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membering 70th Anniversary of End of World War II
Remembering 70th Anniversary of End of World War II
World War II ended 70 years ago this week. On August 15, 1945, Japan surrendered to allied forces led by the United States. The war was, and remains, the deadliest military conflict in history.
The allies fought many costly battles against Japan. The bloodiest and most deadly was the Battle of Okinawa. U.S. officials said the battle was one reason they decided to use atomic weapons on Japan. They said the human cost of fighting was too high.
VOA recently visited the island of Okinawa to learn more about the effects of the war there.
The invasion of Okinawa was the last, the bloodiest, and one of the largest battles of World War II. More than 1,000 American ships and hundreds of thousands of troops were involved. The fighting lasted 82 days. Villages were destroyed and forests burned. Almost 200,000 people were killed.
A small museum on a U.S. Marine base in Okinawa shows pictures and historical objects from the battle. Mark Waycaster is the curator of the museum’s Battle of Okinawa area. He says Japanese General Mitsuru Ushijima’s plan was to hurt the morale and strength of the Americans. His goal was not to win.
“His intentions is to bleed the American forces so bad that the United States sues for peace.”
Many American and Japanese troops were killed or injured in Okinawa. Japanese forces fought fiercely. Some fought to the death, refusing to surrender even when they knew they could not win. This was one reason U.S. officials gave for their decision to drop atomic bombs on the city of Nagasaki and Hiroshima.
Today on Okinawa, many Japanese still remember the battle. The fighting caused the deaths of almost one-third of the civilians who lived on the island. Some Japanese military areas are preserved as memorials.
The Himeyuri Peace Museum tells the story of about 200 Japanese schoolgirls. They were forced to work as medical aides for the Japanese military. Many died in the fighting.
Shimabukuro Yoshiko was seriously injured during the fighting. She said Japanese officials warned the girls that the Americans would rape and then kill them. She says she was told American soldiers were devils. But she said an American soldier saved her life.
She says "I saw the soldier's face and he looked nice and said 'I’m going to help you.'"
Many people remember or learned about the deaths and damage resulting from the war. Many Okinawans are pacifists, and they gather often to speak against violence.
They are unhappy about the presence of American troops on Okinawa. And they oppose efforts by conservatives in Japan to strengthen the country’s military.
The allies fought many costly battles against Japan. The bloodiest and most deadly was the Battle of Okinawa. U.S. officials said the battle was one reason they decided to use atomic weapons on Japan. They said the human cost of fighting was too high.
VOA recently visited the island of Okinawa to learn more about the effects of the war there.
The invasion of Okinawa was the last, the bloodiest, and one of the largest battles of World War II. More than 1,000 American ships and hundreds of thousands of troops were involved. The fighting lasted 82 days. Villages were destroyed and forests burned. Almost 200,000 people were killed.
A small museum on a U.S. Marine base in Okinawa shows pictures and historical objects from the battle. Mark Waycaster is the curator of the museum’s Battle of Okinawa area. He says Japanese General Mitsuru Ushijima’s plan was to hurt the morale and strength of the Americans. His goal was not to win.
“His intentions is to bleed the American forces so bad that the United States sues for peace.”
Many American and Japanese troops were killed or injured in Okinawa. Japanese forces fought fiercely. Some fought to the death, refusing to surrender even when they knew they could not win. This was one reason U.S. officials gave for their decision to drop atomic bombs on the city of Nagasaki and Hiroshima.
Today on Okinawa, many Japanese still remember the battle. The fighting caused the deaths of almost one-third of the civilians who lived on the island. Some Japanese military areas are preserved as memorials.
The Himeyuri Peace Museum tells the story of about 200 Japanese schoolgirls. They were forced to work as medical aides for the Japanese military. Many died in the fighting.
Shimabukuro Yoshiko was seriously injured during the fighting. She said Japanese officials warned the girls that the Americans would rape and then kill them. She says she was told American soldiers were devils. But she said an American soldier saved her life.
She says "I saw the soldier's face and he looked nice and said 'I’m going to help you.'"
Many people remember or learned about the deaths and damage resulting from the war. Many Okinawans are pacifists, and they gather often to speak against violence.
They are unhappy about the presence of American troops on Okinawa. And they oppose efforts by conservatives in Japan to strengthen the country’s military.

surrender 항복하다 / ally ~을 지지하다, ~의 편을 들다 / conflict 갈등, 충돌 / atomic 원자력의, 핵무기의 / troop 병력, 군대 / base 기지 / morale 사기 / pacifist 평화주의자, 반전론자 / conservatives 보수 세력, 보수당


제2차 세계대전 종전 70주년을 기념하며
70년 전 이번 주에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났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은 미국이 이끄는 연합군에게 항복을 선언했다. 제2차 세계대전은 역사상 최악의 무력 충돌로 남아있다.
연합군은 일본과의 전투에서 많은 대가를 치러야만 했다. 그중에서도 오키나와 전투는 가장 끔찍한 전투였는데 미국 정부에 따르면 당시 핵무기 사용을 결정하게 된 것은 이 전투에서 인명 손실이 너무 컸기 때문이라고 한다.
VOA는 전쟁의 상흔을 확인하기 위해 최근에 오키나와 섬을 방문했다.
제2차 세계대전 막바지에 벌어졌던 오키나와 침공은 사람이 많이 죽어 나가고, 규모가 컸던 전투 중 하나였다. 1,000대 이상의 미국 군함과 수천 명의 군인이 동원된 전투였다. 82일 동안 벌어졌던 이 전투로 인해 마을은 쑥대밭이 되었고 숲은 잿더미가 되었다. 그리고 이 전투에서 약 20만 명이 사망했다.
