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s Middle Class Changes Demand for Wheat Grain
Asia’s growing middle-class population is changing its diet from the traditional bowl of rice to more Western-style food. The change in taste increases demand for more grains, especially wheat-based foods.
Countries such as Australia and the United States have gained from the increase in demand for wheat. But the increase poses a challenge for the global food industry in the years ahead to meet the demand.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says by 2030 two-thirds of the global middle class, or 3.3 billion people, will live in Asia.
Greg Harvey is managing director of the Interflour Group in Singapore. He says, "when you have a growing middle-class population with high disposable income, the demand for grain-based food products, more red meat protein and dairy products grow.”
In Indonesia, the fastest-growing segment of food is bread. China is importing more barley for beer production and feed grain for the meat industry.
Nick Reitmeier is vice president at Thailand's Central Food Retail group. He says the change is apparent in malls and supermarkets where more people ask for “Westernized food.”
"Bread is one of the key factors here. We're selling a lot of sourdough bread today. And most Asian people have really liked the taste of it in the bakery, so even specialty bread where they use different flour like from Austria, purple wheat flour, Japanese flour, you know, there's a huge demand for flour as well as bread mixes."
In its annual forecast released in March, the Australian Bureau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and Sciences (ABARES) says Australia's grain and oilseed production will rise over the next five years from 24 million tons to over 42 million.
Despite the growth, wheat traders say Australia will not meet the rising demand. That leaves the way open for increased sales from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the Black Sea region into Asia.
Ron Storey is a consultant with Australian Crop Forecasters. He says changing food tastes is driving the demand.
"That shift, if you like, from the bowl of rice across to chicken and pork and more dairy products is what's happening and that seems to be what's driving the demand. One of the real questions, I think, from a supply side, is the capacity of the different origins of grain production to be able to meet that demand over the next 10- to 20-year period."
Countries such as Australia and the United States have gained from the increase in demand for wheat. But the increase poses a challenge for the global food industry in the years ahead to meet the demand.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says by 2030 two-thirds of the global middle class, or 3.3 billion people, will live in Asia.
Greg Harvey is managing director of the Interflour Group in Singapore. He says, "when you have a growing middle-class population with high disposable income, the demand for grain-based food products, more red meat protein and dairy products grow.”
In Indonesia, the fastest-growing segment of food is bread. China is importing more barley for beer production and feed grain for the meat industry.
Nick Reitmeier is vice president at Thailand's Central Food Retail group. He says the change is apparent in malls and supermarkets where more people ask for “Westernized food.”
"Bread is one of the key factors here. We're selling a lot of sourdough bread today. And most Asian people have really liked the taste of it in the bakery, so even specialty bread where they use different flour like from Austria, purple wheat flour, Japanese flour, you know, there's a huge demand for flour as well as bread mixes."
In its annual forecast released in March, the Australian Bureau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and Sciences (ABARES) says Australia's grain and oilseed production will rise over the next five years from 24 million tons to over 42 million.
Despite the growth, wheat traders say Australia will not meet the rising demand. That leaves the way open for increased sales from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the Black Sea region into Asia.
Ron Storey is a consultant with Australian Crop Forecasters. He says changing food tastes is driving the demand.
"That shift, if you like, from the bowl of rice across to chicken and pork and more dairy products is what's happening and that seems to be what's driving the demand. One of the real questions, I think, from a supply side, is the capacity of the different origins of grain production to be able to meet that demand over the next 10- to 20-year period."

demand 수요 / wheat 밀 / pose 제기하다, 질문을 제기하다 / two-thirds 3분의 2 / challenge 어려움, 도전 / disposable income 가처분 소득 / segment 부분 / oilseed 지방 종자 / apparent 분명한

아시아 중산층이 밀 곡물의 수요를 바꾸다
아시아의 중산층 인구가 증가하면서 전통적인 밥 한 공기의 식사를 좀 더 서양적인 음식으로 바꾸고 있다. 이런 입맛의 변화는 더 많은 곡물, 특히 밀가루로 만들어진 음식의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다.
밀의 수요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호주와 미국과 같은 국가들은 이득을 얻었다. 하지만 이 증가는 앞으로 몇 년 동안 이 수요를 맞추고자 하는 세계 음식 산업에 어려움을 제기한다.
경제 협력 개발 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중산층의 3분의 2, 즉 330억 명이 아시아에 살 것이라고 말한다.
그레그 하비(Greg Harvey) 씨는 싱가포르(Singapore)에 있는 인터플라워 그룹(Interflour Group)의 상무이사다. 그는 “높은 실소득을 가진 중산층 인구가 증가하면, 곡물로 만들어진 음식 상품, 더 많은 붉은 고기 단백질과 유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게 됩니다.”라고 말한다.
인도네시아(Indonesia)에서 가장 빨리 증가하고 있는 식품은 바로 빵이다. 중국은 맥주 생산과 정육업 사료용 곡물을 위해 더 많은 보리를 수입하고 있다.
