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6-04-14 09:10

Protecting Migrant Workers Helps Host Countries

A new U.N. report on labor and migration in the Asia Pacific area says economic gains from migration are often ignored.

The report calls for greater cooperation to avoid inequalities and human rights abuses.

The United Nations released the report February 29. It says that in 2013, there were 213 million migrants worldwide. Asia-Pacific countries hosted more than 59 million of those migrants. That number has grown since 1990 and is expected to expand.

Hongjoo Hahm is deputy executive secretary of the U.N.’s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UNESCAP). He says the main driver of migration in the region is economics.

“Economic gains is why migrants are on the move and we see the migrants largely moving unlike in other regions of the world; In Asia, one of the biggest and unique characterization is migration occurring from South to South, except to say those going to the Gulf [oil] countries.”

Each year, about 2 million Philippine citizens leave for work overseas. Also, more than a half-million workers leave Bangladesh, India, Indonesia and Pakistan each year.

The migrants go to countries that include Brunei, Kazakhstan, Malaysia, Maldives, Russia, Singapore and Thailand.

But restrictions on migrant workers in some host countries limit their rights and social protections. The U.N. report says such restrictions are often unjustified and are harmful to human rights.

Hongjoo of UNESCAP says migrants do not drive down wages. He says the report found migrants’ impact on local wages and inequality was small.

“When you provide migrants with decent work, when you treat migrants as your own, when you assimilate them into your economy and treat them as national labor, it really benefits your national economy.”

But Phil Robertson says some countries treat migrant workers poorly. He is Asia-Pacific deputy director for Human Rights Watch.

Robertson says Asian governments, such as Malaysia, prefer “short term” irregular migration. This means allowing migrants into the country for a short time. That leaves many migrants in the irregular or underground economy with little protection legally.

“You know, driving through all these issues is an exaggerated sense of national security that somehow these refugees and migrants constitute some sort of threat to the countries. You see this in Thailand, where there’s often reference to migrants or refugee mobs. You see this in Malaysia where there’s an effort to try to continue to keep refugees out of the formal economy, not giving them the right to work.”

Robertson says Southeast Asia’s ASEAN Economic Community (AEC) needs to develop better policy around migrants.

U.N. economists say migrant trends in the future will be influenced by changes in population, especially where there is aging.

The Asia Pacific Migrant Report 2015 offers ideas on policies with respect to human rights, decent work and social protection for nationals and migrants.
inequality 불평등, 불균형 / characterization 셩격 묘사, 정의 / decent 괜찮은, 제대로 된 / assimilate 동화되다 / exaggerated 과장된 / mob 군중
수용국에 이로움을 가져다주는 이주 노동자 보호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노동 및 이민에 관련한 UN의 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민으로 인한 경제적 이익이 종종 무시되고 있다고 한다.

보고서는 불평등과 인권 침해를 해소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할 것을 촉구하였다.

UN은 2월 29일에 이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에 세계적으로 2억 1,300만 명의 이민자가 있었다고 한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이 이들 중 5,900만 명 이상을 수용했다. 이 수는 1990년 이후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함홍주(Hongjoo Hahm) 부총장은 UN 아시아 태평양 경제사회 이사회(UNESCAP)의 부총장이다. 그는 이 지역의 이민을 정의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경제를 꼽았다.

“경제적인 동인이 이민자들을 움직이게 하는 이유이며, 우리 지역에서는 세계 다른 지역과 다른 광범위한 이민자들의 움직임을 발견했습니다.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로, 그리고 독특하게 진행되는 이민의 양상으로는, 걸프 (오일) 국가들로 향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남쪽에서 남쪽으로 이동하는 이민의 움직임입니다.”

매년 약 2백만 명의 필리핀 시민들이 노동을 위해 해외로 나간다. 또한, 매년 50만 명 이상의 노동자들이 방글라데시, 인도, 인도네시아, 파키스탄을 빠져나간다.

이들 이민자들은 브루나이,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몰디브, 러시아, 싱가포르, 태국 등지로 향한다.

하지만 일부 수용국들은 이주 노동자의 권리와 사회적 보호에 제한을 둔다. UN 보고서에 따르면 이런 제한 정책은 대체로 부당하며 인권 침해 요소가 있다고 한다.

UNESCAP의 함홍주 부총장은 이민자들이 임금을 깎아내리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는 보고서를 보면 이주노동자들이 지역 주민들의 임금과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주민들에게 좋은 일자리를 주고 그들의 존재를 인정해 주고, 그들을 지역 노동자로 받아들여 지역 경제 속에 융화시킬 수 있다면, 그야말로 국가 경제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필 로버트슨(Phil Robertson) 씨에 따르면 이주노동자들이 일부 국가에서 형편없는 대우를 받고 있다고 한다. 그는 국제 인권 감시기구(Human Rights Watch)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부회장이다.

로버트슨 부회장은 말레이시아와 같은 아시아 국가 정부는 비정기적인 “단기간” 이민을 선호한다고 말한다. 바꿔 말해서, 국내에 짧은 기간만 머무는 이민자를 선호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정부의 태도는 많은 이민자들을 법적인 보호를 거의 받지 못하는 불규칙한 지하 경제로 몰아넣는다.

“아시다시피 이 모든 이슈를 관통하는 것은 이민자와 난민들이 해당 국가에 어떠한 위협을 가하진 않을까 염려하는 국가 안보에 대한 과장된 인식입니다. 이런 인식은 태국에서는 종종 이민자 또는 난민 집단을 일컬어 칭하는 말로 표현됩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난민들에게 일할 권리를 주지 않고 제도권 경제 밖으로 계속해서 밀어내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로버트슨 씨는 동남아시아의 ASEAN 경제공동체(AEC)에서 이민 문제를 둘러싼 더 나은 정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UN 경제학자들은 미래에는 이민의 트렌드가 특히 고령화하는 지역의 인구 변화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한다.

2015 아시아 태평양 이민 보고서는 국민과 이민자를 위한 인권, 좋은 일자리, 그리고 사회 보호 정책 관련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811 Conflict in Thailand Over New … sim 04-27 1189
810 Israeli and US Jews: Alike and… sim 04-26 1166
809 Firm Fined $10 Million For Bel… sim 04-25 1219
808 Palestinian Wins Teaching Priz… sim 04-25 1357
807 SeaWorld Reports a Very Sick ‘… sim 04-20 1332
806 Iran Defies US With Test Missi… sim 04-19 1204
805 No Woman Has Had Top Post at U… sim 04-18 1317
804 Americans Drove More in 2015… sim 04-15 1157
803 Protecting Migrant Workers Hel… sim 04-14 1306
802 Refugee Crisis Could Explode V… sim 04-14 1086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