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08-27 09:11

International Lender Urges Gains for Poor, Middle Class

A new report says income inequality is hurting the potential for growth around the world. It says the best way to deal with the inequality -- or lack of fairness -- is by helping poor people and the middle class.

The report is based on an International Monetary Fund study. It examined the issue of income inequality: the differences in wealth between the rich and everyone else.

Opinions about income inequality are not hard to find. Many people are concerned about the issue. Kalpana Kochhar is Deputy Director of Strategy, Policy and Review Department at the IMF. On Monday, she said,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s at the highest level in decades in advanced countries, and inequality is also rising in major emerging markets.”

The new report is called “Causes and Consequences of Income Inequality: A Global Perspective.” Ms. Kochhar said, inequality trends have been mixed in emerging markets and developing countries. Some countries are experiencing falling inequality rates, with poor people and the middle class making gains. However, pervasive inequities in education, health care, and finance remain in areas such as Latin America, Middle East and Africa.

The report suggested that policymakers direct their attention on the poor and middle class. That is because they are the major force for economic growth -- or an increase in a country’s gross domestic product, or GDP. The GDP is the value of all the finished goods and services produced within the country.

The organizers of the study disputed the main idea of what has been called "trickle down" economic theory. The theory states that economic benefits provided to the wealthy will indirectly help everyone else. The idea is that money and other financial resources will "trickle down" to them.

The IMF study, however, shows the opposite is true. It found that a one percent increase in the earnings of the richest 20 percent of people led to a nearly one percent decrease in GDP growth over a five-year period. An increase in the income share of the poorest 20 percent, the study found, led to more than a one-third percent increase in GDP.

Kalpana Kochhar said this means that directing policy to the poor and middle class is good for growth. She said this means that ending poverty could also improve growth prospects for all. She said that is “a fairly powerful message” for policymakers and researchers around the world.

The report said there is no single program that will succeed in all countries. It said the difference in income levels can have different reasons. The report urged governments to find ways to solve the problem that are specific to their own countries and institutions.
lender 대출업자, 대출 기관 / inequality 불균형 / potential 가능성 / emerging market 신흥 시장 / trickle 흐르다, 뿌리다 / theory 이론 / policymaker 정책 입안자 / urge 촉구하다 / institution 기관
소득 불평등 해소를 촉구하는 IMF
새로 발표된 한 보고서에서 소득 불평등이 세계 성장을 막고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보고서는 불평등, 다시 말해 공정성 부족을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빈곤층과 중산층을 돕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보고서는 국제 통화 기금(IM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의 한 연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보고서는 부유한 이들과 나머지 사람들 사이의 소득 차이, 즉 소득 불평등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소득 불평등에 관한 의견은 찾기 어렵지 않다. 이미 예전부터 많은 이들이 이 문제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 칼파나 코찰(Kalpana Kochhar) 씨는 IMF 정책 및 검토 부서의 전략 국장이다. 그녀는 지난 월요일 “부자와 가난한 자의 소득 차이는 수십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신흥 시장에서도 큰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소득 불평등의 원인과 결과(Causes and Consequences of Income Inequality: A Global Perspective)”라는 제목의 이 보고서에서 코찰 국장은 불균형은 신흥 시장과 개발도상국에서 엇갈리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빈곤층과 중산층의 소득 증가로 불평등이 감소하고 있지만, 라틴 아메리카(Latin America), 중동(the Middle East) 그리고 아프리카(Africa)와 같은 국가에서는 교육, 보건, 그리고 재정 분야의 불평등이 여전히 만연한 상황이다.

보고서는 정책 입안자들이 빈곤층과 중산층에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고 한다. 이는 바로 빈곤층과 중산층이 경제성장 또는 국내 총생산(GDP:gross domestic product)의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총생산은 한 국가 내에서 생산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포함하는 표현이다.

이번 연구를 준비한 이들은 “트리클 다운(trickle down)” 이론의 주요 개념에 대해 논의했다. 이 이론은 부자들에게 제공되는 경제 이익은 결국 모두에게 이득이 된다는 논리이다. 화폐 및 다른 경제적 이익이 모두에게 흘러내릴 것이라는 이론이다.

그러나 IMF 연구를 통해 이 이론이 실현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상위 20% 부자의 수입이 1% 증가하면 향후 5년간 GDP 성장이 약 1% 정도 감소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극빈층의 수입이 20% 증가하면 GDP가 3분의 1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칼파나 코찰 국장은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빈곤층과 중산층 위주의 정책이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이야기했다. 빈곤 퇴치는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는 의미와도 같다고 그녀는 덧붙였다. 그녀는 또한 이것이 전 세계 모든 정책 입안자와 연구자들을 위한 “꽤 강력한 메시지”라고 덧붙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모든 국가에서 성공을 거둘 정책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각기 다른 이유로 개인의 소득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마다 각 국가와 기관에 맞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촉구한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651 Is There a ‘Skills Gap’ in US … sim 09-09 2949
650 Greece Offers a Proposal as Ti… sim 09-08 2277
649 Study Explores Air Pollution’s… sim 09-07 2490
648 Experts: Climate Change Is a M… sim 09-07 2890
647 Gay Marriage Is Legal Across t… sim 09-03 2251
646 US Congress Gives President Ob… sim 09-02 2296
645 Group Works to Reduce Child La… sim 09-01 2307
644 North Korea Could Face Food Sh… sim 08-31 2565
643 More Calls for Removal of Conf… sim 08-28 2307
642 International Lender Urges Gai… sim 08-27 2394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