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pute About Genetically Engineered Rice
Scientists in the Philippines are working to make changes to rice. They hope these changes will help solve one of the world’s biggest health issues: the lack of Vitamin A.
It is called “golden rice” because the rice is yellow. It has been genetically changed, or modified, to produce beta carotene, a form of Vitamin A.
Opponents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 including the environmental group Greenpeace – do not like what the scientists are doing. But supporters of golden rice say it could help save as many as two million lives a year. Young children and pregnant women can, and do, die from Vitamin A deficiency.
Vitamin A is missing from the food of millions of people in the developing world. The deficiency is the leading cause of childhood blindness. It is a public health problem in half of all countries, including many in Africa and Southeast Asia.
Patrick Moore is an ecologist and former Greenpeace president. He supports production of golden rice. He says there should not even be debate about the issue while children starve.
Mr. Moore left Greenpeace in the 1980s and disagrees with many of its positions.
VOA asked Greenpeace to answer Mr. Moore’s criticisms of its opposition to golden rice. The group answered in an email. It read: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consist almost entirely of herbicide-tolerant and insect-resistant crops marketed to developing countries.”
It said this agricultural model damages human health and hurts farmers and the environment.
Large companies do produce some genetically modified crops. They gain legal control of the plant production through patents. But in the Philippines, government and donor money is being used to develop golden rice in the Philippines. These groups hope farmers throughout the developing world will someday grow it. They hope it will help solve a problem that many scientists believe is as serious as malaria or tuberculosis.
Daniel Ocampo is a Southeast Asia agriculture expert for Greenpeace in Manila. He argues that golden rice is still not ready as a food for humans after 20 years of research. He says it could be more dangerous than its supporters will admit.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in the Philippines has been experimenting with golden rice for nine years. It says it has more work to do before the rice can be eaten by humans.
It is called “golden rice” because the rice is yellow. It has been genetically changed, or modified, to produce beta carotene, a form of Vitamin A.
Opponents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 including the environmental group Greenpeace – do not like what the scientists are doing. But supporters of golden rice say it could help save as many as two million lives a year. Young children and pregnant women can, and do, die from Vitamin A deficiency.
Vitamin A is missing from the food of millions of people in the developing world. The deficiency is the leading cause of childhood blindness. It is a public health problem in half of all countries, including many in Africa and Southeast Asia.
Patrick Moore is an ecologist and former Greenpeace president. He supports production of golden rice. He says there should not even be debate about the issue while children starve.
Mr. Moore left Greenpeace in the 1980s and disagrees with many of its positions.
VOA asked Greenpeace to answer Mr. Moore’s criticisms of its opposition to golden rice. The group answered in an email. It read: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consist almost entirely of herbicide-tolerant and insect-resistant crops marketed to developing countries.”
It said this agricultural model damages human health and hurts farmers and the environment.
Large companies do produce some genetically modified crops. They gain legal control of the plant production through patents. But in the Philippines, government and donor money is being used to develop golden rice in the Philippines. These groups hope farmers throughout the developing world will someday grow it. They hope it will help solve a problem that many scientists believe is as serious as malaria or tuberculosis.
Daniel Ocampo is a Southeast Asia agriculture expert for Greenpeace in Manila. He argues that golden rice is still not ready as a food for humans after 20 years of research. He says it could be more dangerous than its supporters will admit.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in the Philippines has been experimenting with golden rice for nine years. It says it has more work to do before the rice can be eaten by humans.

dispute 분쟁 / genetically 유전적으로 / engineered 조작된 / deficiency 부족, 결핍 / opposition 반대 / herbicide-tolerant 제초제 내성 작물 / insect-resistant 해충 저항력 있는 / tuberculosis 결핵

유전자 변형 쌀에 관한 논쟁
필리핀(the Philippines) 과학자들은 쌀을 변형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들은 이 변형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건강 문제 중 하나인 비타민 A 부족 현상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 쌀은 노란 빛깔 때문에 “황금쌀”이라 불린다. 이 쌀은 비타민 A의 일종인 베타카로틴(beta carotene)을 만들어내도록 유전자가 변형 또는 조작되었다.
그린피스(Greenpeace)처럼 유전자 변형 식품 반대자들은 이런 과학자들의 활동을 반기지 않는다. 그러나 황금쌀 지지자들은 이 쌀이 매년 무려 200만 명의 생명을 살리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한다. 어린아이들과 임산부들은 비타민 A 결핍으로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개발도상국의 많은 사람이 섭취하는 음식물에는 비타민 A가 빠져있다. 비타민 A의 결핍은 소아 실명의 주된 원인이 된다. 이는 아프리카(Africa)와 동남아시아(Southeast Asia) 지역 많은 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 국가의 절반이 직면하고 있는 공중 보건 문제이다.
