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09-09 09:14

Is There a ‘Skills Gap’ in US Job Market?

The United States’ job market has millions of unfilled jobs. Many of those jobs require technical skills. However, employers say many of those jobs are vacant because they cannot find people with the right skills to do the work. Labor experts call this paradox the "skills gap." A number of efforts have been launched to better understand and solve it.

Nicholas Wyman wrote a book called, “Job U: How to Find Wealth and Success by Developing the Skills Companies Actually Need.” He calls the skills gap, "a labor market mismatch -- people without jobs and jobs without people."

In the United States, the cost of a traditional four-year college can be very high. U.S. colleges and universities produce many graduates every year. Yet unemployment rates among new graduates are high.

Nicholas Wyman says a combination of technical classes and on-the-job training -- an apprenticeship --would be a better choice for many people. He notes that, "An apprenticeship is where you learn from a specialist, you are provided mentoring, you learn in an on the job environment, the old cliche is that you are actually paid to earn and learn."

Mr. Wyman once served as an apprentice himself. He says apprenticeships are misunderstood in the United States, where "success" is often defined as attending a four-year college. But he notes that is changing as on-the-job training has spread outside traditional areas, like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He says apprenticeship possibilities are growing in some manufacturing jobs.

Mr. Wyman also says it is vital to get technical skills that are of immediate value to an employer. He adds that it is important to get transferrable skills -- those that can be used in more than one job. This is because technology and the nature of the workplace are changing at a faster rate than before.

There are questions about the definition, size, and nature of the skills gap in the labor force.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ers studied some of these questions recently. They examined employment, education and population information, and found the evidence of a skills gap is weak.

Iowa State’s Liesl Eathington noted that many policymakers and employers say there is opportunity in "middle skills" areas, like machining. Yet she said the most recent recession hit some of those job areas hard. She said students should be on guard because "our economy really isn’t adding that many jobs that require the middle skills or middle educated territory."

She said employers could get more well-qualified applicants if they offered higher wages. She noted that graduates of two-year training programs still generally make less money than graduates of four-year colleges.

The question of finding the right person for the right job remains a difficult one. The Department of Labor says 8.7 million Americans are unemployed and another 6.7 million can find only part-time work.
skill 기술 / vacant 비어 있는 / gap 틈, 격차 / apprenticeship 견습(생), 견습 훈련 / specialist 전문가 / employer 고용주 / applicant 지원자 / wage 임금, 품삯 / unemployed 실업(자)의
미국 취업 시장에 ‘기술 격차’가 있을까?
미국 취업 시장에는 아직 채워지지 않은 수백만 개의 일자리가 있다. 이런 일자리는 대부분 전문 기술을 요구하는 일자리이다. 하지만 고용주들은 제대로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없기 때문에 이런 일자리들이 비어있다고 말한다. 노동 전문가들은 이런 모순을 ‘기술 격차(Skills gap)’라고 부른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잘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실행되고 있다.

니콜라스 와이먼(Nicholas Wyman) 씨는 “취업: 회사에서 필요한 기술을 배워 부와 성공을 거머쥐는 법(Job U: How to Find Wealth and Success by Developing the Skills Companies Actually Need)”라는 책을 썼다. 그는 기술 격차란 “노동 시장에서 고용되지 못한 사람들과 고용하지 못한 직장 사이의 불일치”라고 표현했다.

예전부터 미국에서 4년제 대학을 다니려면 꽤 많은 학비가 필요하다. 미국 대학에서는 매년 많은 졸업생들을 배출한다. 그렇기 때문에 갓 졸업한 학생들의 실업률은 높다.

와이먼 씨는 기술 강의와 현장 직무훈련을 병행하는 것이 여러 사람에게 좋은 선택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견습은 전문가에게 배우고 조언을 들으며 직업 현장에서 배우는 것이죠. 돈을 벌고 배우기 위해 실제로 비용을 투자하는 진부한 방식입니다.”

와이먼 씨도 견습생이었던 시절이 있다고 한다. 그는 4년제 대학에 들어가는 걸 “성공”으로 여기는 미국에서는 현장 직무훈련에 대해 오해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건축 및 제조업 등의 전통적인 수습 훈련 분야를 벗어나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언급하며, 일부 제조업 분야에서 수습 훈련의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와이먼 씨는 고용주 입장에서 실질적인 가치가 있는 전문 기술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일터의 기술과 특성이 이전보다 더 빨리 변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직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전이가 가능한 기술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도 덧붙인다.

노동자들 사이에서는 기술 격차의 정의, 범위, 특성에 대한 의문점이 존재한다.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Iowa State University) 연구진은 최근 이러한 문제에 대해 연구를 시행했다. 직장, 교육 및 인구 정보를 조사해본 결과 기술 격차가 별로 없다는 말은 신빙성이 없다고 했다.

아이오(Iowa)와 주 리즐 이싱턴(Liesl Eathington) 씨의 말에 따르면 많은 정치인들과 고용주들이 기계 가공과 같은 “중간 기술(고졸부터 대졸 학력을 가진 사람들이 익히는 기술)” 분야에는 기회가 있다고 말한다고 한다. 하지만 최근 불황으로 인해 이런 직종 중에서도 일부는 사정이 어려워졌다고 그녀는 말한다. 그녀는 학생들에게 “미국 사회는 중간 기술 또는 고졸 고용 시장에 그다지 많은 일자리를 주지 않고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녀는 고용주들이 더 높은 임금을 지불하면 자격에 부합한 지원자를 더 잘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여전히 2년제 전문대학을 졸업한 사람들은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사람들보다 소득 수준이 낮다고 언급했다.

일자리에 맞는 사람을 찾는 것은 쉽지 않다. 노동부에 따르면 미국 시민 중 870만 명은 실업자이며, 670만 명은 아르바이트 일자리만 구할 수 있다고 한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651 Is There a ‘Skills Gap’ in US … sim 09-09 2950
650 Greece Offers a Proposal as Ti… sim 09-08 2277
649 Study Explores Air Pollution’s… sim 09-07 2490
648 Experts: Climate Change Is a M… sim 09-07 2890
647 Gay Marriage Is Legal Across t… sim 09-03 2251
646 US Congress Gives President Ob… sim 09-02 2296
645 Group Works to Reduce Child La… sim 09-01 2307
644 North Korea Could Face Food Sh… sim 08-31 2565
643 More Calls for Removal of Conf… sim 08-28 2307
642 International Lender Urges Gai… sim 08-27 2394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