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lls to Protect Nepalese Girls, Women from Human Trafficker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on-governmental groups are worried about the safety of girls and women in Nepal. A powerful earthquake on April 25 and other strong quakes since then have left widespread damage. Some observers say the events of the past few weeks have made thousands of Nepali girls and young women targets for human traffickers.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 in Nepal are living without shelter or possessions. Activists say the recent earthquakes have left poor women and girls weak and vulnerable to human traffickers. Health workers say the traffickers promise jobs and money, but do not give the girls and women either.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or NGOs, say the criminal organizations are targeting the country’s rural communities. They say some of the groups are using humanitarian activities to hide their true intent – to kidnap women or trick them to move away.
A woman named Anuradha Koirala created the anti-trafficking organization Maiti Nepal.
“All the areas which have been affected, these are the areas which have been affected very badly and where 80 percent of the children are trafficked. Very few people are concentrating on this issue. We think these children are most vulnerable, we have to save them and we have to take care of them. We have ourselves have already rescued three children.”
The United Nations says as many as 15,000 girls are trafficked each year from Nepal. Many are forced into sex work in countries as far away as South Korea and South Africa. Most of the young women, however, are sent to India to work in brothels -- places where men pay to have sex.
The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is calling for the creation of temporary places for learning. It says almost one million Nepalese children cannot return to their schools because of damage to the buildings. Officials estimate 24,000 classrooms were damaged or destroyed in the powerful earthquake last month. The UN agency says more than 90 percent of schools were destroyed in some places. In other areas, schools are being used as emergency shelters for earthquake survivors.
Anuradha Koirala says officials should work to rebuild the schools and tell people in rural areas about the threat from traffickers.
“Our focus should be on reconstruction. The reconstruction of the schools first, and education should be free, compulsory. The full international community we should get together and work on the prevention – prevention and protection of girls and children who have been survivors. At the same time, we should take prevention programs, awareness programs to the villages because then only people can be aware and I think we can minimize trafficking.”
A report by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says Nepali women and girls are often forced to work as housekeepers in Nepal and India. It says others are employed in factories or mines. Some find work in the adult entertainment industry. While others, still, beg on the streets, or ask people for money. Others are sent to Malaysia, Hong Kong, South Korea, and even the nearby Chinese district of Khasa.
The U.S. State Department report says Nepal has failed to meet what it calls “the minimum standards for the elimination of trafficking.” But it said major efforts were being made by Nepalese officials to stop human trafficking. But anti-trafficking activists fear that whatever progress was being made will stop because of the earthquake.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 in Nepal are living without shelter or possessions. Activists say the recent earthquakes have left poor women and girls weak and vulnerable to human traffickers. Health workers say the traffickers promise jobs and money, but do not give the girls and women either.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or NGOs, say the criminal organizations are targeting the country’s rural communities. They say some of the groups are using humanitarian activities to hide their true intent – to kidnap women or trick them to move away.
A woman named Anuradha Koirala created the anti-trafficking organization Maiti Nepal.
“All the areas which have been affected, these are the areas which have been affected very badly and where 80 percent of the children are trafficked. Very few people are concentrating on this issue. We think these children are most vulnerable, we have to save them and we have to take care of them. We have ourselves have already rescued three children.”
The United Nations says as many as 15,000 girls are trafficked each year from Nepal. Many are forced into sex work in countries as far away as South Korea and South Africa. Most of the young women, however, are sent to India to work in brothels -- places where men pay to have sex.
The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is calling for the creation of temporary places for learning. It says almost one million Nepalese children cannot return to their schools because of damage to the buildings. Officials estimate 24,000 classrooms were damaged or destroyed in the powerful earthquake last month. The UN agency says more than 90 percent of schools were destroyed in some places. In other areas, schools are being used as emergency shelters for earthquake survivors.
Anuradha Koirala says officials should work to rebuild the schools and tell people in rural areas about the threat from traffickers.
“Our focus should be on reconstruction. The reconstruction of the schools first, and education should be free, compulsory. The full international community we should get together and work on the prevention – prevention and protection of girls and children who have been survivors. At the same time, we should take prevention programs, awareness programs to the villages because then only people can be aware and I think we can minimize trafficking.”
A report by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says Nepali women and girls are often forced to work as housekeepers in Nepal and India. It says others are employed in factories or mines. Some find work in the adult entertainment industry. While others, still, beg on the streets, or ask people for money. Others are sent to Malaysia, Hong Kong, South Korea, and even the nearby Chinese district of Khasa.
