겠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미국이 우리를 돕고 있지만 그래도 우리는 무력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라는 의미로 해석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이 같은 헌법의 재인식은 “집단적 자위”를 승인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일본은 태평양 지역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과 동맹을 맺고 서로 협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본의 확대된 군사 행동은 미국의 또 다른 동맹국인 한국(South Korea)에는 반가운 소식이 아닐 것이다.
스미스 씨는 카터 장관은 미-일 동맹은 일본의 방위를 위한 것이며, 한반도 개입은 전혀 없을 것임을 분명히 밝힐 것으로 믿는다고 말한다.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
카터 장관은 아시아 순방에 나서기 직전 미국의 한 대학교에서 연설했다. 그는 애리조나 대학교(the University of Arizona) 학생들을 대상으로 11개국과 이룬 무역 협정인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he Trans-Pacific Partnership)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 11개국 중 대부분은 아시아 국가이다.
카터 장관은 의회에 오바마 대통령(President Obama)이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에 서명하도록 하는 법안을 통과시킬 것을 요청했다. 그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미국 미래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2050년이면 세계 인구의 절반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살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15년 후면 세계 중산층의 반 이상이 이곳에 살고 있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또한, 이 지역의 국방비 지출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카터 장관은 학생들에게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평화, 경제 번영 및 진보의 보장은 이들 세대의 주요 목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카터 장관은 이번 무역 협정이 10년 안에 미국의 수출 규모를 1조 2,300억 달러까지 증가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에 참여하지 않는 것은 위험한 선택일 것이라고 한다. 참여를 거부하면 미국은 점점 성장하고 있는 지역 시장에 접근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