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09-15 10:11

WHO Warns Against Unnecessary Caesarean Section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ays the use of surgical childbirth is growing worldwide. Surgical childbirth is when a woman gives birth with the help of a surgical operation, also called a Caesarean section. WHO officials say the operation is becoming especially popular in what they call high- and middle-income countries.

Doctors may advise a Caesarean birth, known as a C-section, when normal childbirth would put the health of the mother or the baby at risk. But the United Nations agency says it is concerned about the possible abuse of this life-saving surger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s a strong supporter of Caesarean sections when they are justified medically. The WHO notes that such operations can save lives. But it says mothers and their babies are put at risk of health problems when a Caesarean section is performed without a medical need.

Since 1985, health experts have set what they call the ideal rate for C-sections at between 10 and 15 percent of all births. New studies show when the rates go below 10 percent, more mothers and babies die because they are unable to get this life-saving treatment. These findings are confirmed by estimates from Africa. They show a link between low C-section numbers and high mortality rates during childbirth.

Yet studies show there is no evidence that death rates improve when the rate rises above 10 percent. In fact, Caesarean sections sometimes can have serious effects on the mother and her child.

Marleen Temmerman is the director of the WHO's Department of Reproductive Health and Research. She told VOA that a C-section is generally a safe operation. But, she adds, health risks do exist.

"The chance of a complication is not that high, but the risk … the mortality can be very serious. You have like life threatening complications due to bleedings, most of them."

Dr. Temmerman says a C-section is advisable when a traditional vaginal delivery puts the mother or baby in danger.

Dr. Temmerman is concerned abou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unnecessary Caesarean sections being performed in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She says changing opinions and other lifestyle issues generally are the reason for what she calls an epidemic of C-sections. These operations, she adds, are easier for gynecologists and hospitals.

She says C-sections help doctors to get more control of day-to-day planning. With Caesareans there are no calls in the middle of the night and no emergencies.

"For a gynecologist actually, it is easier to do a Caesarean section sometimes because you can plan your life. You call all your patients in, so to speak, for Caesareans. Every day you do two Caesareans - one at nine, one at 10 in the theater … no stress, no night duties, no call in emergencies or fetal distress or bleedings or whatever. So, you have a better life."

Dr. Temmerman says C-sections also are better for hospitals because they are able to organize their work force. As for the women, she says many choose a C-section over a vaginal birth because they do not want the pain of childbirth or may be afraid of the physical after-effects.

The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ports that in 2013, 2,642,892 women gave birth through vaginal deliveries. That same year, 1,284,339 women chose a Caesarean section. The percentage of all U.S. births by C-section was 32.7%.
childbirth 분만, 해산 / Caesarean 제왕절개 수술 / abuse 남용 / mortality 사망률, 사망 / advisable 권할 만한, 바람직한 / vaginal delivery 자연분만, 경질분만 / epidemic 급속한 확산, 유행 / 유행병 / gynecologist 부인과 의사 / so to speak 말하자면 / after-effect 여파, 후유증
세계 보건 기구.. “무분별한 제왕절개 수술 위험하다”
세계 보건 기구 (WHO)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수술로 아이를 낳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수술로 출산한다는 것은 말 그대로 산모가 아이를 낳을 때 외과 수술의 보조를 받는 것을 뜻하며, ‘제왕절개’라고 불린다. WHO는 공식적으로 소위 ‘중산층’ 나라들에서 이러한 수술이 매우 성행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출산 과정에서 산모나 태아가 위험에 처했을 때, 의사는 제왕절개를 권하곤 한다. 하지만 UN 단체에서는 이러한 생명을 구하는 수술이 지나치게 남용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WHO는 의학적으로 필요하다고 증명된다면, 제왕절개를 권장한다. WHO는 그러한 수술이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고 말하지만, 의학적으로 필요하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시행된다면, 제왕절개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1985년이래, 전문가들은 제왕절개의 이상적인 비율은 총 출산의 10~15%라고 여겨왔다. 새로운 연구들은 이 비율이 10% 미만으로 떨어진다면, 이러한 수술을 받을 수 없는 산모들과 태아는 목숨을 잃곤 한다. 이러한 발견은 아프리카에서 측정된 결과로 증명되었다. 이는 낮은 빈도의 제왕절개와 출산 중 높은 사망률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 비율이 10%를 넘는다 해도 사망률이 더 낮아지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제왕절개 수술은 태아와 산모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말린 테머만(Marleen Temmerman)은 WHO 생식건강학과의 책임자이다. 그녀는 VOA에서 제왕절개는 대게 안전한 수술이지만, 건강을 해칠 가능성도 분명히 있다고 말했다.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진 않지만, 위험성과 사망률은 매우 심각할 수 있다. 대부분의 문제들은 과다출혈로 인한 사망이다.”

테머만 박사는 제왕절개는 종래의 자연분만이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협할 경우에 권장된다고 말했다.

테머만 박사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서의 불필요한 제왕절개 수술 빈도의 증가에 우려를 표했다. 그녀는 여론과 생활패턴의 변화로 제왕절개가 성행하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또한, 이러한 수술은 산부인과 의사와 병원들에 편리하다고 덧붙였다.

그녀는 제왕절개가 일반 출산보다 의사들의 스케줄을 짜는데 훨씬 편리하다고 한다. 제왕절개는 한밤중에 급박하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산부인과 의사들에게는 언제 수술할지 정할 수 있는 제왕절개가 훨씬 스케줄을 짜기 쉽습니다. 말하자면, 제왕절개는 수술을 하기 위해 환자를 부를 수 있기 때문이죠. 제왕절개는 스트레스나, 야간근무, 응급상황이나 태아질식 또는 과다출혈로 인해 불릴 일 없이 매일 두 번, 9시와 10시에 수술실에서 할 수 있습니다. 훨씬 나은 삶을 누릴 수 있어요.”

테머만 박사는 병원 입장에선 제왕절개 수술이 업무를 분담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고 한다. 한편 산모는 제왕절개 수술이 일반 출산에 비해 출산의 고통도 없으며, 후유증도 없기 때문에 제왕절개를 선택한다고 이야기한다.

2013년, 미국 질병 대책 센터는 그 해 2,642,892명의 산모가 자연분만을 했으며, 1,284,339명의 산모가 제왕절개 수술을 선택했다고 보고했다. 미국 전역의 출산 중 제왕절개 수술은 32.7%를 차지했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661 US Businesses Explore Iranian … sim 09-23 2313
660 Gold Prices Fall to Five-Year … sim 09-22 2921
659 Pregnant Women in Kenya Cravin… sim 09-21 3011
658 UN: Drought Affected North Kor… sim 09-18 2529
657 Eat Nuts to Stay Healthy… sim 09-17 2610
656 New York Helping Small Distill… sim 09-16 2342
655 WHO Warns Against Unnecessary … sim 09-15 2254
654 Poor People in Greece Worried … sim 09-15 2623
653 India’s Selfie Campaign Boosts… sim 09-11 2569
652 Chinese Children Seeking a Hap… sim 09-10 2283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