The U.S. State Department report says Nepal has failed to meet what it calls “the minimum standards for the elimination of trafficking.” But it said major efforts were being made by Nepalese officials to stop human trafficking. But anti-trafficking activists fear that whatever progress was being made will stop because of the earthquake.

non governmental group 비정부단체 / human trafficking 인신매매 / shelter 주거지 / possession 소유물 / activist 운동가, 활동가 / humanitarian 인도주의적인 / brothel 사창가 / reconstruction 재건 / compulsory 의무적인, 강제적인 / prevention 예방 / elimination 퇴치

네팔 소녀와 여성을 노린 인신매매 극성
여러 국제단체와 비정부 기구는 네팔(Nepal)의 소녀들과 여성들의 안전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지난 4월 25일 발생한 강력한 지진과 몇 차례의 여진은 네팔에 엄청난 피해를 가져다주었다. 몇몇 관찰자들은 최근 몇 주간 발생한 사건들로 인해 네팔 소녀와 젊은 여성들이 인신매매의 표적이 되었다고 말한다.
현재 네팔에서는 수십만 명의 이재민이 쉴 곳이나 소지품 없이 지내고 있다. 활동가들은 최근 강타한 지진으로 인해 가난한 여성과 소녀들이 극도로 쇠약한 상태이며 인신매매의 위험에 크게 노출되었다고 말한다. 의료 봉사자들은 인신매매 조직이 일자리와 돈을 약속하며 접근하지만, 그들은 약속한 그 무엇도 주지 않는다고 한다.
비정부 기구들은 여러 범죄 조직이 네팔의 시골 지역을 표적으로 삼고 있다고 한다. 몇몇 조직은 여성을 납치하거나 다른 곳으로 데려가려는 본래의 목적을 숨기기 위해 피해자를 도와주는 구호 활동가를 가장해 접근한다고 한다.
이에 맞서기 위해 아누라다 코이랄라(Anuradha Koirala)라는 여성은 마이티 네팔(Maiti Nepal)이라는 민간 구호 단체를 설립했다.
“지진의 영향을 받은 모든 지역은 인신매매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역으로, 이곳에 사는 아동의 80%가 인신매매를 당합니다. 이 문제에 더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이 아이들이 가장 위험한 상황에 처해있어요. 우리는 아이들을 구하고 돌봐줘야 합니다. 최근, 우리는 인신매매를 당한 세 명의 아이를 구출했습니다.”
유엔(the United Nations)에 따르면 매년 약 1만 5,000명 정도의 네팔 소녀가 인신매매의 희생양이 된다고 한다. 이 중 일부는 멀리 있는 한국(South Korea)이나 남아프리카(South Africa)의 성매매 조직으로 팔려가 매춘을 강요당하며, 나머지 젊은 여성 대부분은 인도로 보내져 매춘하는 곳인 사창가에서 일하게 된다.
유엔 아동 기금(UNICEF: the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은 임시 학교의 설립을 촉구하고 있다. 아동기금은 지진의 여파로 학교 건물이 파괴되어 거의 100만 명의 네팔 어린이가 학교로 돌아가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관계자들은 지난달 발생한 강진의 영향으로 약 2만 4,000개의 교실이 피해를 입었거나 파괴되었을 것으로 추산한다. 어떤 지역의 경우 전체 학교의 90% 이상이 파괴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지역에서는 학교가 지진 피해자를 위한 임시 거처로 사용되고 있다.
아누라다 코이랄라 씨는 관계자들이 학교 재건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시골 지역 피해자들에게 인신매매의 위험에 대해 알려줘야 한다고 지적한다.
“우리는 재건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먼저 학교가 다시 복원되어야 하며 무상 의무 교육이 도입되어야 합니다. 국제사회는 함께 노력하여 지진을 이겨낸 생존자인 소녀와 아이들을 보호하고 인신매매를 막아야 합니다. 동시에 각 마을에서 예방 프로그램과 인식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합니다. 그래야 사람들이 위험성에 대해 알게 되고 이렇게 되어야만 인신매매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미국(the United States) 정부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네팔 여성들과 소녀들은 네팔과 인도의 가정부로 일하도록 강요당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또 다른 여성들은 공장이나 광산에서 일하기도 하며 유흥업계에서 일자리를 찾기도 한다. 어떤 이들은 길에서 구걸하고 말레이시아(Malaysia), 홍콩(Hong Kong), 한국, 그리고 인근 중국의 관리 지구인 카사(Khasa)로 보내지기도 한다.