패트릭 무어(Patrick Moore) 씨는 그린피스의 전 회장이자 생태학자이다. 그는 황금 쌀의 생산을 지지한다. 그는 아이들이 굶어 죽는 판국에 이 문제가 논란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이야기한다.
무어 씨는 1980년대에 그린피스를 떠났으며 단체의 여러 입장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한다.
VOA는 황금쌀을 반대하는 무어 씨의 비판에 대한 그린피스 측의 입장을 요청했다. 단체는 이메일로 회신했으며 다음과 같이 밝혔다. “유전자 조작 농작물은 개발도상국에 판매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거의 제초제 내성 작물과 해충 저항성 작물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농업 형태는 인간의 건강을 해치고 농부들에게는 손해를, 환경에는 손상을 입힌다고 한다.
몇몇 대기업은 이미 유전자 조작 농작물을 생산하고 있다. 이들은 특허권을 통해 작물 생산에 대한 법적 통제권을 획득한다. 그러나 필리핀은 황금쌀 개발을 위해 정부 지원금과 기부금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기부단체는 개발도상국의 농부들이 언젠가는 황금쌀을 재배해주길 희망한다. 이들은 많은 과학자들이 말라리아나 결핵만큼이나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대니얼 오캠포(Daniel Ocampo) 씨는 마닐라(Manila) 그린피스 소속 동남아시아 지역 농업 전문가이다. 황금쌀 연구가 시작된 지 20년이 지났지만, 아직 인간이 식용으로 먹을 수 있는 단계는 아니라고 그는 주장한다. 그는 황금쌀을 먹는 것은 이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시인하는 것보다 더 위험할 수 있다고 말한다.
필리핀의 국제 쌀 연구소(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는 지난 9년간 황금쌀 실험을 진행해왔다. 연구소는 사람이 이 쌀을 먹을 수 있게 되기까지 해야 할 일이 아직 많이 남아있다고 밝혔다.
이 쌀은 노란 빛깔 때문에 “황금쌀”이라 불린다. 이 쌀은 비타민 A의 일종인 베타카로틴(beta carotene)을 만들어내도록 유전자가 변형 또는 조작되었다.
그린피스(Greenpeace)처럼 유전자 변형 식품 반대자들은 이런 과학자들의 활동을 반기지 않는다. 그러나 황금쌀 지지자들은 이 쌀이 매년 무려 200만 명의 생명을 살리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한다. 어린아이들과 임산부들은 비타민 A 결핍으로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개발도상국의 많은 사람이 섭취하는 음식물에는 비타민 A가 빠져있다. 비타민 A의 결핍은 소아 실명의 주된 원인이 된다. 이는 아프리카(Africa)와 동남아시아(Southeast Asia) 지역 많은 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 국가의 절반이 직면하고 있는 공중 보건 문제이다.
패트릭 무어(Patrick Moore) 씨는 그린피스의 전 회장이자 생태학자이다. 그는 황금 쌀의 생산을 지지한다. 그는 아이들이 굶어 죽는 판국에 이 문제가 논란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이야기한다.
무어 씨는 1980년대에 그린피스를 떠났으며 단체의 여러 입장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한다.
VOA는 황금쌀을 반대하는 무어 씨의 비판에 대한 그린피스 측의 입장을 요청했다. 단체는 이메일로 회신했으며 다음과 같이 밝혔다. “유전자 조작 농작물은 개발도상국에 판매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거의 제초제 내성 작물과 해충 저항성 작물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농업 형태는 인간의 건강을 해치고 농부들에게는 손해를, 환경에는 손상을 입힌다고 한다.
몇몇 대기업은 이미 유전자 조작 농작물을 생산하고 있다. 이들은 특허권을 통해 작물 생산에 대한 법적 통제권을 획득한다. 그러나 필리핀은 황금쌀 개발을 위해 정부 지원금과 기부금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기부단체는 개발도상국의 농부들이 언젠가는 황금쌀을 재배해주길 희망한다. 이들은 많은 과학자들이 말라리아나 결핵만큼이나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대니얼 오캠포(Daniel Ocampo) 씨는 마닐라(Manila) 그린피스 소속 동남아시아 지역 농업 전문가이다. 황금쌀 연구가 시작된 지 20년이 지났지만, 아직 인간이 식용으로 먹을 수 있는 단계는 아니라고 그는 주장한다. 그는 황금쌀을 먹는 것은 이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시인하는 것보다 더 위험할 수 있다고 말한다.
필리핀의 국제 쌀 연구소(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는 지난 9년간 황금쌀 실험을 진행해왔다. 연구소는 사람이 이 쌀을 먹을 수 있게 되기까지 해야 할 일이 아직 많이 남아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