오키나와 미 해군 기지에 있는 작은 박물관에는 전쟁 사진과 유물이 전시되어있다. 오키나와 전투 코너의 큐레이터인 마크 웨이캐스터(Mark Waycaster) 씨는 일본의 미츠루 우시지마(Mitsuru Ushijima) 장군이 미국의 사기와 전력을 떨어뜨리려는 계획을 세웠었지만 결국 그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다는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미국 전력에 심각한 타격을 주어 평화 협정을 맺을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고자 했었죠.”
미국과 일본의 많은 군인들이 오키나와에서 죽거나 부상을 당했다. 일본 군대는 맹렬히 싸웠다. 심지어 이길 수 없다는 것을 알고도 항복보다는 죽음을 택한 채 싸운 이들도 있었다. 이는 미국 정부가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원자폭탄 투하를 결정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오늘날에도 오키나와엔 당시 전투를 기억하고 있는 일본 사람들이 살고 있다. 당시 전투로 인해 섬 주민 ⅓ 가량이 목숨을 잃었다. 당시 군 관할 지역이었던 곳들 중 몇 곳은 추모지로 보존되어 있다.
히메유리 평화 박물관(Himeyuri Peace Museum)에는 약 200명의 소녀 학도병 이야기가 전시되어 있다. 위생병으로 복무했던 대부분의 소녀들이 전쟁에서 목숨을 잃었다.
요시코 시마부쿠로(Yoshiko Shimabukuro) 씨는 전쟁 중에 심각한 부상을 당했다. 그녀에 따르면 당시 일본 정부에서는 미국 군인들이 자신들을 강간하고 살해할 악마라고 이야기했었지만, 정작 자신은 미국 병사가 살려줬다고 말했다.
“제가 봤던 병사의 얼굴은 친절해 보였고 ‘널 도우러 왔어.’라고 말하고 있는 것 같았죠.”
많은 사람들이 전쟁으로 인한 죽음과 피해를 기억하고 있거나 그에 대해 배우고 있다. 오키나와 주민 대부분은 평화주의자이기 때문에 종종 한자리에 모여 폭력에 반대한다는 목소리를 낸다.
주민들은 자신들의 터전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도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일본의 군사력을 키우려 하는 보수 세력의 노력에도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연합군은 일본과의 전투에서 많은 대가를 치러야만 했다. 그중에서도 오키나와 전투는 가장 끔찍한 전투였는데 미국 정부에 따르면 당시 핵무기 사용을 결정하게 된 것은 이 전투에서 인명 손실이 너무 컸기 때문이라고 한다.
VOA는 전쟁의 상흔을 확인하기 위해 최근에 오키나와 섬을 방문했다.
제2차 세계대전 막바지에 벌어졌던 오키나와 침공은 사람이 많이 죽어 나가고, 규모가 컸던 전투 중 하나였다. 1,000대 이상의 미국 군함과 수천 명의 군인이 동원된 전투였다. 82일 동안 벌어졌던 이 전투로 인해 마을은 쑥대밭이 되었고 숲은 잿더미가 되었다. 그리고 이 전투에서 약 20만 명이 사망했다.
오키나와 미 해군 기지에 있는 작은 박물관에는 전쟁 사진과 유물이 전시되어있다. 오키나와 전투 코너의 큐레이터인 마크 웨이캐스터(Mark Waycaster) 씨는 일본의 미츠루 우시지마(Mitsuru Ushijima) 장군이 미국의 사기와 전력을 떨어뜨리려는 계획을 세웠었지만 결국 그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다는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미국 전력에 심각한 타격을 주어 평화 협정을 맺을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고자 했었죠.”
미국과 일본의 많은 군인들이 오키나와에서 죽거나 부상을 당했다. 일본 군대는 맹렬히 싸웠다. 심지어 이길 수 없다는 것을 알고도 항복보다는 죽음을 택한 채 싸운 이들도 있었다. 이는 미국 정부가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원자폭탄 투하를 결정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오늘날에도 오키나와엔 당시 전투를 기억하고 있는 일본 사람들이 살고 있다. 당시 전투로 인해 섬 주민 ⅓ 가량이 목숨을 잃었다. 당시 군 관할 지역이었던 곳들 중 몇 곳은 추모지로 보존되어 있다.
히메유리 평화 박물관(Himeyuri Peace Museum)에는 약 200명의 소녀 학도병 이야기가 전시되어 있다. 위생병으로 복무했던 대부분의 소녀들이 전쟁에서 목숨을 잃었다.
요시코 시마부쿠로(Yoshiko Shimabukuro) 씨는 전쟁 중에 심각한 부상을 당했다. 그녀에 따르면 당시 일본 정부에서는 미국 군인들이 자신들을 강간하고 살해할 악마라고 이야기했었지만, 정작 자신은 미국 병사가 살려줬다고 말했다.
“제가 봤던 병사의 얼굴은 친절해 보였고 ‘널 도우러 왔어.’라고 말하고 있는 것 같았죠.”
많은 사람들이 전쟁으로 인한 죽음과 피해를 기억하고 있거나 그에 대해 배우고 있다. 오키나와 주민 대부분은 평화주의자이기 때문에 종종 한자리에 모여 폭력에 반대한다는 목소리를 낸다.
주민들은 자신들의 터전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도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일본의 군사력을 키우려 하는 보수 세력의 노력에도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