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10-08 09:24

Bangkok Could Soon Be Underwater

The Italian city of Venice and the American city of New Orleans, Louisiana are slowly sinking. So is Bangkok, home to about 10 million people.

Officials in the city and scientists say they do not know how long people will be able to continue living in the Thai capital.

Thailand’s military rulers are considering action. The National Reform Council wants the government to form a committee to deal with warnings that Bangkok could be permanently underwater many years from now.

The Saen Saeb canal was built in Bangkok in the late 1830s. In a neighborhood near the waterway, walkways are breaking up. Walls on homes, small businesses and an Islamic center appear to be bending. The area is sinking about two centimeters a year. That is two times the average rate for the rest of Bangkok.

“I don’t know what to do,” says Vijitri Puangsiri. She has lived in the neighborhood for 44 years. She asks: “Who will help us? I don’t know.”

Her home needs to be repaired every year because of the sinking ground. The walkway in front of her century-old house where she operates a small restaurant must also be repeatedly repaired.

Somsak Kongpeeng is one of her neighbors, and a community volunteer.

“If you travel on the canal boats, you can see how this is all hollow,” he says. “The buildings are sinking because they were not built on solid foundations.”

He jokes that if we come back to see him again in 20 years, the water level will be almost as high as his head. But he is also partly serious. That might be only a small overstatement in a city that is, on average, just two meters above sea level. Many homes and other structures were built on soft clay.

Observers say two reasons for the sinking are a rising sea level and too much pumping of groundwater. Another reason, they say, is the decision by developers to build so many high-rise homes and offices. Developers keep building these high-rises because they earn a lot of money doing so. This kind of development worries those who are concerned about the rising water levels.

Sucharit Koontanakulvong heads the Water Resources System research Unit at Chulalongborn University.

“If we don’t do anything, everybody will lose. Because if the land itself is sinking, the value of land will also go down.”

He and others predict that, if no action is taken, repeated and long-term flooding will begin in the next 20 years. Such floods could last for two or three months, and would cause serious damage to Bangkok’s economy.

The most recent major flooding happened during the rainy season in 2011. Thirteen million people were affected. More than 800 died. The World Bank says the flooding four years ago caused more than $45 billion in damage to the Thai economy.

Last month, the Bangkok Post newspaper published an editorial called “Stop the City Sinking.” The editorial said that, even with the recent floods and new warnings, most Thais seem unconcerned. The newspaper called for the expansion of the city to be stopped. And it called for a complete halt of groundwater pumping.

