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sident Park's Visit Marks US-South Korea Ties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visited the White House for a meeting with President Barack Obama Friday. The visit marks the South Korean leader’s second visit to Washington since becoming president in 2013.
President Obama’s press secretary Josh Earnest said President Park’s visit is centering on issues related to South Korea’s economy, security and world issues. The visit is also meant to show the “rock-solid” commitment to the US-South Korea alliance.
Jim Schoff is an expert with th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Asia Program. He says the meeting is about setting a strategic direction for the next five to 10 years.
Mr. Schoff said South Korea’s relationship with China and how that relationship “can be beneficial to the alliance” going forward will be subjects for the talks. He said the two leaders might discuss the entry of THAAD, or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missiles should North Korea continue to increase its missile capabilities.
President Park open to better ties with Japan
On Thursday, President Park spoke with th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in Washington. She told those attending that she would be open to a meeting with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Such a meeting could help improv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She also said an upcoming three-way summit of Northeast Asia's leading powers might be an opportunity for a formal meeting with Mr. Abe. "I do feel I can have such a meeting with him," Ms. Park said.
She expressed hope that such a meeting would lead to progress on the issue of comfort women. They are Korean women who were kept as sex slaves by the Japanese Imperial Army during World War Two.
South Korea has sought an apology and compensation for surviving Korean victims.
The U.S. Defense Department held a rare “Full Honor Parade” for the South Korean president on her arrival at the Pentagon Thursday. This comes after President Park attended a Chinese military parade last month, causing concerns about South Korea’s growing relationship with China.
The visit to the Pentagon was seen as a strong symbol of the close ties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President Obama’s press secretary Josh Earnest said President Park’s visit is centering on issues related to South Korea’s economy, security and world issues. The visit is also meant to show the “rock-solid” commitment to the US-South Korea alliance.
Jim Schoff is an expert with th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Asia Program. He says the meeting is about setting a strategic direction for the next five to 10 years.
Mr. Schoff said South Korea’s relationship with China and how that relationship “can be beneficial to the alliance” going forward will be subjects for the talks. He said the two leaders might discuss the entry of THAAD, or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missiles should North Korea continue to increase its missile capabilities.
President Park open to better ties with Japan
On Thursday, President Park spoke with th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in Washington. She told those attending that she would be open to a meeting with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Such a meeting could help improv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She also said an upcoming three-way summit of Northeast Asia's leading powers might be an opportunity for a formal meeting with Mr. Abe. "I do feel I can have such a meeting with him," Ms. Park said.
She expressed hope that such a meeting would lead to progress on the issue of comfort women. They are Korean women who were kept as sex slaves by the Japanese Imperial Army during World War Two.
South Korea has sought an apology and compensation for surviving Korean victims.
The U.S. Defense Department held a rare “Full Honor Parade” for the South Korean president on her arrival at the Pentagon Thursday. This comes after President Park attended a Chinese military parade last month, causing concerns about South Korea’s growing relationship with China.
The visit to the Pentagon was seen as a strong symbol of the close ties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center on ~에 초점을 맞추다 / rock-solid 변치 않는, 절대 깨어지지 않을 / commitment 약속, 전념 / strategic 전략적인 / alliance 동맹, 연합 / three-way 3자간의, 3방향의 / summit 정상 회담, 정점 / compensation 보상


한미 연합사에 기록을 남긴 박 대통령의 방미
대한민국의 박근혜(Park Geun-hye) 대통령은 지난 금요일 버락 오바마(Barack Obama)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백악관을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2013년 당선 이래 두 번째로 이루어진 대한민국 지도자의 워싱턴 방문이었다.
오바마 대통령의 공보 비서인 조시 어니스트(Josh Earnest)는 박 대통령의 방문이 대한민국의 경제와 안보, 그리고 세계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방문은 한미 동맹의 “굳건함”을 보여주려는 의도도 있었다.
짐 쇼프(Jim Schoff)는 아시아 국제 평화를 위한 카네기재단(Carnegie Endowment)의 전문가이다. 그는 이 만남이 다음 5~10년간의 전략적 방향성을 세우기 위한 것이었다고 말했다.
쇼프 씨는 대한민국과 중국의 관계와 그 관계가 “동맹에 어떤 유익이 있을지”에 대한 것이 이야기의 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미사일 능력을 높여가고 있는 만큼, 두 지도자는 전구 고고도 지역방어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DD) 미사일의 도입에 대해 논의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지난 목요일, 박 대통령은 워싱턴에 있는 국제 전략 문제 연구소와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녀는 참석자들에게 그녀가 일본 총리 신조 아베(Shinzo Abe)와의 만남에 열린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만남은 두 국가 간의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녀는 또한 다가오는 동북아시아 3자 회담이 아베 총리와의 공식적인 만남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는 그와 이러한 만남을 가질 수 있다는 확실한 느낌이 있습니다."라고 박 대통령은 말했다.
그녀는 이와 같은 만남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진전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표현했다. 위안부는 세계 2차 대전 당시 일본 제국군에 의해 성 노예로 억류되었던 한국 여성들을 말한다.
대한민국은 살아남은 한국인 희생자들에 대한 사과와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미 국방부는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지난 목요일 펜타곤에 도착했을 때, 흔치 않은 "공식 의장 행사"를 열었다. 이 행사는 지난달 박 대통령의 중국 방문 시 있었던, 한국과 중국 간의 관계 증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군 의장 행사에 대응한 것이다.
펜타곤 방문은 한국과 미국의 밀접한 연합 관계에 대한 강력한 상징으로 보였다.
오바마 대통령의 공보 비서인 조시 어니스트(Josh Earnest)는 박 대통령의 방문이 대한민국의 경제와 안보, 그리고 세계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방문은 한미 동맹의 “굳건함”을 보여주려는 의도도 있었다.
짐 쇼프(Jim Schoff)는 아시아 국제 평화를 위한 카네기재단(Carnegie Endowment)의 전문가이다. 그는 이 만남이 다음 5~10년간의 전략적 방향성을 세우기 위한 것이었다고 말했다.
쇼프 씨는 대한민국과 중국의 관계와 그 관계가 “동맹에 어떤 유익이 있을지”에 대한 것이 이야기의 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미사일 능력을 높여가고 있는 만큼, 두 지도자는 전구 고고도 지역방어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DD) 미사일의 도입에 대해 논의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지난 목요일, 박 대통령은 워싱턴에 있는 국제 전략 문제 연구소와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녀는 참석자들에게 그녀가 일본 총리 신조 아베(Shinzo Abe)와의 만남에 열린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만남은 두 국가 간의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녀는 또한 다가오는 동북아시아 3자 회담이 아베 총리와의 공식적인 만남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는 그와 이러한 만남을 가질 수 있다는 확실한 느낌이 있습니다."라고 박 대통령은 말했다.
그녀는 이와 같은 만남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진전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표현했다. 위안부는 세계 2차 대전 당시 일본 제국군에 의해 성 노예로 억류되었던 한국 여성들을 말한다.
대한민국은 살아남은 한국인 희생자들에 대한 사과와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미 국방부는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지난 목요일 펜타곤에 도착했을 때, 흔치 않은 "공식 의장 행사"를 열었다. 이 행사는 지난달 박 대통령의 중국 방문 시 있었던, 한국과 중국 간의 관계 증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군 의장 행사에 대응한 것이다.
펜타곤 방문은 한국과 미국의 밀접한 연합 관계에 대한 강력한 상징으로 보였다.