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10-15 09:16

Thai Treat is a Sweet Bite of History

The Chao Phraya River is an important part of daily life in Thailand. The Chao Phraya flows through Bangkok on its way to the Gulf of Thailand. Years ago, many immigrants from Portugal and China set up homes along the river in what is now the Thai capital. Their lives soon changed in their new country. But one sweet food they enjoyed has remained much the same over the years.

The Santa Cruz Church has been a well-known building in Bangkok for hundreds of years. Nearby, in the narrow streets behind the building, you can still find khanom farang kutii jiin. In Thai, that means the “foreigners’ snack of the Chinese church.”

The way to make the little Portuguese dry cakes is simple. They contain duck eggs, sugar, wheat flour, raisins, and are covered with syrup and persimmon.

Cooking the popular treats is not easy. The equipment used at the Thanusingha Bakery is a trade secret.

But at the competing Larn Mae Pao bakery, there is no secret. Everything is out in the open. The muffins are baked on small stones. They are heated by gas from below and coal above.

This Thai woman says, “What makes kanom farang kutii jiin unique is that it is crispy on the outside and soft on the inside. But we never make them too crispy.”

Kanom farang kutii jiin is also made without baking powder, yeast, or other additives. People say it really tastes like it did centuries ago.

The owner of the bakery says, “If someone from the 16th century tried these, they would say they’re similar to those of that time. Some Portuguese who have traveled here say they do taste like what their parents and grandparents made.”

The sweet little food of the Portuguese Catholic settlers is still making people happy.

This man says, “It’s my first time having this. I will come back!”

The bakers of Bangkok hope people will enjoy their tasty treat for many years to come. It remains a link to the Portuguese soldiers, businessmen, and religious workers who first traveled to the Kingdom of Siam 500 years ago.
immigrant 이민자 / capital 수도 / raisin 건포도 / persimmon 감 / coal 석탄 / yeast 효모 / additive 첨가물 / settle 머물다, 정착하다
역사적인 태국의 달콤함
방콕(Bangkok)을 가로질러 태국 만(Gulf of Thailand)까지 흐르는 차오프라야(Chao Phraya) 강은 태국인들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수년 전, 포르투갈(Portugal)과 중국(China)에서 건너온 이민자들이 현재 태국의 수도가 된 강 지역을 따라 집을 짓고 살게 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들로 인해 태국에 변화가 일어났다. 하지만 정착민들이 즐겼던 달콤한 음식만큼은 세월이 흘러도 변함이 없다.

산타크루즈(Santa Cruz) 교회는 수백 년 전부터 방콕의 명물이었다. 교회 근처 뒤편에 있는 좁은 거리에 가보면 태국어로 “중국 교회의 외국인 간식”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카놈 파랑 쿠티 진(Khanom farang kutii jiin)을 찾아볼 수 있다.

작은 포르투갈식 드라이 케이크를 만드는 방법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 오리알, 설탕, 밀가루, 건포도를 넣어 구운 빵 위에 시럽을 바르고 감을 올린다.

하지만 유명한 주전부리는 쉽게 만들어지지 않는다. 타누싱하 제과점(Thanusingha Bakery)에서 사용하는 도구는 영업 비밀이다.

하지만 경쟁 제과점인 란 마에 파오 제과점(Larn Mae Pao bakery)에서는 영업 비밀 같은 것을 찾아볼 수 없다. 모든 과정을 공개한다. 머핀을 작은 돌에 올려놓고 굽는데, 아래에서는 가스로 열을 가하고 위에서는 석탄으로 열을 가한다.

란 마에 파오 제과점 여사장의 말이다. “카놈 파랑 쿠티 진만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러운 거죠. 하지만 너무 바삭하게 구우면 안 돼요.”

카놈 파랑 쿠티 진에는 베이킹파우더나 효모와 같은 기타 첨가물을 넣지 않는다. 사람들은 수백 년 전이나 지금이나 한결같은 맛이라고 이야기한다.

“16세기 사람이 와서 빵을 구워도 그때나 지금이나 별 차이가 없다고 할 거예요. 우리나라로 여행 오는 포르투갈 사람의 말을 들어보면 부모님이나 할아버지, 할머니가 구워주시던 빵 맛과 똑같다고 그러더라고요.”

포르투갈 가톨릭 정착민들이 전해준 이 주전부리는 여전히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든다.

이 남자는 “처음 먹어봤어요. 이 빵을 먹으러 다시 올 겁니다!”라고 말했다.

방콕 제빵사들은 오랜 시간이 지나도 많은 사람들이 그들이 만든 빵을 즐기기를 바란다. 이는 500년 전 시암(Siam) 왕국을 최초로 방문했던 포르투갈 군인과 상인, 성직자들과 연관된 것으로 남아있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681 Prosecutors: Uber Drivers Have… sim 10-23 2336
680 Bailout Approved, Greece Repay… sim 10-22 2726
679 Economic Growth in Asia Threat… sim 10-20 2083
678 Remembering 70th Anniversary o… sim 10-19 2087
677 Russia Destroys Banned Western… sim 10-16 2086
676 Thai Treat is a Sweet Bite of … sim 10-15 2713
675 South Korea Blames North Korea… sim 10-14 2126
674 Activist: London Property Mark… sim 10-13 2596
673 IMF: Western Sanctions Could H… sim 10-12 2375
672 Bangkok Could Soon Be Underwat… sim 10-08 2266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