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conomic Growth in Asia Threatens Environment
Strong economic growth in Asia has lifted millions of people out of poor economic conditions. But some environmental activists say it has also hurt the area’s environment.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met in Bangkok, Thailand recently for three days. The group urged Asian countries to work together to protect the environment. It warned that, if they fail to do so, many plants and animals will become extinct.
Asia produces about 40 percent of global economic activity and two thirds of global growth. About 60 percent of the world’s population lives in Asia. Experts predict 3.3 billion people will live in Asian cities by 2050. About 1.9 billion live in the urban areas of Asia now.
Asia’s economic development has hurt its environment. Experts say more than 1,400 plants and animals in the area are critically endangered. In other words, they could soon no longer exist. About 95 per cent of Southeast Asia’s coral reefs are at risk. And, wetlands that once covered tens of thousands of kilometers of shorelines are disappearing faster in Asia than anywhere else in the world.
Zhang Xinsheng is president of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He says the planet’s ecosystems are stressed and need new efforts by governments to limit losses.
“Can we (be) sustainable with this production pattern? Can we sustain with this consumption? So now it needs political will; it needs general awareness, but it needs also (a) change of values. We must review, we must reflect, we have to change the production pattern, we have to change the consumption model, we have to build inclusive societies.”
At the end of its meeting in Bangkok, the group urged governments, businesses and non-government groups to work together to help the environment.
Yeshey Dorji is the Minister for Agriculture and Forests in Bhutan. He says it will not be easy to convince people to consider the long-term effects of their actions on the planet.
“It’s mainly the people going for short-term economic gains," he says. "I think that is the biggest challenge for conservation, like poaching, illegal trade -- this is for short-term economic gains which are actually the main driving force.”
Officials with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say 2015 is a turning point for Asia. The Asia Regional director of the IUCN, Aban Marker Kabraji, says an urgent effort is needed. He says Asian countries need to take the energy that fueled 50 years of economic growth and use it to secure the well-being of both nature and humans.
Asia produces about 40 percent of global economic activity and two thirds of global growth. About 60 percent of the world’s population lives in Asia. Experts predict 3.3 billion people will live in Asian cities by 2050. About 1.9 billion live in the urban areas of Asia now.
Asia’s economic development has hurt its environment. Experts say more than 1,400 plants and animals in the area are critically endangered. In other words, they could soon no longer exist. About 95 per cent of Southeast Asia’s coral reefs are at risk. And, wetlands that once covered tens of thousands of kilometers of shorelines are disappearing faster in Asia than anywhere else in the world.
Zhang Xinsheng is president of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He says the planet’s ecosystems are stressed and need new efforts by governments to limit losses.
“Can we (be) sustainable with this production pattern? Can we sustain with this consumption? So now it needs political will; it needs general awareness, but it needs also (a) change of values. We must review, we must reflect, we have to change the production pattern, we have to change the consumption model, we have to build inclusive societies.”
At the end of its meeting in Bangkok, the group urged governments, businesses and non-government groups to work together to help the environment.
Yeshey Dorji is the Minister for Agriculture and Forests in Bhutan. He says it will not be easy to convince people to consider the long-term effects of their actions on the planet.
“It’s mainly the people going for short-term economic gains," he says. "I think that is the biggest challenge for conservation, like poaching, illegal trade -- this is for short-term economic gains which are actually the main driving force.”
Officials with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say 2015 is a turning point for Asia. The Asia Regional director of the IUCN, Aban Marker Kabraji, says an urgent effort is needed. He says Asian countries need to take the energy that fueled 50 years of economic growth and use it to secure the well-being of both nature and humans.

economic 경제적인 / growth 성장 / extinct 멸종된 / urban 도시의 / coral reef 산호초 / ecosystem 생태계 / sustainable 지속 가능한 / consume 소모하다 / poaching 밀렵


환경에 위협적인 아시아의 경제 성장
아시아 지역의 급격한 경제 성장 덕분에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가난에서 벗어나고 있다. 하지만 일부 환경 운동가들은 그로 인해 해당 지역의 환경이 파괴되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세계 자연보전 연맹(The International Union of Conservation of Nature)은 태국 방콕에서 있었던 사흘간의 회담 이후 환경 보호를 위한 아시아 국가 간 협력을 촉구했다. 또한,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다양한 동식물이 멸종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세계 경제 활동의 약 40%가, 세계 경제 성장의 2/3가 아시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전 세계 인구의 60%가량이 아시아에 거주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2050년에는 아시아 도시 거주 인구가 33억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현재 아시아 도시 거주 인구는 19억 명이다.
