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08-31 09:06

North Korea Could Face Food Shortage

North Korea could face more food shortages later this year if a drought continues. That is what the United Nations World Food Program (WFP) said last week. A drought means a serious lack of rai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grow crops.

“The lack of water now could seriously affect the main crop season later this year," according to WFP’s communications officer Zoie Jones. She wrote to the VOA Korean Service in an email.

Her organization is concerned about children getting enough to eat. She added, "There will be a significant increase in malnutrition especially among children.”

The WFP warning came one day after the North Korean state media reported on the country’s drought conditions. The official Korean Central News Agency called it “The worst drought in 100 years… causing great damage to its [North Korea's] agricultural fields.”

A famine in the 1990s killed an estimated one million people in North Korea. In May, the U.N. reported the number of hungry people in North Korea has more than doubled in the last two decades. The number rose to 10.5 million in 2014, up from 4.8 million in 1990.

The WFP’s Ms. Jones said her agency is ready to give the North aid if the situation gets worse. She said the WFP is “closely monitoring” the situation and “is ready to assist,” if needed.

The U.N. food agency will continue the current humanitarian work in North Korea. The work was supposed to end in June. The agency needs $28 million to continue its work until the end of the year.

However, she said, “If the dry spell causes a spike in malnutrition then the funding situation will become even more critical."

Also last week, China said it would help its neighbor and ally. “China is willing to provide the aid that is needed by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 spokesman for China’s Foreign Ministry, told reporters.

The United States, however, said it has no plans to provide humanitarian aid to the North.

“The United States remains deeply concerned about the well-being of the North Korean people,” said a State Department spokesman. “The United States has no plans to provide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t this time, nor has North Korea requested U.S. assistance.”
drought 가뭄 / crop (농)작물 / affect ~에게 영향을 주다 / malnutrition 영양실조 / agricultural field 농경지 / million 백만 / humanitarian 인도주의적인 / dry spell 건기, 불황기 / provide 제공하다 / aid 지원, 원조 / spokesman 대변인
북한에 닥친 식량난
가뭄이 지속된다면 북한은 계속 식량난에 시달릴 것이다. 이는 지난주 유엔 세계식량계획(the United Nations World Food Program : WFP)에서 밝힌 내용이다. 가뭄은 비가 오지 않아 작물이 자라기 어려운 상황을 말한다.

“현재 물 부족 현상은 올 하반기의 주요 작물 재배 시기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라고 WFP의 미디어 담당자 조이 존스(Zoie Jones)가 이메일을 통해 VOA 한국어 방송 측에 전했다.

WFP는 아이들의 충분한 음식 섭취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아이들의 영양실조가 급증하고 있습니다.”라고 그녀는 덧붙였다.

WFP는 북한 언론에서 북한 내 가뭄 상황에 대해 보도한 바로 다음 날 경고를 발표했다. 조선중앙방송에서는 “100년 만에 찾아온 최악의 가뭄… 농경지에 큰 피해를 주다.”라고 보도했다.

북한에서는 1990년대에 발생했던 기근으로 약 100만 명의 주민이 아사했다. 지난 5월 UN의 발표에 따르면 북한의 굶주리는 주민은 지난 20년간 두 배가 되었다고 한다. 1990년에는 480만 명이던 수치가 2014년에 들어서는 1천50만 명으로 증가했다.

조이 존스는 북한의 상황이 악화된다면 WFP에서 원조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그녀에 따르면 WFP에서 북한 상황을 “긴밀하게 주시”하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지원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UN 식량 기구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북한 인도주의 사업을 지속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6월에 끝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식량 기구에서는 올해 말까지 이 사업을 지속하려면 2,800만 달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녀는 “가뭄으로 인해 영양실조가 더 심각해지면 모금 상황도 훨씬 더 다급해질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또한, 지난주 중국 정부는 인접 국가와 동맹국을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북한이 필요로 한다면 기꺼이 지원할 것입니다.” 중국 외무부 대변인이 언론에 밝힌 내용이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북한을 향한 인도주의적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미 국무부 대변인은 “미국은 북한 주민들이 잘살게 될까 봐 굉장히 걱정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미국은 현재 북한에 인도주의적 지원을 할 계획이 없으며, 북한이 미국에 원조를 요청한 적도 없습니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651 Is There a ‘Skills Gap’ in US … sim 09-09 2950
650 Greece Offers a Proposal as Ti… sim 09-08 2278
649 Study Explores Air Pollution’s… sim 09-07 2490
648 Experts: Climate Change Is a M… sim 09-07 2890
647 Gay Marriage Is Legal Across t… sim 09-03 2251
646 US Congress Gives President Ob… sim 09-02 2296
645 Group Works to Reduce Child La… sim 09-01 2307
644 North Korea Could Face Food Sh… sim 08-31 2566
643 More Calls for Removal of Conf… sim 08-28 2307
642 International Lender Urges Gai… sim 08-27 2394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