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ated' CEO Hikes Life-Saving Drug 4000%
The CEO of a drug, or pharmaceutical, company raised the price of a life-saving drug used by AIDS patients by over 4,000 percent. Now, he is saying his company will lower the price. But critics say his profit will be enormous.
He is now called the most hated man in the United States.
Martin Shkreli is the CEO of the drug company Turing Pharmaceuticals. And he earned the name of “Most Hated Man in America” last week. The media reported that his company raised the price of a drug used by patients with AIDS and cancer.
Shkreli raised the price of the drug Daraprim from $13.50 to $750 a pill. Daraprim fights infections among those with weak immune systems. The drug has been around for decades. However, the drug company Turing Pharmaceuticals, got the rights to own the drug in August.
The price rise scandal went viral. It seemed everyone on social media was talking about it.
Even presidential candidates commented. Democrat Hillary Clinton tweeted that as president, she would end "price gouging" by drug companies. Price gouging is when a seller raises the prices of products or services to a much higher level than is considered reasonable or fair. Another word for it is “profiteering,” to make a profit from the sale of needed goods in an emergency situation.
During a recent press conference, Republican candidate Donald Trump said the CEO "looks like a spoiled brat." A spoiled brat refers to a child who wants a lot and then cries and screams if he or she doesn’t get it.
The 32-year-old Shkreli told ABC news that he would lower the price of the medicine to make it "more affordable." But he stopped short of giving any details. He said the drug company gave the drug away for free to about half of those who use it.
However, before saying Turing Pharmaceuticals would lower the price, Shkreli had defended the company's pricing. He said the company needed the 4000% rise to make money for more research and development.
Not all were convinced that the announcement was a win for those needing the drug.
Forbes magazine wrote “Shkreli won. He made a huge price increase, rode through the resulting controversy, and now has settled into taking a less huge price increase, but probably still very big price increase."
Shkreli had been outspoken in defending himself on Twitter. He said the media was making him look like the bad guy. Earlier in the week, he made his Twitter feed private.
He is now called the most hated man in the United States.
Martin Shkreli is the CEO of the drug company Turing Pharmaceuticals. And he earned the name of “Most Hated Man in America” last week. The media reported that his company raised the price of a drug used by patients with AIDS and cancer.
Shkreli raised the price of the drug Daraprim from $13.50 to $750 a pill. Daraprim fights infections among those with weak immune systems. The drug has been around for decades. However, the drug company Turing Pharmaceuticals, got the rights to own the drug in August.
The price rise scandal went viral. It seemed everyone on social media was talking about it.
Even presidential candidates commented. Democrat Hillary Clinton tweeted that as president, she would end "price gouging" by drug companies. Price gouging is when a seller raises the prices of products or services to a much higher level than is considered reasonable or fair. Another word for it is “profiteering,” to make a profit from the sale of needed goods in an emergency situation.
During a recent press conference, Republican candidate Donald Trump said the CEO "looks like a spoiled brat." A spoiled brat refers to a child who wants a lot and then cries and screams if he or she doesn’t get it.
The 32-year-old Shkreli told ABC news that he would lower the price of the medicine to make it "more affordable." But he stopped short of giving any details. He said the drug company gave the drug away for free to about half of those who use it.
However, before saying Turing Pharmaceuticals would lower the price, Shkreli had defended the company's pricing. He said the company needed the 4000% rise to make money for more research and development.
Not all were convinced that the announcement was a win for those needing the drug.
Forbes magazine wrote “Shkreli won. He made a huge price increase, rode through the resulting controversy, and now has settled into taking a less huge price increase, but probably still very big price increase."
Shkreli had been outspoken in defending himself on Twitter. He said the media was making him look like the bad guy. Earlier in the week, he made his Twitter feed private.

drug 약물 / pharmaceutical 약학의, 약제의 / hate 증오하다 / immune system 면역 체계 / candidate 후보자 / defend 방어하다, 변호하다 / outspeak 분명히 의견을 말하다 / controversy 논쟁


‘미움받는’ CEO, 인명 구조 약물 가격 4,000% 인상
제약 회사 CEO인 한 남성이 에이즈 환자용 인명 구조 약의 가격을 4,000% 인상했다. 현재 그의 말에 따르면 가격을 낮출 것이라고는 하지만 평론가들은 그가 막대한 이익을 거두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이 남성은 미국에서 가장 미움받는 사람으로 불리고 있다.
튜링 제약(Turing Pharmaceuticals)의 최고경영자인 마틴 쉬크렐리(Marting Shkreli) 씨는 지난주에 "미국에서 가장 미움받는 사람"이라는 악명을 얻게 되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튜링 제약은 에이즈 및 암 환자들에게 사용하는 약값을 인상했다고 한다.
쉬크렐리 씨는 면역체계가 약한 사람들이 감염에 대항하기 위해 복용하는 다라프림(Daraprim)이라는 알약의 가격을 13.5달러에서 750달러로 인상했다. 이 약은 시중에 출시된 지 벌써 수십 년이 지났지만, 지난 8월에야 튜링 제약에서 이 약의 상표권을 획득하게 되었다.
