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07-24 09:47

Indonesia, Malaysia Agree to Temporarily Shelter Migrants

Indonesia and Malaysia have agreed to provide temporary shelter to thousands of migrants and human trafficking victims trapped at sea.

The agreement was announced Wednesday after talks among the foreign ministers of Indonesia, Malaysia and Thailand. Until now, the three countries had expressed an unwillingness to help the estimated 7,000 migrants.

Malaysian Foreign Minister Anifah Aman spoke to reporters about the agreement. He said Malaysia and Indonesia will “continue to provide humanitarian assistance” to the migrants. “We also agreed to offer them temporary shelter provided that the resettlement and repatriation process will be done in one year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e said.

The Malaysian official called on other countrie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o join the humanitarian effort.

Thai officials would not promise to provide shelter to those at sea. They said instead they will provide humanitarian assistance and let sick refugees come to land for treatment.

Human Rights Watch praised the deal. The group’s Phil Robertson said it should mark the end of policies under which Southeast Asian governments forced the boats carrying migrants back to sea. But he expressed dissatisfaction that Thailand did not agree to also provide shelter for the boat people.

Nearly 3,000 individuals have been rescued or made their way to Malaysia, Indonesia or Thailand. But rights groups warn thousands more are likely still at sea and running low on supplies.

The crisis began earlier this month when Thailand took steps against human trafficking groups that targeted the Rohingya. The traffickers fled, leaving thousands of migrants at sea.

On Wednesday, Myanmar said it is also ready to help the migrants. A foreign ministry statement said the government is deeply concerned “with the sufferings and life-threatening fate” of the boat people.

Many of those individuals are minority Rohingya from Myanmar and Bangladesh.

On Tuesday, the United Nations directly appealed to the leaders of Indonesia, Malaysia and Thailand to let the refugees set foot on land. The U.N. said the first goal must be, “saving lives, protecting rights and respecting human dignity.”

Peter McCawley studies Southeast Asia for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He says the migrants are mostly from the border between Bangladesh and Myanmar, also called Burma.

“Now there are these large camps on the border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hey really are not accepted by either country.”

Most Rohingya are Muslims. They are denied citizenship and other rights in Myanmar, where most people are Buddhists. Myanmar does not recognize the Rohingya. It considers them illegal immigrants from neighboring Bangladesh.

The United Nations has repeatedly called for Myanmar to provide full citizenship and other rights to the Rohingya. Its statement on Tuesday called for new efforts to identify the root causes of refugee and migrant flows, including discrimination, deprivation, persecution and violations of human rights.”
temporarily 임시로 / shelter 주거지 / migrant 이주자 / human trafficking 인신매매 / unwillingness 꺼리는 / repatriation 본국 송환 / humanitarian 인도적 / human dignity 인간의 존엄성 / discrimination 차별 / deprivation 부족/ persecution 박해 / violation 침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난민 지원 합의
인도네시아(Indonesia)와 말레이시아(Malaysia)는 해상에서 조난 당한 난민과 인신매매 피해자들에게 일시적인 지원을 제공해주기로 합의했다.

이번 합의는 지난 수요일 있었던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그리고 태국(Thailand)의 외무부 장관 회담 이후 발표되었다. 그전까지 이 세 국가는 약 7,000명에 이르는 난민을 돕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말레이시아의 아니파 아만(Anifah Aman) 외무부 장관은 기자들을 상대로 이번 합의에 관해 이야기했다. 그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는 난민들에게 “계속해서 인도적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한다. “우리는 또한 임시 거처를 제공하되 국제 사회의 도움을 받아 1년 뒤에는 이들을 본국으로 송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합의했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 같은 인도적인 노력에 국제사회와 여러 비정부 기구도 동참해 달라고 요청했다.

태국 관계자들은 난민을 수용하지는 않겠다고 밝혔다. 대신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고 의료 도움이 필요한 이들이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이야기했다.

국제인권감시기구(Human Rights Watch)는 이번 합의에 찬사를 보냈다. 단체의 필 로버슨(Phil Robertson) 씨는 이번 합의는 동남아시아 국가 정부들이 난민을 태운 배를 다시 바다로 내보내는 정책에 종지부를 찍는 결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태국이 난민을 수용하지 않겠다고 한 결정에 대해 불만을 드러냈다.

지금까지 3,000명에 가까운 난민이 구조되거나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또는 태국으로 들어갔다. 그러나 여러 인권 단체는 아직 바다에 남아있는 난민들은 식량과 식수 부족 현상을 겪고 있을 것이라고 경고한다.

이번 위기는 태국이 로힝야족을 상대로 한 인신매매 조직 단속을 벌이면서 시작되었다. 인신매매 조직원들은 도망쳤고 수천 명의 난민이 바다에 조난 당했다.

지난 수요일, 미얀마(Myanmar)도 난민들을 돕겠다고 밝혔다. 미얀마 외교부는 성명을 통해 정부는 난민들의 “고통과 위협적인 운명”에 대해 깊이 걱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난민 대부분은 미얀마나 방글라데시(Bangladesh)에서 온 로힝야족이다.

지난 화요일, 유엔(the United Nations)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그리고 태국에 난민들을 수용해달라고 호소했다. 유엔은 첫 번째 목표는 “생명을 구하고 인권을 보호하고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피터 맥콜리(Peter McCawley) 씨는 호주 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의 동남아시아 연구소 소속이다. 그는 난민 대부분이 방글라데시와 버마(Burma)로도 불리는 미얀마 사이의 국경 지역에서 왔다고 한다.

“이제 이 두 국가 사이의 국경 지역에는 대규모 난민 캠프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캠프는 양국 모두 외면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로힝야 족은 이슬람교도이다. 이들은 국민의 대다수가 불교 신자인 미얀마의 시민권이나 다른 여러 권리를 받을 수 없다. 미얀마는 로힝야족을 인정하지 않는다. 이들을 이웃 나라 방글라데시에서 온 불법 이민자로 취급한다.

유엔은 미얀마 측에 로힝야 족에게 시민권과 다른 여러 권리를 부여하라고 여러 번 요청했다. 지난 화요일 발표한 한 성명에서 차별, 부족현상, 박해, 그리고 인권 침해처럼 난민과 이민자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확인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621 Cambodia Circus Offers a Bette… sim 07-29 3033
620 Google Self-Driving Car Headin… sim 07-28 3305
619 In the US Senate, Heated Debat… sim 07-27 2346
618 Indonesia, Malaysia Agree to T… sim 07-24 2666
617 19-Year-Old Is Youngest Mayor … sim 07-22 2870
616 Michael Jordan Fights for His … sim 07-21 2982
615 WHO: Growing Threat from Antib… sim 07-20 2428
614 Young People Learn Leadership … sim 07-17 2729
613 Blues Music Great B.B. King De… sim 07-16 2803
612 US Agency Announces Wave Energ… sim 07-15 2352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