아시아 경제 성장으로 인해 환경이 훼손되고 있는데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멸종할 수도 있는 심각한 위험에 처한 동식물이 1,400종 이상이라고 한다. 아시아에 있는 산호초 중 95%가량이 현재 위험한 상태이고, 수만 Km의 해안선을 뒤덮고 있던 습지대가 전 세계 그 어느 곳보다도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세계 자연보전 연맹 장진성(Zhang Xinsheng) 총재는 지구 생태계가 위협을 받고 있기 때문에 손실을 막기 위한 각국 정부 차원의 새로운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우리가 이 생산 패턴을 유지하면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이렇게 소모를 하면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그렇기 때문에 이제는 정치적인 의지가 필요한 것이고, 국제적인 인식이 필요한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가치관도 변해야 하죠. 검토하고 반성하며 생산 패턴을 바꾸어나가야 합니다. 소비 모델을 바꾸고 통합적인 사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세계 자연보전 연맹은 방콕 회담 이후 정부와 기업, 비정부 기구를 향해 환경을 위해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
부탄(Bhutan) 농림부 예세이 도르지(Yeshey Dorji) 장관은 사람들에게 자신들의 행동이 지구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것에 대해 고려해보자고 설득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대부분 단기적인 경제적 이익을 꾀하는 사람들이죠. 밀렵, 불법 무역과 같이 단기적 경제 수익을 내는 수단이 되는 동시에 환경파괴의 주범이 되는 활동이 아마 자연보전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될 것입니다.”
세계 자연보전 연맹은 2015년이 아시아 향후 방향 설정에 기점이 되는 해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아시아 연맹 책임자인 아반 마커 카브라지(Aban Marker Kabraji) 씨는 즉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아시아 국가들이 지난 50년간 경제 성장에 쏟았던 에너지만큼 환경과 인류의 안녕 보장을 위해 쏟아야 한다고 언급했다.
세계 경제 활동의 약 40%가, 세계 경제 성장의 2/3가 아시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전 세계 인구의 60%가량이 아시아에 거주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2050년에는 아시아 도시 거주 인구가 33억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현재 아시아 도시 거주 인구는 19억 명이다.
아시아 경제 성장으로 인해 환경이 훼손되고 있는데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멸종할 수도 있는 심각한 위험에 처한 동식물이 1,400종 이상이라고 한다. 아시아에 있는 산호초 중 95%가량이 현재 위험한 상태이고, 수만 Km의 해안선을 뒤덮고 있던 습지대가 전 세계 그 어느 곳보다도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세계 자연보전 연맹 장진성(Zhang Xinsheng) 총재는 지구 생태계가 위협을 받고 있기 때문에 손실을 막기 위한 각국 정부 차원의 새로운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우리가 이 생산 패턴을 유지하면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이렇게 소모를 하면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그렇기 때문에 이제는 정치적인 의지가 필요한 것이고, 국제적인 인식이 필요한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가치관도 변해야 하죠. 검토하고 반성하며 생산 패턴을 바꾸어나가야 합니다. 소비 모델을 바꾸고 통합적인 사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세계 자연보전 연맹은 방콕 회담 이후 정부와 기업, 비정부 기구를 향해 환경을 위해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
부탄(Bhutan) 농림부 예세이 도르지(Yeshey Dorji) 장관은 사람들에게 자신들의 행동이 지구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것에 대해 고려해보자고 설득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대부분 단기적인 경제적 이익을 꾀하는 사람들이죠. 밀렵, 불법 무역과 같이 단기적 경제 수익을 내는 수단이 되는 동시에 환경파괴의 주범이 되는 활동이 아마 자연보전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될 것입니다.”
세계 자연보전 연맹은 2015년이 아시아 향후 방향 설정에 기점이 되는 해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아시아 연맹 책임자인 아반 마커 카브라지(Aban Marker Kabraji) 씨는 즉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아시아 국가들이 지난 50년간 경제 성장에 쏟았던 에너지만큼 환경과 인류의 안녕 보장을 위해 쏟아야 한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