약값 인상에 대한 소식은 삽시간에 퍼져 SNS 전역에서 이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심지어 대선 후보들도 이 소식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Hillary Clinton) 후보는 후보가 아닌 대통령처럼 트위터 멘션을 달고 제약 회사들의 "바가지요금"에 대한 말로 마무리를 지었다. 바가지요금이란 판매자가 제품이나 서비스 가격을 합리적 또는 합당한 수준이 넘게 인상하는 것을 말한다. 또 다른 말로는 응급 상황에서 필요한 물건을 팔아 이익을 취하는 행동을 나타내는 말인 "부당 이익 취득"이라고 할 수 있다.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후보는 기자 회견에서 쉬크렐리 씨를 "버르장머리 없는 아이처럼 보이는 인물"이라고 혹평했다. 버르장머리 없는 아이란 욕심을 부리며 자기가 원하는 것을 얻지 못했을 때 울고 괴성을 지르는 여자아이를 가리키는 말이다.
32세인 쉬크렐리 씨는 ABC 뉴스 인터뷰에서 "더 많은 사람이 구입할 수 있도록" 가격을 낮출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자세한 내용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그는 자기 제약 회사에서 약이 필요한 절반가량의 환자들에게 약을 무료로 제공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튜링 제약이 약값을 인하하겠다는 선언 이전만 해도 쉬크렐리 씨는 인상된 약값을 고집해왔다. 그는 연구와 개발을 위해 약값을 4,000% 인상했다고 말했다.
모든 사람들이 이번 약값 인하에 대한 발표가 약이 필요한 환자들의 승리라고 확신하진 않는다.
포브스(Forbes) 지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게재되었다. "결국, 승자는 쉬크렐리인 것이다. 이번에 발생한 논쟁에 편승해서 가격을 조금 덜 올리기는 했지만 분명 약값이 제법 올랐을 것이기 때문이다."
쉬크렐리 씨는 트위터에서 자신의 입장을 변호하고 있다. 그는 언론이 자신을 나쁜 사람처럼 보이게 만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주초에 쉬크렐리 씨는 자신의 트위터 피드를 비공개로 설정했다.
현재 이 남성은 미국에서 가장 미움받는 사람으로 불리고 있다.
튜링 제약(Turing Pharmaceuticals)의 최고경영자인 마틴 쉬크렐리(Marting Shkreli) 씨는 지난주에 "미국에서 가장 미움받는 사람"이라는 악명을 얻게 되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튜링 제약은 에이즈 및 암 환자들에게 사용하는 약값을 인상했다고 한다.
쉬크렐리 씨는 면역체계가 약한 사람들이 감염에 대항하기 위해 복용하는 다라프림(Daraprim)이라는 알약의 가격을 13.5달러에서 750달러로 인상했다. 이 약은 시중에 출시된 지 벌써 수십 년이 지났지만, 지난 8월에야 튜링 제약에서 이 약의 상표권을 획득하게 되었다.
약값 인상에 대한 소식은 삽시간에 퍼져 SNS 전역에서 이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심지어 대선 후보들도 이 소식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Hillary Clinton) 후보는 후보가 아닌 대통령처럼 트위터 멘션을 달고 제약 회사들의 "바가지요금"에 대한 말로 마무리를 지었다. 바가지요금이란 판매자가 제품이나 서비스 가격을 합리적 또는 합당한 수준이 넘게 인상하는 것을 말한다. 또 다른 말로는 응급 상황에서 필요한 물건을 팔아 이익을 취하는 행동을 나타내는 말인 "부당 이익 취득"이라고 할 수 있다.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후보는 기자 회견에서 쉬크렐리 씨를 "버르장머리 없는 아이처럼 보이는 인물"이라고 혹평했다. 버르장머리 없는 아이란 욕심을 부리며 자기가 원하는 것을 얻지 못했을 때 울고 괴성을 지르는 여자아이를 가리키는 말이다.
32세인 쉬크렐리 씨는 ABC 뉴스 인터뷰에서 "더 많은 사람이 구입할 수 있도록" 가격을 낮출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자세한 내용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그는 자기 제약 회사에서 약이 필요한 절반가량의 환자들에게 약을 무료로 제공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튜링 제약이 약값을 인하하겠다는 선언 이전만 해도 쉬크렐리 씨는 인상된 약값을 고집해왔다. 그는 연구와 개발을 위해 약값을 4,000% 인상했다고 말했다.
모든 사람들이 이번 약값 인하에 대한 발표가 약이 필요한 환자들의 승리라고 확신하진 않는다.
포브스(Forbes) 지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게재되었다. "결국, 승자는 쉬크렐리인 것이다. 이번에 발생한 논쟁에 편승해서 가격을 조금 덜 올리기는 했지만 분명 약값이 제법 올랐을 것이기 때문이다."
쉬크렐리 씨는 트위터에서 자신의 입장을 변호하고 있다. 그는 언론이 자신을 나쁜 사람처럼 보이게 만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주초에 쉬크렐리 씨는 자신의 트위터 피드를 비공개로 설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