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nsions Rise in Hong Kong Before Tiananmen Anniversary
Next month, Hong Kong residents will again remember the June 4, 1989 crackdown in Tiananmen Square in China. They have had gatherings every year on the anniversary of the event.
But this year, some say the gatherings will be even more meaningful because people in Hong Kong increasingly feel the political influence of the Chinese government.
China bans people in the mainland country even to talk about the 1989 massacre in Tiananmen Square. But every year thousands gather in Hong Kong’s Victoria Park to mark the anniversary. People remember the violence of that day and share thanks for their freedoms under China’s one country, two systems rule.
More than 100,000 people are expected to attend the candlelight gathering on June 4.
This year’s anniversary comes just months after pro-democracy protests filled Hong Kong’s streets. Tensions continue over China’s political influence in the city.
Richard Choi is deputy chairman of the Hong Kong Alliance in Support of Patriotic Democratic Movements. He says officials are increasing pressure on the June 4 Memorial Hall museum showing the history of the ’89 crackdown.
"They try to restrict the visitors that come to our museum to view our exhibition,” he says. “Like they ask all visitors to register at the building, review all of their identities, information, identity card number, names, etc.”
Mr. Choi says asking for identification will scare away visitors from the mainland.
Recently, Hong Kong officials also issued an order saying the museum violated building regulations. Mr. Choi says the museum completed the recommended building improvements in March and is waiting for government officials to examine the site again.
William Nee of Amnesty International says increasing media censorship in Hong Kong is another sign of mainland China’s influence. He says journalists and editors both say they feel pressure from the Chinese government.
“We saw many allegations that Tiananmen is not getting as much coverage as in the past, newspapers are not putting Tiananmen as prominently as they were,” Mr. Nee says.
In 2002, the group Reporters Without Borders said Hong Kong had one of the top 20 freest presses in the world. By 2014 Hong Kong had fallen to 61st place.
Recently some Hong Kong reporters have even been physically hurt. For example, last year two attackers cut the editor-in-chief of the newspaper Ming Pao with meat cleavers.
Journalists say self-censorship is also growing. And, Hong Kong newspaper editors are more careful about giving attention to stories the Chinese government might not like.
Last year more than half of Hong Kong local media owners were also part of Chinese government-named groups, including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But this year, some say the gatherings will be even more meaningful because people in Hong Kong increasingly feel the political influence of the Chinese government.
China bans people in the mainland country even to talk about the 1989 massacre in Tiananmen Square. But every year thousands gather in Hong Kong’s Victoria Park to mark the anniversary. People remember the violence of that day and share thanks for their freedoms under China’s one country, two systems rule.
More than 100,000 people are expected to attend the candlelight gathering on June 4.
This year’s anniversary comes just months after pro-democracy protests filled Hong Kong’s streets. Tensions continue over China’s political influence in the city.
Richard Choi is deputy chairman of the Hong Kong Alliance in Support of Patriotic Democratic Movements. He says officials are increasing pressure on the June 4 Memorial Hall museum showing the history of the ’89 crackdown.
"They try to restrict the visitors that come to our museum to view our exhibition,” he says. “Like they ask all visitors to register at the building, review all of their identities, information, identity card number, names, etc.”
Mr. Choi says asking for identification will scare away visitors from the mainland.
Recently, Hong Kong officials also issued an order saying the museum violated building regulations. Mr. Choi says the museum completed the recommended building improvements in March and is waiting for government officials to examine the site again.
William Nee of Amnesty International says increasing media censorship in Hong Kong is another sign of mainland China’s influence. He says journalists and editors both say they feel pressure from the Chinese government.
“We saw many allegations that Tiananmen is not getting as much coverage as in the past, newspapers are not putting Tiananmen as prominently as they were,” Mr. Nee says.
In 2002, the group Reporters Without Borders said Hong Kong had one of the top 20 freest presses in the world. By 2014 Hong Kong had fallen to 61st place.
Recently some Hong Kong reporters have even been physically hurt. For example, last year two attackers cut the editor-in-chief of the newspaper Ming Pao with meat cleavers.
Journalists say self-censorship is also growing. And, Hong Kong newspaper editors are more careful about giving attention to stories the Chinese government might not like.
Last year more than half of Hong Kong local media owners were also part of Chinese government-named groups, including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crackdown 강력 탄압 / massacre 대학살 / pro-democracy 친민주주의 / protest 시위 / censorship 검열 / allegation 주장 / prominently 두드러지게


천안문 사태 기념일 전, 홍콩에서의 긴장감이 상승하다
다음 달, 홍콩(Hong Kong) 시민들은 또다시 1989년 6월 4일에 일어난 중국 천안문 광장(Tiananmen Square)의 강력 탄압을 기억할 것이다. 홍콩 시민들은 이날을 기억하기 위해 매년 기념일 날 집회를 한다.
하지만 올해의 모임은 더욱더 의미가 깊을 거라고 몇몇 사람들은 얘기한다. 바로 홍콩 시민들이 중국 정부의 정치적 영향을 더 많이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본토에 사는 시민들이 1989 천안문 광장 대학살에 관해 얘기하는 것조차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매년 수천 명의 사람들이 홍콩의 빅토리아 공원(Victoria Park)에 모여 이를 기념한다. 사람들은 그 날의 폭력을 기억하고 중국의 일국양제(一國兩制)로 얻어진 그들의 자유에 대한 감사를 함께 나눈다.
오는 6월 4일에 열릴 촛불 의식에는 100,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의 기념일은 홍콩 길거리를 가득 채웠던 친민주화 시위 후 불과 몇 달이 지나지 않아 열리게 된다. 이 도시에 미치는 중국의 정치적 영향에 대한 긴장감은 계속되고 있다.