미 국무부(The U.S. State Department)가 발표한 보고서에는 네팔이 “인신매매를 없애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도 지키지 못했다고 나와 있긴 하지만, 네팔 관계자들이 인신매매를 막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하고 있다는 말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인신매매 방지 활동가들은 이번 지진으로 인해 이러한 노력과 진전이 수포가 될까 봐 우려하고 있다.
현재 네팔에서는 수십만 명의 이재민이 쉴 곳이나 소지품 없이 지내고 있다. 활동가들은 최근 강타한 지진으로 인해 가난한 여성과 소녀들이 극도로 쇠약한 상태이며 인신매매의 위험에 크게 노출되었다고 말한다. 의료 봉사자들은 인신매매 조직이 일자리와 돈을 약속하며 접근하지만, 그들은 약속한 그 무엇도 주지 않는다고 한다.
비정부 기구들은 여러 범죄 조직이 네팔의 시골 지역을 표적으로 삼고 있다고 한다. 몇몇 조직은 여성을 납치하거나 다른 곳으로 데려가려는 본래의 목적을 숨기기 위해 피해자를 도와주는 구호 활동가를 가장해 접근한다고 한다.
이에 맞서기 위해 아누라다 코이랄라(Anuradha Koirala)라는 여성은 마이티 네팔(Maiti Nepal)이라는 민간 구호 단체를 설립했다.
“지진의 영향을 받은 모든 지역은 인신매매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역으로, 이곳에 사는 아동의 80%가 인신매매를 당합니다. 이 문제에 더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이 아이들이 가장 위험한 상황에 처해있어요. 우리는 아이들을 구하고 돌봐줘야 합니다. 최근, 우리는 인신매매를 당한 세 명의 아이를 구출했습니다.”
유엔(the United Nations)에 따르면 매년 약 1만 5,000명 정도의 네팔 소녀가 인신매매의 희생양이 된다고 한다. 이 중 일부는 멀리 있는 한국(South Korea)이나 남아프리카(South Africa)의 성매매 조직으로 팔려가 매춘을 강요당하며, 나머지 젊은 여성 대부분은 인도로 보내져 매춘하는 곳인 사창가에서 일하게 된다.
유엔 아동 기금(UNICEF: the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은 임시 학교의 설립을 촉구하고 있다. 아동기금은 지진의 여파로 학교 건물이 파괴되어 거의 100만 명의 네팔 어린이가 학교로 돌아가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관계자들은 지난달 발생한 강진의 영향으로 약 2만 4,000개의 교실이 피해를 입었거나 파괴되었을 것으로 추산한다. 어떤 지역의 경우 전체 학교의 90% 이상이 파괴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지역에서는 학교가 지진 피해자를 위한 임시 거처로 사용되고 있다.
아누라다 코이랄라 씨는 관계자들이 학교 재건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시골 지역 피해자들에게 인신매매의 위험에 대해 알려줘야 한다고 지적한다.
“우리는 재건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먼저 학교가 다시 복원되어야 하며 무상 의무 교육이 도입되어야 합니다. 국제사회는 함께 노력하여 지진을 이겨낸 생존자인 소녀와 아이들을 보호하고 인신매매를 막아야 합니다. 동시에 각 마을에서 예방 프로그램과 인식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합니다. 그래야 사람들이 위험성에 대해 알게 되고 이렇게 되어야만 인신매매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미국(the United States) 정부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네팔 여성들과 소녀들은 네팔과 인도의 가정부로 일하도록 강요당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또 다른 여성들은 공장이나 광산에서 일하기도 하며 유흥업계에서 일자리를 찾기도 한다. 어떤 이들은 길에서 구걸하고 말레이시아(Malaysia), 홍콩(Hong Kong), 한국, 그리고 인근 중국의 관리 지구인 카사(Khasa)로 보내지기도 한다.
미 국무부(The U.S. State Department)가 발표한 보고서에는 네팔이 “인신매매를 없애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도 지키지 못했다고 나와 있긴 하지만, 네팔 관계자들이 인신매매를 막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하고 있다는 말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인신매매 방지 활동가들은 이번 지진으로 인해 이러한 노력과 진전이 수포가 될까 봐 우려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