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w Competitive Is Your Country
The Swiss-based World Economic Forum released its latest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this week.
The report rated Switzerland as the world’s most competitive country for the seventh year. Next on the list were Singapore and the United States. Others among the top 10 were Germany, Netherlands, Japan, Hong Kong, Finland, Sweden, and Britain.
The report said countries need to accept the reforms needed to improve productivity. They also need to support entrepreneurs. If not, the report says the countries will be less competitive. It says promoting productivity is important for growth, and to lower unemployment.
Most countries report economic growth. But growth is weaker than before the 2008 financial crisis, the report says. The report warns developing countries which fail to compete enough will not be able to deal with future shocks to the world economy.
Margareta Drzeniek-Hanouz is head of Global Competitiveness and Risks at the World Economic Forum. She says digital technology in machinery and manufacturing is important worldwide.
But, it is the “human factor” that is critical to competitiveness, she says.
“The human factor includes two broad categories of issues. One is education and everything related to education. So how do countries nurture talent, but also the flexibility of the labor market, so the ability of the business sector to adapt to changes in the country.”
The 2015-2016 report used 12 pillars, or groupings, to rate a nation’s competitiveness. These include roads and other infrastructure, health and primary education, business sophistication and innovation.
Major findings show the larger emerging markets are making little progress in competitiveness. But, the report notes India and South Africa appear to be exceptions. Both countries moved up in the ratings.
The report says 28th-ranked China is the most competitive of this group of economies. But, it says China’s failure to move up in the rankings shows the country is facing some difficult economic issues.
The report says African countries south of the Sahara continue to grow at close to five percent a year. But uneven commodity prices have hurt competitiveness and productivity. In sub-Saharan Africa, 46th-ranked Mauritius remains the area’s most competitive economy. It is followed closely by South Africa and Rwanda.
The report rated Switzerland as the world’s most competitive country for the seventh year. Next on the list were Singapore and the United States. Others among the top 10 were Germany, Netherlands, Japan, Hong Kong, Finland, Sweden, and Britain.
The report said countries need to accept the reforms needed to improve productivity. They also need to support entrepreneurs. If not, the report says the countries will be less competitive. It says promoting productivity is important for growth, and to lower unemployment.
Most countries report economic growth. But growth is weaker than before the 2008 financial crisis, the report says. The report warns developing countries which fail to compete enough will not be able to deal with future shocks to the world economy.
Margareta Drzeniek-Hanouz is head of Global Competitiveness and Risks at the World Economic Forum. She says digital technology in machinery and manufacturing is important worldwide.
But, it is the “human factor” that is critical to competitiveness, she says.
“The human factor includes two broad categories of issues. One is education and everything related to education. So how do countries nurture talent, but also the flexibility of the labor market, so the ability of the business sector to adapt to changes in the country.”
The 2015-2016 report used 12 pillars, or groupings, to rate a nation’s competitiveness. These include roads and other infrastructure, health and primary education, business sophistication and innovation.
Major findings show the larger emerging markets are making little progress in competitiveness. But, the report notes India and South Africa appear to be exceptions. Both countries moved up in the ratings.
The report says 28th-ranked China is the most competitive of this group of economies. But, it says China’s failure to move up in the rankings shows the country is facing some difficult economic issues.
The report says African countries south of the Sahara continue to grow at close to five percent a year. But uneven commodity prices have hurt competitiveness and productivity. In sub-Saharan Africa, 46th-ranked Mauritius remains the area’s most competitive economy. It is followed closely by South Africa and Rwanda.

competitive 경쟁력이 있는 / productivity 생산성 / entrepreneur 사업가 / unemployment 실직,실업(상태) / factor 요소, 요인 / rank 등급, 순위 / nurture 육성하다 / exception 예외 / sub-Saharan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의


당신의 국가 경쟁력은 얼마나 될까?
이번 주 스위스에 있는 세계 경제 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국가 경쟁력 보고서 최신판을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에서 국가 경쟁력 1위를 차지한 스위스는 7년째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뒤이어 싱가포르와 미국이 2위와 3위를 차지하였고 독일, 네덜란드, 일본, 홍콩, 핀란드, 스웨덴, 영국이 상위 10위에 해당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들은 생산성 향상을 위한 개혁을 받아들이고 사업가를 지원해야 경쟁력이 향상될 것이라고 한다. 그렇지 않으면 국가 경쟁력은 떨어질 것이라고 한다. 생산성 향상은 성장에 중요한 요소인 동시에 실업률 감소에 중요한 요소라고 보고서에 언급된다.