닉 라이트마이어(Nick Reitmeier) 씨는 태국 센트럴 푸드 리테일(Central Food Retail) 그룹의 부사장이다. 그는 더 많은 사람이 “서양화된 식품”을 요구하는 쇼핑몰이나 슈퍼마켓에서 이 변화가 뚜렷이 나타난다고 언급한다.
“빵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저희는 현재 많은 양의 사워도우 빵(sourdough bread)을 판매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아시아 사람들이 이 맛을 정말 좋아했습니다. 그래서 심지어는 특별한 빵을 만드는 데에 필요한 밀가루, 보라색 밀가루처럼 오스트리아에서 생산되는 다른 밀가루와 일본산 밀가루 등 밀가루에 대한 수요가 엄청나게 높을 뿐 아니라 브래드 믹스(bread mix)에 대한 수요도 높습니다.”
호주 농업자원경제과학청 아바레스(ABARES)가 3월에 발행한 연간 예측에는 앞으로 5년 동안 호주의 곡물과 지방 종자 생산량이 2천4백만 톤에서 4천2백만 톤이 넘을 것이라고 나와 있다.
이러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호주는 증가하는 수요를 맞추지 못할 것이라고 밀 무역상들은 말한다. 이로 인해 미국, 캐나다, 그리고 아시아로 들어가는 흑해 지역에 판매량이 늘 것으로 예상된다.
론 스토리(Ron Storey) 씨는 호주 농작물 분석 업체(Australian Crop Forecasters)의 자문 위원이다. 그는 바뀌는 식품에 대한 입맛이 수요를 이끌고 있다고 말한다.
“밥 한 그릇에서 닭고기, 돼지고기, 그리고 더 많은 유제품을 좋아하는 변화가 현재 일어나고 있으며, 이것이 수요를 이끄는 것으로 보입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 공급자의 입장에서 나오는 진정한 질문 중 하나는, 곡물을 생산하는 여러 지역에서 앞으로 10~20년 동안 그 수요를 맞출 능력이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밀의 수요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호주와 미국과 같은 국가들은 이득을 얻었다. 하지만 이 증가는 앞으로 몇 년 동안 이 수요를 맞추고자 하는 세계 음식 산업에 어려움을 제기한다.
경제 협력 개발 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중산층의 3분의 2, 즉 330억 명이 아시아에 살 것이라고 말한다.
그레그 하비(Greg Harvey) 씨는 싱가포르(Singapore)에 있는 인터플라워 그룹(Interflour Group)의 상무이사다. 그는 “높은 실소득을 가진 중산층 인구가 증가하면, 곡물로 만들어진 음식 상품, 더 많은 붉은 고기 단백질과 유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게 됩니다.”라고 말한다.
인도네시아(Indonesia)에서 가장 빨리 증가하고 있는 식품은 바로 빵이다. 중국은 맥주 생산과 정육업 사료용 곡물을 위해 더 많은 보리를 수입하고 있다.
닉 라이트마이어(Nick Reitmeier) 씨는 태국 센트럴 푸드 리테일(Central Food Retail) 그룹의 부사장이다. 그는 더 많은 사람이 “서양화된 식품”을 요구하는 쇼핑몰이나 슈퍼마켓에서 이 변화가 뚜렷이 나타난다고 언급한다.
“빵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저희는 현재 많은 양의 사워도우 빵(sourdough bread)을 판매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아시아 사람들이 이 맛을 정말 좋아했습니다. 그래서 심지어는 특별한 빵을 만드는 데에 필요한 밀가루, 보라색 밀가루처럼 오스트리아에서 생산되는 다른 밀가루와 일본산 밀가루 등 밀가루에 대한 수요가 엄청나게 높을 뿐 아니라 브래드 믹스(bread mix)에 대한 수요도 높습니다.”
호주 농업자원경제과학청 아바레스(ABARES)가 3월에 발행한 연간 예측에는 앞으로 5년 동안 호주의 곡물과 지방 종자 생산량이 2천4백만 톤에서 4천2백만 톤이 넘을 것이라고 나와 있다.
이러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호주는 증가하는 수요를 맞추지 못할 것이라고 밀 무역상들은 말한다. 이로 인해 미국, 캐나다, 그리고 아시아로 들어가는 흑해 지역에 판매량이 늘 것으로 예상된다.
론 스토리(Ron Storey) 씨는 호주 농작물 분석 업체(Australian Crop Forecasters)의 자문 위원이다. 그는 바뀌는 식품에 대한 입맛이 수요를 이끌고 있다고 말한다.
“밥 한 그릇에서 닭고기, 돼지고기, 그리고 더 많은 유제품을 좋아하는 변화가 현재 일어나고 있으며, 이것이 수요를 이끄는 것으로 보입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 공급자의 입장에서 나오는 진정한 질문 중 하나는, 곡물을 생산하는 여러 지역에서 앞으로 10~20년 동안 그 수요를 맞출 능력이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