리처드 초이(Richard Choi) 씨는 홍콩 애국 민주운동연합회(Hong Kong Alliance in Support of Patriotic Democratic Movements)의 부회장이다. 그는 관료들이 6월 4일 기념박물관이 89년 강제 탄압의 역사를 보여주는 것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들은 저희 전시회를 보기 위해 우리 박물관을 찾는 방문자들을 제한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라고 그가 말한다. "예를 들면, 그들은 박물관의 모든 방문자에게 이름을 등록할 것을 요구하고, 모든 사람의 신원, 정보, 신분증, 이름 등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초이 씨는 신원을 확인하는 것은 본토에서 온 방문객들에게 겁을 줄 것이라고 말한다.
최근, 홍콩 관계자들은 이 박물관이 건축 법규를 어겼다고 말하며 금지령을 내렸다. 초이 씨에 따르면 박물관은 건물 개선에 관한 제안 사항을 3월에 완료했으며, 정부 관계자들의 재검토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한다.
국제 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의 윌리엄 니(William Nee) 씨는 홍콩에서 증가하는 매체 검열 또한 중국 본토의 영향력에 대한 또 다른 신호라고 언급한다. 그의 말을 따르면, 신문기자들과 편집자들 모두 중국 정부로부터의 압박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
"저희는 천안문 사건이 과거만큼 잘 보도되지 않으며, 신문사들은 예전만큼 천안문 사건을 중요하게 다루지 않는다는 많은 주장을 목격했습니다."라고 니 씨는 말한다.
2002년, 국경 없는 기자회(Reporters Without Borders) 단체는 홍콩이 세계에서 가장 자유로운 언론을 보유한 20개국 중 하나라고 말했다. 하지만 2014년에 홍콩은 61순위로 떨어졌다.
최근, 몇몇 홍콩 기자들이 부상을 당했다. 예를 들어, 지난해에는 2명의 범인이 밍 파오(Ming Pao) 신문사의 편집장을 식칼로 베었다.
기자들은 자기 검열 또한 증가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홍콩 신문사의 편집장들은 중국 정부가 좋아하지 않을 만한 이야기에 주목하는 것에 대해 더 조심하고 있다고 말한다.
지난해 홍콩 현지 언론 매체 소유주 중 반 이상이 전국 인민 대표 대회를 포함하여 중국 정부 이름으로 된 단체의 회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올해의 모임은 더욱더 의미가 깊을 거라고 몇몇 사람들은 얘기한다. 바로 홍콩 시민들이 중국 정부의 정치적 영향을 더 많이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본토에 사는 시민들이 1989 천안문 광장 대학살에 관해 얘기하는 것조차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매년 수천 명의 사람들이 홍콩의 빅토리아 공원(Victoria Park)에 모여 이를 기념한다. 사람들은 그 날의 폭력을 기억하고 중국의 일국양제(一國兩制)로 얻어진 그들의 자유에 대한 감사를 함께 나눈다.
오는 6월 4일에 열릴 촛불 의식에는 100,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의 기념일은 홍콩 길거리를 가득 채웠던 친민주화 시위 후 불과 몇 달이 지나지 않아 열리게 된다. 이 도시에 미치는 중국의 정치적 영향에 대한 긴장감은 계속되고 있다.
리처드 초이(Richard Choi) 씨는 홍콩 애국 민주운동연합회(Hong Kong Alliance in Support of Patriotic Democratic Movements)의 부회장이다. 그는 관료들이 6월 4일 기념박물관이 89년 강제 탄압의 역사를 보여주는 것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들은 저희 전시회를 보기 위해 우리 박물관을 찾는 방문자들을 제한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라고 그가 말한다. "예를 들면, 그들은 박물관의 모든 방문자에게 이름을 등록할 것을 요구하고, 모든 사람의 신원, 정보, 신분증, 이름 등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초이 씨는 신원을 확인하는 것은 본토에서 온 방문객들에게 겁을 줄 것이라고 말한다.
최근, 홍콩 관계자들은 이 박물관이 건축 법규를 어겼다고 말하며 금지령을 내렸다. 초이 씨에 따르면 박물관은 건물 개선에 관한 제안 사항을 3월에 완료했으며, 정부 관계자들의 재검토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한다.
국제 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의 윌리엄 니(William Nee) 씨는 홍콩에서 증가하는 매체 검열 또한 중국 본토의 영향력에 대한 또 다른 신호라고 언급한다. 그의 말을 따르면, 신문기자들과 편집자들 모두 중국 정부로부터의 압박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
"저희는 천안문 사건이 과거만큼 잘 보도되지 않으며, 신문사들은 예전만큼 천안문 사건을 중요하게 다루지 않는다는 많은 주장을 목격했습니다."라고 니 씨는 말한다.
2002년, 국경 없는 기자회(Reporters Without Borders) 단체는 홍콩이 세계에서 가장 자유로운 언론을 보유한 20개국 중 하나라고 말했다. 하지만 2014년에 홍콩은 61순위로 떨어졌다.
최근, 몇몇 홍콩 기자들이 부상을 당했다. 예를 들어, 지난해에는 2명의 범인이 밍 파오(Ming Pao) 신문사의 편집장을 식칼로 베었다.
기자들은 자기 검열 또한 증가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홍콩 신문사의 편집장들은 중국 정부가 좋아하지 않을 만한 이야기에 주목하는 것에 대해 더 조심하고 있다고 말한다.
지난해 홍콩 현지 언론 매체 소유주 중 반 이상이 전국 인민 대표 대회를 포함하여 중국 정부 이름으로 된 단체의 회원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