대부분 국가에서 경제 성장이 보고되었지만 2008년 금융 위기 이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았다. 보고서에서는 경쟁이 떨어지는 개발도상국은 차후 세계 경제에 위기가 발생하면 대처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세계 경제 포럼 국제 경쟁력 및 위기 부서 마가리타 드르제니크 하누즈(Margareta Drzeniek-Hanouz) 대표는 세계적으로 기계 분야 및 제조 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결국은 "인적 요인"이 경쟁력의 핵심 요소라고 말했다.
"인적 요인은 전반적인 두 가지 범주를 포함합니다. 하나는 교육인데 모든 것이 교육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국가에서 재능을 육성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노동 시장 유연성, 국가의 변화를 사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도 연관되는 거죠."
2015년부터 2016년까지의 보고서에서는 12가지 기본적인 분야를 나누어서 국가 경쟁력을 평가했다. 여기에는 도로와 기타 사회 기반 시설, 보건과 초등 교육, 사업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혁신이 포함된다.
주요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형 신흥 시장의 경쟁력은 별로 발전하지 않았지만, 인도와 남아프리카는 예외적이었다고 한다. 두 국가 모두 경쟁력 순위가 상승했다.
보고서에는 28위에 오른 중국이 경제 분야에서 가장 경쟁력이 있는 국가임에도 순위 상승을 하지 못한 것은 중국이 어려운 경제 문제에 직면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아프리카 사하라 남부 지역 국가들은 매년 거의 5%가량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일정하지 못한 원자재 가격으로 경쟁력과 생산성에 타격을 입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하라 사막 이남 국가 중에서는 모리셔스가 46위로 가장 경쟁력 순위가 높고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르완다가 그다음으로 경쟁력이 높다.
이번 보고서에서 국가 경쟁력 1위를 차지한 스위스는 7년째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뒤이어 싱가포르와 미국이 2위와 3위를 차지하였고 독일, 네덜란드, 일본, 홍콩, 핀란드, 스웨덴, 영국이 상위 10위에 해당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들은 생산성 향상을 위한 개혁을 받아들이고 사업가를 지원해야 경쟁력이 향상될 것이라고 한다. 그렇지 않으면 국가 경쟁력은 떨어질 것이라고 한다. 생산성 향상은 성장에 중요한 요소인 동시에 실업률 감소에 중요한 요소라고 보고서에 언급된다.
대부분 국가에서 경제 성장이 보고되었지만 2008년 금융 위기 이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았다. 보고서에서는 경쟁이 떨어지는 개발도상국은 차후 세계 경제에 위기가 발생하면 대처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세계 경제 포럼 국제 경쟁력 및 위기 부서 마가리타 드르제니크 하누즈(Margareta Drzeniek-Hanouz) 대표는 세계적으로 기계 분야 및 제조 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결국은 "인적 요인"이 경쟁력의 핵심 요소라고 말했다.
"인적 요인은 전반적인 두 가지 범주를 포함합니다. 하나는 교육인데 모든 것이 교육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국가에서 재능을 육성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노동 시장 유연성, 국가의 변화를 사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도 연관되는 거죠."
2015년부터 2016년까지의 보고서에서는 12가지 기본적인 분야를 나누어서 국가 경쟁력을 평가했다. 여기에는 도로와 기타 사회 기반 시설, 보건과 초등 교육, 사업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혁신이 포함된다.
주요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형 신흥 시장의 경쟁력은 별로 발전하지 않았지만, 인도와 남아프리카는 예외적이었다고 한다. 두 국가 모두 경쟁력 순위가 상승했다.
보고서에는 28위에 오른 중국이 경제 분야에서 가장 경쟁력이 있는 국가임에도 순위 상승을 하지 못한 것은 중국이 어려운 경제 문제에 직면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아프리카 사하라 남부 지역 국가들은 매년 거의 5%가량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일정하지 못한 원자재 가격으로 경쟁력과 생산성에 타격을 입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하라 사막 이남 국가 중에서는 모리셔스가 46위로 가장 경쟁력 순위가 높고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르완다가 그다음으로 경쟁력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