There are also calls to build seawalls to protect the city, which already suffers from frequent flooding. Such a project would cost billions of dollars. And even if the walls are built, nature could still eventually reclaim everything people have built in some unprotected low-lying areas.
sink 침몰하다, 가라앉다 / permanent 영원한, 영구적인 / overstatement 허풍 / flooding 홍수 / seawall 방조제 / low-lying area 저지대 / walkway 보도, 인도 / hollow 텅 빈
수몰 위기에 놓인 방콕
이탈리아 베네치아(Venice)와 미국 루이지애나(Louisiana) 주 뉴올리언스(New Orleans)는 서서히 물속으로 가라앉고 있다. 그리고 1,000만 시민들이 사는 방콕(Bangkok)도 같은 운명에 처해있다.
방콕 관계자들과 과학자들은 사람들이 태국의 수도인 방콕에서 몇 년이나 더 살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태국 군사 정권은 조치를 마련하고 있다. 국가 개혁 위원회(the National Reform Council)는 오랜 세월이 지나면 방콕이 영원히 수몰될 수 있다는 경고에 대처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위원회를 조직해 달라는 의사를 표명하고 있다.
방콕 샌샙(Saen Saeb) 운하는 1830년대 후반에 만들어졌다. 운하 인근의 인도가 붕괴되고 있다. 그리고 주택과 중소기업 사옥 및 이슬람 센터의 벽이 휘어지고 있다. 방콕은 매년 2cm씩 가라앉고 있는데 이는 태국의 다른 지역 평균 침강 속도의 두 배에 달하는 속도이다.
44년간 샌샙 운하 인근에 살아온 비지트리 푸앙시리(Vijitri Puangsiri) 씨는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누가 우리를 도와줄 수 있을까요? 전혀 모르겠네요.”라고 말한다.
땅이 가라앉고 있기 때문에 푸앙시리 씨는 백 년 된 집을 매년 수리한다. 그리고 그녀가 작은 식당을 운영하는 집 앞 인도 역시 매년 수리해야 한다.
푸앙시리 씨의 이웃인 솜삭 콩핑(Somsak Kongpeeng) 씨는 자원봉사 단체의 일원이다.
콩핑 씨의 말이다. “보트를 타고 운하를 다녀보면 얼마나 텅 비어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건물을 단단한 기반에 세우지 않았기 때문에 건물이 가라앉고 있는 거죠.”
그는 20년 후에 자기를 만나러 오면 아마 자신의 머리 높이까지 물이 차올라 있을 것이라고 농담을 던졌지만 심각한 면모도 묻어났다. 평균 해발고도가 2m인 방콕에서는 이 말을 농담으로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 대부분의 집과 건물이 연약한 점토층에 세워져 있다.
해수면 상승과 지하수 고갈을 수몰의 두 가지 이유로 보고 있다. 그리고 개발업자들이 고층 주택과 사옥을 짓기로 한 것을 또 다른 이유로 꼽고 있다. 개발업자들은 높은 건물을 지으면 돈을 많이 벌 수 있어서 고층 건물을 계속 짓고 있다. 이런 개발 형태는 해수면 상승을 우려하는 사람들이 걱정하는 바이다.
출라롱본 대학(Chulalongborn University) 수카리트 쿤타나쿨봉(Sucharit Koontanakulvong) 씨는 수자원 시스템 연구팀의 책임자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모두가 잃게 될 겁니다. 땅 자체가 가라앉고 있기 때문에 땅값도 당연히 떨어질 것입니다.”
그를 포함한 사람들은 이대로 아무 조치도 취해지지 않는다면 향후 20년 동안 장기간의 홍수가 반복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측한다. 2~3달 동안 계속해서 홍수가 발생하면 방콕 경제는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될 것이다.
최근에 발생했던 큰 홍수는 2011년 우기에 발생했던 홍수였는데 1,300만 명의 사람들이 피해를 보았고 800명이 사망했다. 세계은행의 발표에 따르면 4년 전 홍수로 인해 태국에 450억 달러 이상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었다고 한다.
지난달 방콕 포스트(the Bangkok Post)에는 “도시 수몰을 멈춥시다.”라는 제목의 사설이 게재되었다. 신문 사설에는 최근에 홍수가 발생하고 새로운 경고가 발표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태국 국민들은 걱정이 없어 보인다는 기사가 실렸다. 이어서 도시의 팽창을 막아야 하며, 지하수를 끌어다 쓰는 일을 전적으로 중단해야 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이미 잦은 홍수로 인한 피해를 당하고 있는 방콕에 방조제를 세워 도시를 보호해야 한다는 요청도 있다. 이런 프로젝트에는 수십억 달러의 비용이 들어간다. 그리고 방조제를 세운다고 하더라도 결국 보호받을 수 없는 낮은 지대에 세워진 건물들은 자연재해를 당하게 될 것이다.
기사출력
MP3 다운로드
 
 

Total 82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681 Prosecutors: Uber Drivers Have… sim 10-23 2337
680 Bailout Approved, Greece Repay… sim 10-22 2727
679 Economic Growth in Asia Threat… sim 10-20 2083
678 Remembering 70th Anniversary o… sim 10-19 2087
677 Russia Destroys Banned Western… sim 10-16 2086
676 Thai Treat is a Sweet Bite of … sim 10-15 2713
675 South Korea Blames North Korea… sim 10-14 2126
674 Activist: London Property Mark… sim 10-13 2596
673 IMF: Western Sanctions Could H… sim 10-12 2376
672 Bangkok Could Soon Be Underwat… sim 10-08 2267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